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건강/취미 > 질병치료와 예방 > 허리/디스크/척추/통증
· ISBN : 9788965964285
· 쪽수 : 136쪽
· 출판일 : 2021-03-16
책 소개
목차
독자를 위한 안내
누르는 것만으로 통증을 치료할 수 있다
아픈 부위를 백날 눌러봐야 소용없다
목결림과 어깨결림의 원인은 위축된 몸 앞쪽 근육이다
통증의 원인은 두 종류다
트리거 포인트 이완의 핵심은 누르는 지점이다
트리거 포인트를 이완하는 방법
잠깐만요! 원리를 이해하면 효과는 더욱 높아진다!
PART 1 목이 아플 때(목결림·어깨결림)
STEP 1 트리거 포인트를 누른다
자가진단
트리거 포인트는 여기!
트리거 포인트 ① 큰가슴근을 누르자!
트리거 포인트 ② 넓은등근을 누르자!
트리거 포인트 ③ 어깨밑근을 누르자!
트리거 포인트 ④ 아래팔굽힘근을 누르자!
여기에 어깨뼈와 척추 사이도 아프다면… 작은원근을 누르자!
STEP 2 통증 부위의 혈류를 높인다
어깨올림근을 누르자!
STEP 3 바른 자세를 만든다
잠깐만요! 목결림·어깨결림과 새우등의 관계
PART 2 허리가 아플 때
STEP 1 트리거 포인트를 누른다
자가진단
트리거 포인트는 여기!
트리거 포인트 ① 큰볼기근을 누르자!
트리거 포인트 ② 넙다리근막긴장근을 누르자!
트리거 포인트 ③ 가쪽넓은근을 누르자!
트리거 포인트 ④ 배빗근을 누르자!
여기에 허리를 젖히거나 틀 때 아프다면, 넓은등근을 누르자!
STEP 2 통증 부위의 혈류를 높인다
등허리근막을 누르자!
STEP 3 바른 자세를 만든다
잠깐만요! 허리를 삐끗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PART 3 무릎이 아플 때
통증의 원인은 틀어진 무릎 관절
STEP 1 트리거 포인트를 누른다
트리거 포인트 ① 앞정강근을 누르자!
트리거 포인트 ② 뒤정강근을 누르자!
트리거 포인트 ③ 종아리근을 누르자!
트리거 포인트 ④ 긴모음근을 누르자!
트리거 포인트 ⑤ 넙다리근막긴장근을 누르자!
STEP 2 통증 부위의 혈류를 높인다
안쪽넓은근을 누르자!
잠깐만요! 허리 통증, 남 일이 아니었다·
PART 4 어깨가 아플 때(사십견·오십견)
통증의 원인은 움직이지 않는 어깨뼈!
STEP 1 트리거 포인트를 누른다
트리거 포인트는 여기!
자가진단
트리거 포인트 ① 작은가슴근을 누르자!
트리거 포인트 ② 넓은등근을 누르자!
트리거 포인트 ③ 어깨밑근을 누르자!
트리거 포인트 ④ 위팔두갈래근을 누르자!
트리거 포인트 ⑤ 작은원근을 누르자!
트리거 포인트 ⑥ 위팔노근을 누르자!
트리거 포인트 ⑦ 아래팔굽힘근을 누르자!
STEP 2 통증 부위의 혈류를 높인다
긴갈래힘줄을 누르자!
통증이 가라앉았다면 도전! 어깨뼈 돌리기
잠깐만요! 평일에는 접골원, 주말에는 세미나, 쉴 틈 없던 시절!
PART 5 엉덩관절이 아플 때
통증의 원인은 틀어진 엉덩관절
STEP 1 트리거 포인트를 누른다
트리거 포인트는 여기!
자가진단
트리거 포인트 ① 넙다리근막긴장근을 누르자!
트리거 포인트 ② 긴모음근을 누르자!
트리거 포인트 ③ 배빗근을 누르자!
트리거 포인트 ④ 큰볼기근을 누르자!
STEP 2 통증 부위의 혈류를 높인다
넙다리근막긴장근을 누르자!
통증이 가라앉았다면 도전! 엉덩관절 열기!
잠깐만요! 해부학을 배우며 매일 조금씩 나아간다!
PART 6 생활습관 바로잡고 통증 없는 몸 만들기
바르게 서는 법
바르게 걷는 법
바르게 앉는 법
바르게 계단 오르내리는 법
리뷰
책속에서
병원이나 치료원에 다녀도 통증은 일시적으로 누그러질 뿐이다. 평생 통증과 함께 살아야 하나 싶어 눈앞이 캄캄하다. 나를 찾아오는 환자 중에는 이러한 고민을 호소하는 사람이 많다. 만성 통증의 ‘완치’를 신조로 삼고 있는 나는, 우선 면밀한 상담을 통해 통증의 원인이 어디에 있는지 파악한다. 그러고 나서 모두가 오랫동안 안고 있던 통증을 ‘눌러서’ 치료한다. 누르는 방법을 쓰는 이유는 통증이 발생할 정도의 몸이라면 스트레칭조차 할 수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책상에 앉아서 일하거나 요리와 같은 집안일을 할 때, 어깨는 앞으로 움츠러들고 팔은 안쪽으로 틀어진다. 스마트폰을 볼 때도 마찬가지다. 몸을 안쪽으로 굽히지 않으면 손가락 끝에 힘이 들어가지 않기 때문이다. 고개를 숙이고 어깨와 팔을 비튼 자세로 가만히 있다 보면, 가슴과 겨드랑이 근육에 부담이 쌓여서 근육이 긴장하여 단단하게 위축된다. 이 상태가 몇 시간씩 계속되면 근육은 위축된 채로 뻣뻣하게 굳는다. 통증은 근육이 팽팽해진 목이나 어깨에서 나타나지만, 통증의 원인은 수축한 가슴과 겨드랑이 근육에 있는 것이다.
- <독자를 위한 안내> 중에서
새우등의 특징을 하나 더 꼽자면, 골반이 앞으로 기울어져 있다는 것이다. 골반이 앞으로 기울어지면 엉덩관절은 앞으로 당겨지기 마련이다. 그 상태에서 똑바로 서려고 하면 자연스럽게 엉덩이가 뒤로 빠지고 허리는 앞으로 꺾인다. 이런 상태를 소위 ‘요추전만’이라고 한다. 인체의 무게중심은 머리끝부터 발끝까지 곧게 걸려야 정답이다. 그런데 머리 무게가 앞으로 치우치면, 몸은 균형을 맞추려고 하기 때문에 등은 굽고 골반은 기울어 점점 새우등이 된다. 그 결과, 어떻게 될까? 길에서 흔히 마주치는, 목과 어깨에 통증을 이고서 지팡이를 짚고 비척비척 걷는 노인이 되는 것이다.
- <목결림·어깨결림과 새우등의 관계>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