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PSAT (행정고시) > 기출/모의고사
· ISBN : 9788964791974
· 쪽수 : 264쪽
· 출판일 : 2014-10-13
책 소개
목차
제1부 조사설계(Research Design
제1장 연구문제(Research Question) 설정 3
Ⅰ. 연구문제 내용 3
1. 연구문제의 의미 3
2. 연구문제 유형 5
3. 연구문제 목적 : 조사의 의의 7
4. 연구문제의 원천 7
5. 연구문제의 평가기준 8
6. 연구문제의 형성과정 및 제3종 오류 8
Ⅱ. 연구문제 적용 10
1. 현상과 연구문제 설정 사례 10
2. 연구문제 실례 11
* 관련기출문제 13
제2장 기존문헌(선행연구)의 검토와 이론적 근거 14
1. 기존문헌 검토의 의의 및 목적 14
2. 기존문헌 검토 시기 14
3. 기존문헌 검토 절차 15
4. 기존문헌 근거 : 이론적 검토 16
5. 기존문헌 검토 사례 적용 19
* 관련기출문제 20
제3장 연구의 개념적 준거틀 21
Ⅰ. 개념적 준거틀 21
1. 개념적 준거틀의 의미 21
2. 개념적 준거틀의 구조 21
3. 개념적 준거틀 기능과 형식 24
Ⅱ. 개념과 변수의 관계 설정 및 조작적 정의 25
1. 개념, 구성개념, 및 개념적 정의 25
2. 변수와 조작적 정의 26
3. 변수의 종류 28
* 관련기출문제 35
제4장 가설(hypothesis)의 설정 및 분석단위 37
Ⅰ. 가설의 의미와 종류 37
1. 가설의 의미 37
2. 가설의 종류 38
Ⅱ. 가설의 통계적 오류와 연구가설 적용 40
1. 가설 검증의 오류 : 통계적 오류 40
2. 연구가설의 적용 45
Ⅲ. 가설설정과 연구 분석단위 48
1. 가설설정과 분석수준의 관계 48
2. 분석단위의 의의 48
3. 분석단위와 다른 단위와 관계 : 설명단위와 관찰단위 49
4. 분석단위의 선정과 해석의 오류 51
* 관련기출문제 53
제5장 조사설계 타당성 : 인과관계의 추론 56
Ⅰ. 원인 및 결과 개념과 인과적 추론 56
1. 원인, 결과, 인과관계의 개념 56
2. 인과적 추론의 조건 57
3. 설명적 조사설계의 타당성 저해 요인 및 해결방안 62
* 관련기출문제 71
제6장 측정의 타당성과 신뢰성 74
Ⅰ. 측정의 타당성과 신뢰성 74
1. 측정과 측정오차 74
2. 측정의 타당성의 개념과 종류 77
3. 측정의 신뢰성 81
4. 측정 수준과 척도(scale) 85
* 관련기출문제 93
제7장 인과관계의 추론을 위한 설명적 조사설계(실험설계) 96
Ⅰ. 설명적 조사설계 96
1. 설명적 조사설계의 기본원리 96
2. 구체적인 설명적 조사설계 99
* 관련기출문제 110
제2부 표본설계(Sampling)와 자료수집(Data Collection)
제8장 표본설계 115
Ⅰ. 표본추출 115
1. 표본추출의 의의 115
2. 표본추출의 주요개념 117
Ⅱ. 표본추출의 설계 119
1. 표본추출설계의 의의 119
2. 표본추출 설계의 절차 120
3. 표본추출방법의 분류 : 확률표본추출 121
4. 표본추출방법의 분류 : 비확률표본추출 126
5. 표본추출오차와 표본크기의 결정 130
* 관련기출문제 133
제9장 자료수집방법 : 질문지법 135
Ⅰ. 전반적인 자료수집방법 특징 135
1. 자료의 종류 135
2. 자료수집방법의 분류 135
3. 자료수집방법의 특징 136
Ⅱ. 설문조사방법(질문서법) 137
1. 설문조사방법 의의 및 특징 137
2. 설문자료 수집 절차 137
3. 질문의 종류 및 유형 139
4. 질문서 작성 방법 절차 및 실례 140
5. 질문서 활용방법 144
6. 설문조사방법의 장점 및 단점 150
* 관련기출문제 153
제10장 자료수집방법 : 면접법 및 참여관찰방법 155
Ⅰ. 면접방법 155
1. 면접방법의 의의 155
2. 면접방법의 종류 155
3. 구체적인 면접 조사 종류 158
Ⅱ. 참여관찰방법(Participation and Observation) 164
1. 참여관찰방법의 의의 164
2. 참여관찰방법의 유형 165
3. 참여관찰방법의 유의점 : 조사대상자에 대한 접근성과 개방성 166
4. 참여관찰의 사례 167
5. 참여관찰방법의 장점과 단점 168
* 관련기출문제 169
제11장 자료수집방법 : 내용분석 170
Ⅰ. 내용분석 170
1. 내용분석의 의의 170
2. 내용분석 특징 171
3. 내용분석방법 절차 172
4. 내용분석방법의 장점과 단점 176
5. 내용분석방법 실례 177
* 관련기출문제 182
제12장 자료수집방법 : 2차 자료 수집방법과 메타분석 183
Ⅰ. 2차 자료수집 183
1. 2차 자료수집의 의의 및 특징 183
2. 2차 자료의 원천 184
3. 2차 자료수집방법의 장점과 단점 185
4. 2차 자료수집방법의 사례 186
Ⅱ. 메타분석 187
1. 메타분석(meta analysis)의 개념 및 필요성 187
2. 메타분석(meta analysis)과 타 자료수집 및 분석 188
3. 메타분석 절차 189
4. 메타분석의 장점 및 단점 190
5. 메타분석 연구 사례 190
* 관련기출문제 193
제13장 기술적 조사설계 및 질적 연구의 조사설계 194
Ⅰ. 기술적 조사설계 194
1. 기술적 조사설계의 의의와 유형 194
2. 구체적인 기술적 조사설계 195
Ⅱ. 질적 연구 조사설계 200
1. 질적 연구의 개념과 목적 200
2. 구체적 질적 연구 방법 200
제3부 자료분석과 연구방법
제14장 기초통계와 자료분석 207
Ⅰ. 기초통계 207
1. 기술적 통계 207
2. 추론적 통계 213
제15장 연구방법과 연구윤리 225
Ⅰ. 연구방법 : 양적 연구방법과 질적 연구방법의 통합(Triangulation) 225
1. 양적 연구방법 225
2. 질적 연구방법 227
3. 양적 연구 및 질적 연구 상호 비교 229
4.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의 통합적 접근 : 다각화(triangulation) 231
Ⅱ. 시간적 범위에 따른 연구방법 234
1. 횡단면적 연구(cross-sectional study) 234
2. 종단면적 연구(longitudinal study) 235
Ⅲ. 과학적 연구 특성 239
1. 과학의 가정 239
2. 과학적 연구과정 논리체계 240
3. 사회과학 연구의 목적과 접근방법 241
4. 연구의 목적에 따른 분류 : 탐색, 기술, 설명 244
Ⅳ. 연구윤리 245
1. 연구윤리의 의의 및 특징 245
2. 연구 조사윤리(research ethics)와 IRB(Institutional Review Board) 246
3. 연구윤리 사례 246
* 관련기출문제 247
* 참고문헌 25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