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단계별로 배우는 근골격계 초음파

단계별로 배우는 근골격계 초음파

(해부.진단 테크닉)

Minagawa Hiroshi (지은이), 김희상, 유승돈, 윤동환 (옮긴이)
신흥메드싸이언스
7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단계별로 배우는 근골격계 초음파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단계별로 배우는 근골격계 초음파 (해부.진단 테크닉)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외과 > 정형외과
· ISBN : 9788964980132
· 쪽수 : 346쪽
· 출판일 : 2011-07-20

책 소개

신체 각 부위의 접근법을 알기 쉽게 설명한 책으로, 근골격계의 초음파 해부를 풍부하게 담았다. 상 하지에 속하는 어깨와 팔꿈치, 손목과 손, 골반, 무릎, 발목 및 발관절의 초음파 영상 및 사진을 통한 구체적인 증례와 질문형식의 해설을 통해 신경, 근육 및 골격, 인대 및 건초 등 구조물과 병리에 대한 설명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목차

초음파 개요

근골격계의 구조를 보는 방법 2
1 뼈(Bone) 2
2 연골(Cartilage) 3
3 근육(Muscle) 5
4 힘줄(Tendon) 6
5 인대(Ligament) 8
6 말초신경(Peripheral nerve) 9
7 혈관(Blood vessel) 10


초음파로 진단하는 상지

수지(Finger) 13
■손바닥 스캔
검사 자세 15
검사 순서 16
무지굴근건의 관찰 16
Step 1 장무지굴근건(FPL) 장축 영상의 관찰 16
Step 2 장무지굴근건(FPL) 단축 영상의 관찰 19
검지부터 소지굴근건의 관찰 22
Step 1 천수지굴근(FDS), 심수지굴근(FDP) 장축 영상의 관찰 22
Step 2 천수지굴근(FDS), 심수지굴근(FDP) 단축 영상의 관찰 27
손 내재근의 관찰 31
Step 1 무지구근(thenar muscle) 단축 영상의 관찰 31
Step 2 무지구근(thenar muscle) 장축 영상의 관찰 33
Step 3 소지구근(hypothenar muscle) 단축 영상의 관찰 34
Step 4 소지구근(hypothenar muscle) 장축 영상의 관찰 36
Step 5 충양근(lumbrical muscle), 장측골간근(IOP)의 관찰 37
Step 6 배측골간근(IOD), 장측골간근(IOP)의 관찰 38

■요측·척측 스캔
검사 자세 40
검사 순서 40
Step 1 엄지 MP 관절 측부인대의 관찰 40
Step 2 검지~소지 측부인대의 관찰 42

■손등 스캔
검사 자세 44
검사 순서 44
Step 1 신근건(extensor tendon) 단축 영상의 관찰 44
Step 2 신근건(extensor tendon) 장축 영상의 관찰 50
Eco Anatomy 55

손관절(Articulations of Hand) 57
■손바닥 스캔
검사 자세 59
검사 순서 60
수근관 입구의 관찰 60
Step 1 두상골(pisiform bone), 주상골 결절(tubercle of scaphoid bone) 관찰 60
Step 2 굴근건(flexor tendon), 횡수근인대(transverse carpal ligament), 정중신경(median nerve)의 관찰 60
Step 3 Guyon관의 관찰〔척골신경, 척골동맥〕 수근관 근위부의 관찰 63
Step 1 정중신경(median nerve) 단축 영상의 관찰 63
Step 2 정중신경(median nerve) 장축 영상의 관찰 64
수근관 원위부의 관찰 65
Step 1 수근관 원위부의 관찰 65

■요측 스캔
검사 자세 65
검사 순서 66
Step 1 신근건 제1구획의 관찰〔장무지외전근(APL), 단무지신근(EPB)〕66

■손등 스캔
검사 자세 68
검사 순서 69
Step 1 신근건 제2구획의 관찰〔장요측수근신근(ECRL), 단요측수근신근(ECRB)〕69
Step 2 신근건 제3구획의 관찰〔장무지신근(EPL)〕71
Step 3 신근건 제4구획의 관찰〔총수지신근(EDC), 고유시지신근(EIP)〕73
Step 4 신근건 제5구획의 관찰〔고유소지신근(EDQ)〕77

■척측 스캔
검사 자세 78
검사 순서 79
Step 1 신근건 제6구획의 관찰〔척측수근신근(ECU)〕79
Step 2 삼각섬유연골복합체(TFCC)의 관찰 82
Eco Anatomy 83

주관절(Elbow Joint) 91
■전방 스캔
검사 자세 93
검사 순서 93
상완골(humerus) 원위부 관찰 93
Step 1 상완골 골간부의 관찰 93
Step 2 요골와, 구돌와의 관찰 94
Step 3 소두, 활차의 관찰 95
완요관절(humeroradial joint)의 관찰 99
Step 1 완요관절 장축 영상의 관찰 99
Step 2 완요관절 근위부의 관찰 100
Step 3 완요관절 원위부의 관찰 102
완척관절(humero-ulnar joint)의 관찰 105
Step 1 완척관절 장축 영상의 관찰 105
Step 2 완척관절 근위부의 관찰 106
Step 3 완척관절 원위부의 관찰 107

■내측 스캔
검사 자세 109
검사 순서 110
Step 1 전사주섬유(AOL) 장축 영상의 관찰 110
Step 2 주부관의 관찰 114

■외측 스캔
검사 자세 120
검사 순서 121
Step 1 장축 영상의 관찰 121
Step 2 단축 영상의 관찰 121

■후방 스캔
검사 자세 127
검사 순서 129
Step 1 주두와의 관찰 129
Step 2 주두의 관찰 131
Step 3 상완골 소두의 관찰 134
Eco Anatomy 138

견관절(Shoulder Joint) 143
■전방 스캔
검사 자세 145
검사 순서 146
상완이두근 장두건(LHB)의 관찰 146
Step 1 상완이두근 장두건의 관찰 146
Step 2 단축 영상의 관찰 148
Step 3 장축 영상의 관찰 149
견갑하근건(subscapular muscle)의 관찰 150
Step 1 장축 영상의 관찰 150
Step 2 단축 영상의 관찰 151

■외상방 스캔
검사 자세 157
검사 순서 158
Step 1 건판 장축 영상의 관찰 158
Step 2 건판 단축 영상의 관찰 159

■후방 스캔
검사 자세 163
검사 순서 164
Step 1 관절 열극의 관찰 164
Step 2 내외회전에서의 동적 관찰 165

■액와 스캔
검사 자세 168
검사 순서 169
Step 1 상완골두(humeral head)의 관찰 169
Step 2 전하방관절와(anteroinferior glenoid), 관절순(glenoidal labrum)의 관찰 169

■내상방 스캔
검사 자세 171
검사 순서 172


초음파로 진단하는 하지

하퇴·족관절(Leg & Ankle Joint) 179
■전방 스캔
검사 자세 181
검사 순서 181
Step 1 경골(tibia)의 관찰 181
Step 2 거퇴관절(talocrural articulation)의 관찰 185

■외측 스캔
검사 자세 189
검사 순서 189
Step 1 외과(lateral malleolus)의 관찰 189
Step 2 전하경비인대(anterior inferior tibiofibular ligament)의 관찰 191
Step 3 전거비인대(anterior talofibular ligament)의 관찰 194
Step 4 종비인대(calcaneofibular ligament)의 관찰 199
Step 5 비골근건(peroneal tendons)의 관찰 201

■내측 스캔
검사 자세 205
검사 순서 205
Step 1 삼각인대(deltoid ligament)의 관찰 205
Step 2 족근관(tarsal tunnel)의 관찰 206

■후방 스캔
검사 자세 208
Step 1 상방관절순의 관찰 172
Step 2 90。외전위에서의 동적 관찰 172
Eco Anatomy 174

슬관절(Knee Joint) 223
■전방 스캔
검사 자세 226
검사 순서 227
슬개골(patella) 근위의 관찰 227
Step 1 슬개상낭의 관찰 227
Step 2 대퇴사두근건의 관찰 231
슬개대퇴관절(patellofemoral joint)의 관찰 234
Step 1 슬개골의 관찰 234
Step 2 슬개대퇴관절의 관찰 237
슬개골(patella) 원위의 관찰 239
Step 1 슬개건의 관찰 239
Step 2 대퇴골 하중부의 관찰 243
Step 3 전방십자인대의 관찰 247

■내측 스캔
검사 자세 248
검사 순서 249
Step 1 내측측부인대(MCL)의 관찰 249
Step 2 내측반월판(MM)의 관찰 251
Step 3 거위다리점액낭(anserine bursa)부위의 관찰 254

■외측 스캔
검사 자세 257
검사 순서 258
Step 1 외측측부인대(LCL)의 관찰 258
Step 2 대퇴이두근건의 관찰 259
Step 3 장경인대(ITT)의 관찰 259
Step 4 외측반월판(LM)의 관찰 260

■후방(슬와) 스캔
검사 자세 263
검사 순서 263
Step 1 Baker 낭종(슬와낭종)의 관찰 263
Step 2 후방십자인대(PCL)의 관찰 267
Step 3 비복근두 종자골(fabella)의 관찰 268
Step 4 신경혈관속의 관찰 269
Eco Anatomy 272

고관절·대퇴(Hip Joint & Thigh) 281
■전방 스캔
검사 자세 284
검사 순서 285
Step 1 고관절(hip joint)의 관찰 285
Step 2 장요근, 신경혈관속의 관찰 288
Step 3 하전장골극(AIIS)의 관찰 291
Step 4 상전장골극(ASIS)의 관찰 294
Step 5 대퇴직근의 관찰 296

■내측 스캔
검사 자세 300
검사 순서 300
Step 1 내전근(adductor) 단축 영상의 관찰 300
Step 2 내전근(adductor) 장축 영상의 관찰 301

■외측 스캔
검사 자세 304
검사 순서 304
Step 1 단축 영상의 관찰 304
Step 2 장축 영상의 관찰 306

■후방 스캔
검사 자세 309
검사 순서 311
Step 1 좌골신경(sciatic nerve)의 관찰 311
Step 2 햄스트링(hamstring muscles)의 관찰 313
Eco Anatomy 317

찾아보기 319

저자소개

Minagawa Hiroshi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김희상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학력 - 1983년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졸업 - 1992년 경희대학교 의학박사 학위 취득 - 2006년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의료경영학(medical MBA) 석사학위 취득 경력 - 1990년~현재 경희대학교 의대병원 재활의학과 교수, 주임교수 - 1990년 재활의학과 전문의 취득 - 2000년 노인의학 전문의 취득 - 2001년 노인병 인정의 취득 - 2001년 스포츠의학 분과전문의 취득 - 2002~2003년 미국 UCLA에서 노인의학 연수 - 2009~2011년 현재 경희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부대학원장 관련학회 활동 - 대한신경근골격초음파학회 전회장 - 대한재활의학회 차기 이사장 - 대한임상통증학회 회장 - 대한스포츠의학회 부회장 - 대한임상노인의학회 이사 - 대한류마티스학회 이사 수상 경력 - 1995년 대한재활의학회 제2회 학술상 - 2003년 대한임상통증학회 제1회 학술상 - 2003년 서울특별시장 표창장 수상(제2324호) - 2006년 제22회 보령의료봉사상(대한의사협회) - 2009년 대한임상통증학회 제7회 학술상 - 2009년 대한신경근골격초음파학회 우수포수터상
펼치기
유승돈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학력 - 1994년 2월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 2002년 2월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재활의학전공 의학석사 학위 취득 - 2005년 2월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재활의학전공 의학박사 학위 취득 경력 - 1994년 2월 의사면허 취득 - 2002년 2월 경희대학교 의대병원 재활의학과 전공의 수료 및 전문의 취득 - 2002년 3월~2003년 2월 서울아산병원 재활의학과 전임의 - 2003년 3월~2005년 12월 관동의대 명지병원 재활의학과 조교수 - 2006년 3월~현재 경희대학교 의대병원 재활의학과 부교수 및 강동경희대병원 재활의학과장 - 2004년~2006년 대한재활의학회 정책팀 간사 - 2006년~2008년 대한재활의학회 홍보위원회 간사 - 2009년 3월, 2011년 2월 대한뇌신경재활회 총무이사 활동학회 - 대한재활의학회(2010년~현재; 고시위원회위원, 홍보위원회위원, 편집위원회위원) - 대한뇌신경재활학회이사(2011년~현재) - 대한노인재활의학회(2010년~현재; 학술위원회위원) - 대한신경근골격초음파학회(2011년~현재; Qc 위원회위원장) - 대한노인병학회 분과 전문의 - 스포츠의학전문 인정의
펼치기
윤동환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학력 - 1994년 2월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 1999년 2월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재활의학전공 의학석사 학위 취득 - 2005년 2월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재활의학전공 의학박사 학위 취득 경력 - 1994년 2월 의사면허 취득 - 2001년 2월 경희대학교 의대병원 재활의학과 전공의 수료 및 전문의 취득 - 2001년 3월~2003년 2월 경희대학교 의대병원 재활의학과 전임의 - 2003년 3월~2007년 2월 을지의대 을지병원 재활의학과 조교수 - 2007년 3월~2011년 현재 경희대학교 의대병원 재활의학과 부교수 - 2000년 11월 노인의학전문 인정의 취득 - 2007년 11월 스포츠의학전문 인정의 취득 활동학회 - 대한재활의학회(2010년~현재; 수련교육위원회간사, 학술위원회위원) - 대한임상통증학회(2009년~현재; 학술위원회위원) - 대한노인재활의학회(2010년~현재; 정보위원회위간사) - 대한신경근골격초음파학회(2009년~현재; 홍보위원회위원) - 대한스포츠의학회(2009년~현재; 편집위원회위원) - 대한통증연구학회(2010년~현재; 학술위원회부위원장) - 대한임상노인의학회 회원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