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공무원 수험서 > 교원임용시험 > 교육학
· ISBN : 9788965385950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14-06-16
책 소개
목차
01. 이이(李珥)의 「격몽요결(擊蒙要訣)」에 나타난 과거제도와 이이의 공부하는 태도에 나타나는 교육의 목적
02. 서당교육의 교육사적 의미와 교육의 기회균등관
03. 고려시대의 과거 시험과 조선시대의 과거시험 비교04. 성리학자들과 실학자들의 ‘지행’에 대한 관점 비교
05. 맹자의 사상
06. 루소의 사상
07. 진보주의
08. 실존주의
09. 포스트모더니즘
10. 저항이론의 특징과 교육적 시사점
11. 콜맨(Coleman)의 자본
12. 학교교육의 팽창이론
13. 교육평등관
14. 비고츠키
15. 구성주의 학습에서 전제하는 지식의 성격(지식관)
16. 행동주의
17. 인간 본성에 대한 관점
18. 구성주의와 객관주의
19. 교류분석의 기본 방법
20. 올포트의 특질
21. 현실치료상담
22. 빈 의자 기법
23. 콜버그(L. Kohlberg)의 도덕성 발달이론
24. 상담기법
25. 동기 상태
26. 길리건(G. Gilligan) 도덕성
27. 귀인이론
28. 인지양식
29. J. Holland의 진로탐색 검사
30. 토의법과 협동학습
31. 동기유발방법
32. F. Herzberg의 동기-위생이론
33. 지도성의 특징
34. 학업성취도 검사 점수분포
35. 표준정규분포표 해석
36. 평가 참조틀(Frame of reference) 비고
37. 평가의 유형
38. 루소의 교육관
39. 고자와 맹자의 인간의 본성
40. 기능론?인간자본론
41. 도덕성 발달의 특징
42. 실험학교와 진보주의
43. 아리스토텔레스
44. Ellis의 상담모형
45. 교육관
46. Berne의 Egogram
47. 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 단계
48. 교육의 목적
49. Carnoy(카노이)의 교육수익율
50. 소크라테스
51. 가네의 수업사태의 단계
52. 학교장의 지도성 유형
53. 상징적 상호작용론
54. 교육조직의 성격
55. 재미슨(D. Jamieson)과 토마스(K. Thomas)의 갈등해결 모형
56. 음서제도와 갈등론
57. 인지양식에 따른 교수방법
58. Dweck의 능력
59. 도덕성 관념의 주장자
60. 성리학의 ‘理와 氣’와 Vygotsky
61. 장학유형의 명칭과 특징
62. 백분위와 수능등급(스테나인)
63. 오류
64. 문항반응이론의 특징
65. Bandura의 사회학습이론(social learning theory)과 Skinner의 강화이론(reinforcement theory)
66. 드리븐의 규범
67. 브루너와 오수벨 학습이론
68. 연구방법과 비행이론
69. 반두라(Bandura)의 사회학습:인지주의와 행동주의를 동기이론을 결합한 이론
70. 가드너의 지능이론과 프로젝트의 명칭
71. 학습자 활동의 인지활동
72. 매슬로의 위계적 욕구 이론
73. 피아제의 인지발달
74. 피아제의 아동발달특성
75. 강화와 벌
76. 상담 기법의 명칭과 동기유발이론
77. 학력상승이론과 성취목표
78. 교육의 기회균등과 비행이론
79. 의사결정론과 조직 풍토
80. 학문중심 교육과정
81. Herbart(헤르바르트)의 다면적 흥미의 개념
82. Blended learning
83. 교육매체연구 유형
저자소개
책속에서
머리말
1. 교육학 논술의 전제
‘교육학 논술’과 ‘교직논술’은 차이가 많다. 교직논술은 ‘교직’에 관한 일반 소양( 주 5일제 수업 등)을 물어보는 것이기 때문에 상식의 선에서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교육학 논술’은 교육학을 바탕으로 글을 전개하여 나가야 하기 때문에 ‘교육학 배경 지식’이 없다면 ‘0’점도 가능하다.
2. ‘논술’이란?
‘논술’은 비판력과 창의력 같은 고등사고능력을 길러 주는 것이다. 이미 ‘고등사고능력’이라는 말에 논술을 어떻게 써야 할 것인가가 들어가 있다.
‘비판-이 비판에 대한 대안(문제해결력)’의 구도를 갖추게 된다. ‘대안’이 창의적이면 높은 점수를 받을 수 있다. 물론 그 ‘대안’의 제시가 타당한 근거를 갖고 이루어져야 한다.
3. 이 책의 특징
이 책은 기초적인 지식만을 물어 보는 것으로 구성하였다. 즉 복자료를 제시하면서 합과제가 아닌 단독과제를 중심으로 전개하였다. 그 이유는 자료제시 전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가장 기초적인 것이 해결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렇지 않으면 사상누각(砂上樓閣-모래위에 집짓기)이 되어버린다. 다음 문제집은 복합적인 문제를 내놓도록 하겠다.
“學問如逆水行舟不進則退(끊임없이 노력을 해야 하는 것이 공부다.)”“A rolling stone gathers no moss(구르는 돌에는 이끼가 끼지 않는다)”라는 말로 이 원고를 끝맺고자 한다.
용이 나타나는 동네에서
김정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