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한의학 > 상한/금궤/온병
· ISBN : 9788964980064
· 쪽수 : 330쪽
· 출판일 : 2010-11-15
책 소개
목차
저자서문 3
범례 4
색인 10
제1장 傷寒論 47
태양병 -상편- 49
1. 태양병편의 정강. 중풍(中風), 상한(傷寒)의 구별 51
2. 계지탕(桂枝湯)의 규범, 정증(正證), 가미방(加味方) 51
3. 오치(誤治)를 겪지 않은 경우와 오치와 다른 치료들을 겪은 경우. 계지탕(桂枝湯)의 방의(方意)와 마황탕(麻黃湯)과의 구별 51
4. 한법(汗法)을 쓰고 난 후의 변화에서 계지탕(桂枝湯)의 가미방(加味方). 하법(下法)을 쓰고 난 후의 변화에서 계지탕(桂枝湯)의 거미방(去味方)과 가미방(加味方) 53
5. 계지탕(桂枝湯)과 합방(合方), 지속, 지속과 합방(合方), 양명위(陽明位)의 약의 처방, 합방(合方), 계지를 거(去)하는 방법, 오역(誤逆)으로 발생한 증(證)의 전변 55
태양병 -중편- 59
1. 갈근탕(葛根湯)의 주치(主治)와 본분, 활용, 가미방(加味方). 비슷하면서도 다른 증(證) 61
2. 마황탕(麻黃湯)의 주치(主治)와 본분. 활용과 잘 듣는 증상 63
3. 대청룡탕(大靑龍湯)의 본분과 활용 63
4. 소청룡탕(小靑龍湯)의 본분과 활용 65
5. 계지탕(桂枝湯)의 활용, 가미방(加味方). 선표후리(先表後裏)의 법칙 65
6. 명현(瞑眩)에 의한 육혈(堉血)과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육혈. 선표후리(先表後裏)의 법칙. 발한(發汗)하지 않아서 발생하는 육혈 67
7. 계지탕증(桂枝湯證)으로 진행이 완만한 경우와 발한 후의 잔증(殘證) 69
8. 한하(汗下) 후 자연스럽게 치유되는 증(證). 한토하법(汗吐下法)을 사용한 이후의 허증(虛證), 소음병(少陰病), 망진액(亡津液)에 의한 신동통(身疼痛), 심하(心下)·제하(臍下)·복중(腹中)에 나타나는 증(證) 69
9. 토법(吐法), 하법(下法)을 쓴 이후의 수기격동(水氣激動)의 증(證). 발한(發汗)으로 소음(少陰)으로 변하고 번조(煩躁)를 보이는 증(證). 발한(發汗) 후 허(虛)와 실(實)의 두 가지 상황에 이른 경우 73
10. 물만 주어도 낫는 증(證). 오령산의 정증(正證)과 그 예(例), 복령감초탕과의 구별과 그 예(例) 75
11. 치자시탕의 정증(正證), 가미방(加味方), 작은 차이가 있는 증(證), 거·가방(去·加方)7 7
12. 진무탕(眞武湯)의 정증(正證)을 예로 들어 리(裏)를 전치(專治). 사역탕(四逆湯)과 계지탕(桂枝湯)을 들어 분치(分治)의 법(法). 사역탕(四逆湯)을 들어 리(裏)를 전치(專治) 79
13. 소시호탕(小柴胡湯)의 정증(正證)과 그 이증(異證). 소시호탕(小柴胡湯)과 소건중탕(小建中湯)의 구별. 소건중탕(小建中湯)의 본분(本分) 81
14. 소시호탕(小柴胡湯)과 대시호탕(大柴胡湯), 시호가망초탕(柴胡加芒硝湯)을 들어 치료의 선후(先後)를 논하고, 조위승기탕(調胃承氣湯)의 주치(主治) 83
15. 광증(狂證) 같은 혈증(血證)과 흉만(胸滿)하고 번경(煩驚)하는 경우 85
16. 화공(火攻)을 시행한 것이 원인이 되어 일어난 변증(變證) 3종류 85
17. 시호탕류(柴胡湯類)의 설명을 일단락짓는다. 87
18. 혈증(血證)이 심각한 경우에 저당탕(抵當湯)의 주치(主治)와 본분(本分), 발황(發黃)을 겸하는 혈증(血證), 완만하고 평이한 저당환증(低當丸證) 87
태양병 -하편- 91
1. 대함흉탕증(大陷胸湯證)의 서론(前論) 93
2. 결흉(結胸)의 제증(諸證) 및 의사증(疑似證)과 그 치료법 93
3. 부인병(婦人病)인 열입혈실(熱入血室)은 소시호탕(小柴胡湯)이 치료 97
4. 결흉(結胸)과 유사한 시호계지탕증(柴胡桂枝湯證)과 허(虛)의 양상을 띠는 시호계지건강탕(柴胡桂枝乾薑湯) 99
5. 심하비, 흉협(胸脇)의 연통(攣痛), 심하비의 완증(緩證)과 대음(帶陰)의 증(證)과 유증(類證)을 논하고, 심하비경하고 심번(心煩)하는 증(證), 심하비경하고 활리(滑痢)가 그치지 않는 증(證), 심하비경하나 애기(噫氣)가 없는 증(證) 99
6. 겸치법(兼治法)과 분치법(分治法) 107
7. 하법(下法)과 토법(吐法) 107
8. 백호가인삼탕(白虎加人蔘湯)의 주치(主治)와 본분 109
9. 자하리(自下利)하는 경우와 구(嘔)를 발(發)하는 경우. 복통(腹痛)하고 구토하는 경우 109
10. 풍습상박(風濕相搏)하는 증(證)의 완증(緩證)과 극렬(深劇)한 경우 111
11. 맥부활(脈浮滑)한 실증(實證)과 맥결대(脈結代)의 허증(虛證)의 대비(對比) 113
양명병편 115
1. 양명병(陽明病)의 대강(大綱) 117
2. 공하(攻下)에 대한 금기 117
3. 삼승기탕(三承氣湯) 117
4. 섬어와 섬어를 주로 하는 양명의 사후(死候) 두 종류 121
5. 대승기탕(大承氣湯), 소승기탕(小承氣湯)의 치(治) 121
6. 양명(陽明)의 주된 합병(合病)과 병병(倂病)과 저령탕의 금기 123
7. 양명(陽明)과 비슷하나 소양(少陽)을 벗어나지 못하는 치자시탕증과 소시호탕(小柴胡湯)의 주치(主治)와 잘 듣는 증상 129
8. 양명(陽明)의 리실(裏實)과 비슷하면서도 다른 밀전도증(蜜煎導證)과 아직 표위(表位)를 벗어나지 않는 계지탕(桂枝湯), 마황탕(麻黃湯)의 치(治) 131
9. 어열(瘀熱)의 증(證)과 어혈(瘀血)의 증(證) 133
10. 조시(燥屎)가 있는 경우의 임기응변 처치 135
11. 양명(陽明)의 속증(屬證), 허증(虛證)인 오수유탕(吳茱萸湯)과 실증(實證)인 조위승기탕(調胃承氣湯) 137
12. 병의 형태가 모두 완만한 것 같지만 실제로는 가장 급(急)한 경우 139
13. 대승기탕(大承氣湯)의 효력이 아직 완전하지 않은 경우와 숙식(宿食) 141
14. 발황(發黃)의 중증(重證), 경증(輕證), 이증(異證) 14 3
소양병편 145
1. 소양병(少陽病)의 정강(定綱) 147
2. 소양(少陽)에 부속하는 증(證)과 전입(轉入)한 증(證). 한토하삼법(汗吐下三法)의 금기 147
태음병편 149
1. 태음병(太陰病)의 정강(定綱) 151
2. 태음병(太陰病)의 변증(變證)인 계지탕증(桂枝湯證)과 속증(屬證)인 사역탕류(四逆湯類) 151
3. 태양병(太陽病)에서 태음(太陰)으로 전속(轉屬)하는 증(證) 151
소음병편 155
1. 소음병(少陰病)의 정강(定綱) 157
2. 직중(直中)인 소음증(少陰證)에서 다소 급한 증(證)과 완만한 증(證) 157
3. 소음(少陰)의 위(位)에서 발병하고 내열(內熱)을 끼고 있는 일증(一證) 159
4. 소음병(少陰病)의 정증(正證) 159
5. 소음병(少陰病)인데, 내(內)에 습열(濕熱)을 끼고 점액혈변(粘液血便)하는 증(證) 161
6. 음한(陰寒)이 격동(激動)하고 허기(虛氣)가 심흉에 몰린 급증(急證)과 완이(緩易)한 경우 163
7. 소음병(少陰病)의 유증(類證)으로 완급(緩急)하고 극이(劇易)한 사증(四證) 165
8. 리한(裏寒)이 왕성한 증(證)으로, 하리(下利)하거나 혹은 그것의 극(極) 167
9. 외관은 소음병(少陰病)과 비슷하지만, 내(內)에 울열(鬱熱), 수기(水氣)가 있어서 제증(諸證)을 나타내는 경우 171
10. 소음병(少陰病)의 극변(劇變)으로 대승기탕(大承氣湯)의 권도(權道) 173
11. 소음병(少陰病)의 급증(急證)으로 사역탕(四逆湯)의 권도(權道) 175
궐음병편 177
1. 궐음병(厥陰病)의 정강(定綱) 179
2. 회궐, 열궐(熱厥), 한궐(寒厥)의 제증(諸證) 179
3. 궐(厥)을 나타내는 흉중(胸中)의 결실(結實)과 심하수음(心下水飮)의 동요(動搖) 183
4. 궐음(厥陰)의 유증(類證) 및 정증(正證)과 음양착잡(陰陽錯雜)의 증(證) 및 궐기상행(厥氣上行)의 증(證) 183
5. 궐음(厥陰)의 유증(類證)에서 열리(熱利)의 증(證), 표리양증(表裏兩證), 리실(裏實)에 의한 열리(熱利)의 일증(一證), 하리후(下利後)에 번(煩)을 발(發)하는 경우 187
6. 궐음(厥陰)의 유증(類證)에서 토(嘔)하고 맥(脈)이 약(弱)한 경우, 건구(乾區)하고 연말(涎沫)을 토하며 두통이 있는 경우, 음위(陰位)에서 양위(陽位)로 회복하여 토하는 일증(一證) 191
곽란병편 193
l. 곽란의 음양(陰陽) 이증(二證), 표증(表證)이 완전히 사라지지 않은 경우, 오한(惡寒)이 더해진 경우, 리허(裏虛)가 심해진 경우와 깊고 격렬해진 증(證)과 위험한 상태에 빠지는 증(證)과 병후(病後)의 섭양(攝養) 195
음양역차후노복병 맥증편 201
1. 노복(勞復) 및 식복(食復)의 증(證), 재연(再燃)하여 소양(少陽)과 표증(表證)과 리증(裏證)에 속하는 경우, 수기(水氣)가 하초(下焦)와 중초(中焦)에 모인 증(證), 여열(餘熱)이 안에서 생겨 기역(氣逆)이 심한 증(證) 203
제2장 證의 흐름-中風 207
태양병편 208
양명병편 232
태음병편 246
소음병편 248
제3장 證의 흐름-傷寒 257
태양병편 258
양명병편 280
소양병편 284
궐음병편 286
음양역차후노복병편 290
제4장 傷寒論의 治病原則 293
합병 294
병병 298
선표후리(先表後裏)의 법, 선외후내(先外後內)의 법 300
先急後緩은 임기응변의 조치 306
겸병 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