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체코 형제단의 역사

체코 형제단의 역사

(모라비안 선교 연대기)

에발트 루츠키 (엮은이), 이종실 (옮긴이)
동연출판사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10% 0원
1,000원
17,000원 >
18,000원 -10% 0원
0원
18,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8개 14,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4,000원 -10% 700원 11,900원 >

책 이미지

체코 형제단의 역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체코 형제단의 역사 (모라비안 선교 연대기)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선교/전도
· ISBN : 9788964478455
· 쪽수 : 264쪽
· 출판일 : 2023-04-20

책 소개

1727년 8월 13일 회개와 용서의 날을 기억하자는 그들의 신앙 유산은 구원을 위해 십자가에 못 박히시고 죽음에서 부활하신 그리스도에 대한 강조였다. 이것은 형제단 역사 형성에서 필수적인 부분이 되었다.

목차

한국어판 서문
추천의 글
옮긴이의 글
서문

1장_ 형제단 출현부터 얀 아모스 코멘스키(코메니우스)의 죽음까지
╻종교개혁자들의 선조들
╻제1세대 형제단, 선구자들과 설립자들
╻형제단 사제 선출 제도 제정
╻‘다수파’와 ‘소수파’ 간의 갈등
╻제2세대 형제단, 신학 토대 세우다
╻제3세대 형제단, 독일 종교개혁과 가까워지다
╻제4세대 형제단, 폴란드와 프로이센으로 망명한 형제들을 돌보다
╻제5세대 형제단, 영적 문화적 가치를 창출하다
╻제6세대 형제단, 정치로 향하다
╻제7세대 형제단, 망명을 떠나다
╻폴란드 지부 형제단
╻결론

2장_ 헤른후트 재건형제단부터 오늘날까지: 280년 형제단 선교
╻형제단의 새로운 세대 시작
╻형제단 재건과 형제들 선교의 시작
1. 서인도제도 선교: 덴마크 식민지 서인도제도(1732년부터)
1) 세인트 토머스 섬
2) 산타크루즈(세인트 크로이)섬
3) 세인트존
2. 영국 식민지 서인도제도 선교(1713년부터)
1) 자메이카
2) 앤티가(안티과) 섬
3) 바베이도스(카리브 제도의 국가)
4) 세인트키츠 섬
5) 토바고 섬
6) 트리니다드 섬
3. 그린란드 선교(1733~1900)
4. 북미주 선교(1735년부터)
1) 북미 인디언 선교
2) 델라웨어 부족 선교(1765~1903)
3) 뉴페어필드 정착촌에서 먼 서쪽 지역
4) 체로키족 선교(1801~1896)
5. 남미 대륙: 수리남 선교
1) 아라와크 부족 선교(1738~1808)
2) 부시맨 부족 선교(1765년부터)
3) 식민지의 흑인들 선교(1754년부터)
6. 남아프리카 선교
1) 호텐토트 종족 선교(1736년부터)
7. 래브라도 선교(1752년부터)
8. 새로운 선교지 개척
1) 라피 부족과 사모예드 부족(1734~1737)
2) 암스테르담 유대인 선교(1738~1743)
3) 기니 해안(1736~1769)
4) 알제리(1740)
9. 동방 선교
1) 콘스탄티노플(1740)
2) 루마니아 발라히아(1740)
3) 칼미크족(1742~1822)
4) 카프카즈의 타타르인
5) 페르시아, 현재 이란(1746~1750)
6) 이집트와 에티오피아(1752~1782)
10. 동인도 선교
1) 실론, 현재 스리랑카(1740)
2) 벵골만 및 니코바르 제도(1758~1787)
3) 벵갈, 현재의 인도(1776~1792)
11. 유럽에서 형제단의 성장
1) 실레시아에서 형제단 지역 교회(sbor) 개척
2) 다른 활동의 발전
3) 리보니아에서 디아스포라 선교
╻19세기 선교
1. 남아프리카 선교
1) 카피르족 선교(1818년부터)
2. 남미 선교: 영국 기아나 선교(1835년부터)
3. 중미 선교: 니카라과 선교(1849년부터)
4. 호주 선교
1) 빅토리아 관구(1850~1907)
2) 퀸즈랜드(1891~1919)
5. 라다크와 남아시아 선교(1856년부터)
1) 기엘랑
2) 푸
3) 라다크: 레
4) 인도 라즈푸르
6. 알래스카(1885년 이후) 1
7. 동아프리카, 후에 탄자니아 선교(1891년부터)
1) 냐사: 남부 탄가니카 산맥
2) 우남웨시: 동 탕가니카
╻유럽: 위기와 재기의 시기
╻20세기 선교 활동 확장
1. 중미 온두라스(1930년부터)
2. 중미 코스타리카(1968년부터)

3장_ 헤른후트 영적 각성, 이어지는 선교 운동 그리고 우니타스 프라트룸 조직
╻세계 형제단의 삶과 발전
1. 예수 그리스도, 형제단의 수석 장로
2. 헌법 시노드
3. 전체 시노드
4. 조상들의 땅으로
5. 시노드 유니티
6. 선교 관구
7. 선교 지역

4장_ 조상의 땅으로 다시: 관용의 칙령부터 벨벳 혁명까지
╻서막
╻노바 솔의 개척자
╻첫 형제단 지역 교회
╻등록
╻형제단 고아원
╻보우인 디아스포라 선교
╻우스티 나트 오를리치 지역 교회를 다시 재건
╻선교 활동의 발전
╻양차 세계대전의 압박
╻체코 구역
╻독일 구역
╻독일 점령과 전쟁 시기
╻전후 시기
╻전체주의 체제 시작
╻독립 체코슬로바키아 관구
╻영적·사회적 위기

╻에필로그
오늘날 조상의 땅의 형제들

부록
╻1621년~1918년, 해외로 망명을 떠나지 않은 체코 내 형제(개혁 교도)들의 상황

미주
참고문헌
주교 리스트

저자소개

에발트 루츠키 (엮은이)    정보 더보기
형제교회 호르니 포체르니체 지역 교회와 파르두비체 지역 교회 평신도 설교자, 형제단 리베레츠 지역 교회 전임 설교자를 거쳐 형제단교회(모라비안)에서 목사 안수를 받았다. 1998년부터 현재까지 형제단 관구 소위원회 회원이며, 2008년에 소위원회 회장을 지냈고, 2011년에 세계 모라비안교회(Unitas Fratrum) 345대 주교로 축성받았다.
펼치기
이종실 (옮긴이)    정보 더보기
숭실대 사학과(B.A), 장신대 신대원(M.Div)과 영국 셀리오크칼리지(Diploma in Mission Studies)에서 학업을 하였다. 체코 선교사로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의 파송을 받아 1993년부터 현재까지 현지 개혁교회인 체코형제복음교회(교단)와 동역 선교를 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1957년 11월 24일 형제단의 가장 위대한 인물들 가운데 한 사람인 주교 얀 블라호슬라프가 49세에 모라브스키 크루믈로프에서 죽는다. 형제들은 그에 대한 기억을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뛰어난 인물 네 명 가운데 한 사람이며, 필경사이며, 형제단의 주님의 백성의 아버지이자 인도자이며, 대인이며 명석하고, 매우 경건하며, 부지런하여 어려서부터 모든 사람에게 호감을 가졌던 얀 블라호슬라프가 크루믈로프에서 죽었다. 그의 평판은 다른 민족에게도 널리 퍼졌다. 우리 생각에 주 하나님이 형제단의 위대하고 귀한 보석을 너무 일찍 빼앗아 가셨다.” 얀 블라호슬라프의 뒤를 이어 온드르제이 슈테판이 형제단의 필경사가 되었다. 형제단에서의 아우구스타의 지속되는 활동은 새로운 세대 형제단 주교들과 많은 오해와 새로운 갈등을 일으켰다.
<1장_ 형제단 출현부터 얀 아모스 코멘스키의 죽음까지> 중에서


1732년 8월 21은 형제단 선교의 시작이다. 결국 초창기에 약 2백여 명의 정착민들이 헤른후트를 떠나서 4개 대륙의 선교사들이 되었다. 그들 중 많은 사람이 모라비아에서 신앙 때문에 투옥과 박해를 겪었다. 헤른후트의 자신들의 새로운 피난처에서 안주하는 대신 그들은 미지의 세계로 나아가는 것을 망설이지 않았다. 그들은 자원과 경험과 지식 없이 당시에 사람으로 여기지 않았던 알지 못하는 사람들에게로 떠나갔다. 복음을 들을 수 없는 노예들과 거친 황야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에게로 나아갔다.
<2장_ 헤른후트 재건형제단부터 오늘날까지 > 중에서


1836년 5월 30일~9월 3일까지 열린 전체 시노드는 형제단의 일부 지역 교회에 큰 영향을 미친 두 가지 흐름을 다루었다. 극단적 과격파 경향은 개별 지역 교회를 세울 때 완전한 자립과 모든 독특성(예를 들어 형제단은 예수 그리스도를 수석 장로로서 준수하였다)으로부터의 분리로 더 큰 회중주의를 요구했다. 온건파 경향은 전체 시노드의 모든 결정과 보고를 인쇄하여 공개함으로 민주적이 되길 원했다. 그러나 그들의 동기는 위선적이었다. 전체 시노드의 대의원 중 누구도 이러한 의견의 흐름을 지지하지 않았다. 오히려 형제단은 전체 시노드에서 의견이 일치하였으며(예를 들어 1741년 11월 13일 축일의 의미를 처음 공식화했다) 또한 형제단 안에서 예수를 수석 장로로 부르기로 결정했다고 해서 형제단이 다른 개혁교회들보다 우위에 있다는 어떤 특별한 독특성이 자신들에게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는 것을 표방했다.
<Part 3_ 자애 수행하기>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64479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