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임상의학 > 신경정신과
· ISBN : 9788964980200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12-02-01
책 소개
목차
발간사 V
집필진 VIII
Chapter 1 유발전위의 원리 1
Principles of Evoked Potentials
1 유발전위의 정의 및 역사 1
2 유발전위의 종류 2
3 유발전위의 기록 5
4 임상 이용 범위 6
5 향후 전망 7
Chapter 2 유발전위의 검사방법 9
Methodology and Techniques of Evoked Potentials
1 정중신경(median nerve) 자극에 의한 체성감각유발전위 검사법 9
2 후경골신경(posterior tibial nerve) 자극에 의한 체성감각유발전위 검사법 11
3 기타 하지신경에서의 체성감각유발전위 검사법 14
4 시각유발전위검사 14
5 뇌간청각유발전위검사(brainstem auditory evoked potential) 17
6 인지유발전위(cognitive evoked potential, P300) 19
7 자기 자극에 의한 운동유발전위(motor evoked potential) 검사법 20
8 수술 중 유발전위감시(intraoperative evoked potential monitoring) 22
Chapter 3 유발전위검사의 평가와 정상치 산정 29
Interpretation and References of Evoked Potentials
1 총론 29
2 시각유발전위(visual evoked potentials, VEP) 30
3 뇌간청각유발전위(brainstem auditory evoked potentials, BAEP) 33
4 체성감각유발전위(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s, SSEP) 36
5 운동유발전위(motor evoked potential, MEP) 41
6 인지유발전위(cognitive evoked potentials, CEP) 42
Chapter 4 시각유발전위검사 47
Visual Evoked Potentials(VEP)
1 총론 47
2 시각유발전위의 검사 방법 48
3 시각유발전위의 해석 52
4 특수 목적의 시각유발전위검사 55
5 시각유발전위의 임상적 적용 61
6 맺음말 66
Chapter 5 뇌간청각유발전위검사 69
Brainstem Auditory Evoked Potentials(BAEP)
1 청각계의 해부와 기능(anatomy and function of auditory system) 70
2 뇌간청각유발전위 80
(auditory brainstem response, ABR): brainstem auditory evoked potentials, BAEP
3 뇌간청각유발전위의 임상 응용 8 7
Chapter 6 체성감각유발전위검사 91
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s(SEP)
1 체성감각유발전위검사 총론 91
2 상지 체성감각유발전위 100
3 하지 체성감각유발전위 103
4 임상 진단 검사로서의 체성감각유발전위검사 106
5 혼수 환자의 체성감각유발전위검사 107
6 수술 중 감시 1 0 8
Chapter 7 운동유발전위검사 111
Motor Evoked Potentials(MEP)
1 서론 111
2 경두개 전기자극 운동유발전위 112
3 경두개 자기자극 운동유발전위 118
(motor evoked potential using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4 임상 응용 120
5 운동유발전위의 문제점과 향후 전망 123
Chapter 8 소아 뇌간청각유발전위검사 127
Brainstem Auditory Evoked Potentials in Children
1 서론 127
2 한국 소아에서 각 파형의 정상치 128
3 신생아기의 BAEP 130
4 소아기에서 BAEP의 이상을 초래하는 질환이나 병변 및 그 소견 139
Chapter 9 사건관련전위 145
Event-Related Potentials
1 서론 145
2 사건관련전위의 종류와 검사 모형 149
3 자료의 분석 154
4 측정치의 해석 155
5 임상적 적용 157
6 사건관련전위 P300 159
7 임상 적용과 연구를 위한 새로운 모형 162
8 앞으로의 과제와 주의사항 164
Chapter 10 마취와 유발전위 169
Anesthesia and Evoked Potential
1 유발전위(evoked potential) 169
2 생리 및 병리학적 요소가 감각유발전위에 미치는 영향 177
3 마취제가 유발전위에 미치는 영향 178
Chapter 11 뇌동맥류 수술 중 유발전위감시 187
Intraoperative Evoked Potential Monitoring during Cerebral Aneurysm Surgery
1 서론 187
2 체성감각유발전위(SSEP)의 모니터링 188
3 저자 교실의 경험분석 190
4 운동유발전위(MEP)의 모니터링 197
5 체성감각유발전위 모니터링과 운동유발전위 모니터링의 비교 200
6 결론 202
Chapter 12 척추 수술 중 유발전위감시 205
Monitoring of Spinal Cord Function Intraoperatively Using Motor and
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s
1 척추 수술 중 신경생리적 감시 205
2 척수내 종양(Intramedullary spinal cord tumor)에서 유발전위 모니터링 209
3 임상 증례 2 1 3
Chapter 13 뇌종양 수술 중 유발전위감시 217
Intraoperative Evoked Potential Monitoring during Brain Tumor Surgery
1 개요 217
2 천막상부 종양(supratentorial tumor) 수술에서의 수술 중 감시 217
3 천막하부 종양(infratentorial tumor) 수술에서의 수술 중 감시 224
4 각성 시 수술(awake surgery)을 이용한 수술 중 언어기능 감시 229
Chapter 14 기능적 뇌수술 중 유발전위감시 237
Intraoperative Evoked Potential Monitoring during Functional Neurosurgery
1 서론 237
1. 청각유발전위(auditory evoked potential, AEP) 237
2. 체성감각유발전위(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 SEP) 239
3. 운동유발전위(motor evoked potential, MEP) 241
4. 시각유발전위(visual evoked potential, VEP) 242
5. 안면 근전도(facial EMG) 243
6. 뇌파검사(electroencephalography, EEG)와 피질뇌파검사(electrocorticography, EcoG) 244
7. 피질 전기자극(cortical electrical stimulation) 248
INDEX 25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