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대중영화의 이해 (워크북 포함)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 사회과학대학 > 미디어영상학과
· ISBN : 9788920050169
· 쪽수 : 392쪽
· 출판일 : 2024-07-25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 사회과학대학 > 미디어영상학과
· ISBN : 9788920050169
· 쪽수 : 392쪽
· 출판일 : 2024-07-25
책 소개
바야흐로 영상시대가 도래했다는 외침은 이제 더 이상 우리의 관심을 끌지 못한다. 영상매체, 특히 영화라는 매체는 이미 너무도 당연하게 우리 삶의 일부로 완전히 자리를 잡았기 때문이다. 이제 영화를 보고, 영화에 대해 이야기하거나 글을 쓰고, 영화를 직접 만드는 일은 일부 전문가들만의 특권적인 창작행위나 소일거리가 아니다. 그만큼 대중이 영화라는 영상매체와 어떠한 형태로든 관련을 맺는 일이 자연스러워진 것이다.
하지만 정작 ‘영화란 무엇인가?’, ‘대중영화란 무엇인가?’ 등의 질문을 접했을 때, 그 대답을 명쾌히 정리할 수 있는 사람은 많지 않은 것 또한 사실이다. 왜냐하면 어떠한 방식으로든 영화를 ‘즐기는’ 문화는 꽤 널리 퍼져 있는 반면에, 영화를 ‘공부’하고, 그것을 학습의 대상으로 삼는 일은 다소 등한시되고 있기 때문이다. 학습의 대상으로 영화를 ‘공부’하는 것과 여가선용의 대상으로 영화를 ‘즐기는’ 것, 이 둘 사이의 간극을 메우는 일이 이 책의 가장 궁극적인 목표이다. 영화에 대한 공부, 영화에 대한 학습은 영화에 대한 친숙감을 더욱더 높일 수 있을 것이고, ‘대중’문화와 ‘대중’영화의 주역으로서의 대중, 관객, 혹은 수용자라는 개념 또한 우리의 일상으로 완전히 자리를 잡을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정작 ‘영화란 무엇인가?’, ‘대중영화란 무엇인가?’ 등의 질문을 접했을 때, 그 대답을 명쾌히 정리할 수 있는 사람은 많지 않은 것 또한 사실이다. 왜냐하면 어떠한 방식으로든 영화를 ‘즐기는’ 문화는 꽤 널리 퍼져 있는 반면에, 영화를 ‘공부’하고, 그것을 학습의 대상으로 삼는 일은 다소 등한시되고 있기 때문이다. 학습의 대상으로 영화를 ‘공부’하는 것과 여가선용의 대상으로 영화를 ‘즐기는’ 것, 이 둘 사이의 간극을 메우는 일이 이 책의 가장 궁극적인 목표이다. 영화에 대한 공부, 영화에 대한 학습은 영화에 대한 친숙감을 더욱더 높일 수 있을 것이고, ‘대중’문화와 ‘대중’영화의 주역으로서의 대중, 관객, 혹은 수용자라는 개념 또한 우리의 일상으로 완전히 자리를 잡을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제1부 영화 속의 세상
제1장 영화의 탄생
제2장 영화의 역사 I : 제2차 세계대전 이전
제3장 영화의 역사 II : 제2차 세계대전과 그 이후
제4장 영화의 역사 III : 새로운 할리우드, 아시아권 영화, 그리고 디지털 시네마
제5장 영화언어
제6장 내러티브와 장르
제7장 영화제작
제8장 영화산업
제9장 대중문화와 관객
제10장 문화비평과 영화비평
제2부 영화 밖의 세상
제11장 영화와 욕망
제12장 영화와 정체성
제13장 영화와 가족
제14장 영화와 사회
제15장 영화와 정치
참고문헌
찾아보기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