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전문번역교육 수업모델 설계와 적용

전문번역교육 수업모델 설계와 적용

함채원 (지은이)
한국문화사
2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8,000원 -0% 0원
1,400원
26,6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3개 22,9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2,000원 -10% 1100원 18,700원 >

책 이미지

전문번역교육 수업모델 설계와 적용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전문번역교육 수업모델 설계와 적용 
· 분류 : 국내도서 > 외국어 > 통역/번역 > 번역
· ISBN : 9788968175220
· 쪽수 : 408쪽
· 출판일 : 2017-08-20

책 소개

번역 교수자들의 효율적인 수업 설계를 돕기 위한 책이다. 교수.학습 환경을 구성주의적으로 설계하기 위한 다섯 가지 핵심 원칙을 도출하였고, 이것을 번역수업에 도입하기 위한 실천적 방안을 학습자 중심, 과정 중심, 상황 중심 번역교육에서 모색하였다.

목차

제1장 전문번역교육 수업 모델 연구의 출발점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연구 문제 및 구성

제2장 전문번역교육 수업 모델 설계의 절차적 틀과 실천적 방법 모색
1. 기능주의 이론과 번역교육
1.1. 선형적 ST 지향성과 번역의 상향식 접근법
1.2. 번역 문제의 기능적 위계와 하향식 접근법
1.3. 하향식 접근법의 인지적 활동을 위한 개념적 모델
1.3.1. Nord의 번역 지향적 텍스트 분석 모델
1.3.2. Colina의 사전 번역 활동 모델
1.4. 번역브리프
1.5. 텍스트와 관습
1.5.1. 텍스트 유형과 번역
1.5.2. 텍스트 장르 및 장르관습과 번역
1.5.3. 텍스트 유형 및 장르와 번역교육
2. 번역능력과 번역교육
2.1. 번역능력의 개념
2.2. 번역교육 측면의 번역능력
2.2.1. 번역교육 측면의 번역능력 개념과 구성요소
2.2.2. 번역교육 측면의 번역능력 다중 성분 모델
2.3. 번역능력의 습득 절차와 번역교육의 방향성
3. 교수설계 이론과 번역교육
3.1. 교수설계 개념
3.2. 거시적 교수설계와 번역교육 설계 모델
3.2.1. 언어교육 교수설계 모델
3.2.2. 번역교육 교수설계 모델
3.3. 미시적 교수설계와 번역교육의 구성주의적 접근법
3.3.1. 구성주의 교수·학습관의 개념
3.3.2. 구성주의 학습환경 설계의 원리와 구성요소
3.3.3. 번역교육의 구성주의적 접근법

제3장 전문번역교육 수업 모델 연구 방법___101
1. 실행연구
2. 연구 대상 학습자
3. 연구 절차 및 기간
4. 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
4.1. 자료 수집 방법
4.2. 자료 분석 방법
4.3. 연구의 타당성

제4장 전문번역교육 수업 모델 설계 및 적용 결과
1. 학습자 및 번역수업 문제점 분석
2. 1차 전문번역교육 수업 모델 설계
2.1. 설계 대상 교과목 선정
2.2. 기대학습성과 및 번역능력 설정
2.3. 이론 강의 및 번역과업 설계
2.3.1. 이론 강의 및 실습 단계
2.3.2. 번역과업 단계
2.4. 교수자·학습자 역할 및 상호작용 규정
2.5. 번역과업 텍스트 설계
2.6. 번역브리프 설계
2.7. 번역사노트 설계
2.8. 피드백 방법 설계
3. 1차 실행수업
3.1. 1차 실행수업 내용
3.2. 1차 실행수업 학습자 인식 분석
3.2.1. 전반적 평가
3.2.2. 개선점 도출을 위한 세부 항목 평가
3.2.3. 번역 순서와 방법의 변화
3.3. 1차 실행수업 평가
4. 2차 전문번역교육 수업 모델 설계
4.1. 이론 강의 및 실습 단계
4.2. 번역과업 텍스트 설계
4.3. 번역사노트 설계
4.4. 피드백 방법 설계
5. 2차 실행수업 적용 결과
5.1. 2차 실행수업 내용
5.2. 2차 실행수업 학습자 초기진단 분석
5.3. 2차 실행수업 학습자 수행 분석
5.3.1. 화용적 요소를 활용한 번역전략과 번역 변이 분석
5.3.2. 은유 번역 유형 분석
5.3.3. 장르관습 인식 및 조절 능력 분석
5.3.4. 의뢰인과의 소통 및 상호작용 분석
5.3.5. 학습자 파악의 어려움 해소 여부 분석
5.4. 2차 실행수업 학습자 인식 분석
5.4.1. 수업 방식 평가
5.4.2. 하향식 접근법과 번역사노트 평가
5.5. 2차 실행수업 평가
6. 전문번역교육 수업 모델 최종 제안

제5장 전문번역교육 수업 모델 연구의 요약과 성찰___353

저자소개

함채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약력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 국제회의통역 석사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 통번역학 박사 전)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 및 통번역학부 외래교수 전) 한국외국어대학교 평생교육원 통번역기초과정 강사 전) 한국교육개발원 방송통신중고등학교 수업콘텐츠 개발사업 강의위원 전) 경기도여성능력개발센터 일본어 강의위원 전) 한일의원연맹·JTBC 일본어 강사 전) 삼성멀티캠퍼스·인재개발원 등 이러닝 강사 현) 외교부 등록 사단법인 한일미래포럼 이사 현) 한국통번역사협회 이사 저서 『스피킹 매트릭스: 30초 일본어 말하기』(길벗 이지톡) 『전문번역교육 수업모델 설계와 적용』(한국문화사) 『일본어 첫 데이트』(니혼고팩토리) 경기도여성능력개발센터 일본어 초급 교본 월간 『일본어 저널』(다락원) 칼럼 국제행사 일본어 MC 교본 외 다수
펼치기

책속에서

전문번역교육 수업 모델 연구의 출발점
본 연구는 전문번역교육 수업 모델을 설계하여 학습자 및 번역수업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실행을 통해 효용성과 한계점을 고찰하여 통번역대학원 교수자들이 참조할 수 있는 수업 모델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실행연구이다.
통번역 수요의 증가, 니즈의 다양화로 인하여 통번역교육기관은 양적 팽창을 거듭하고 있으며 변화하는 시대의 요구에 부응하듯이 통번역대학원의 번역 교과 역시 주제별, 중점 분야별, 매체별로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양적?질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전문번역교육 현장에서는 검증된 교육 모델의 부재로 인해 교수자 개인의 경험에 의존한 교육 방식이 주를 이루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번역교육기관이 제공하는 교육의 질 제고에 대한 요구가 갈수록 거세지고 있으나(정연일 2007: 118), 번역 교육과정 설계와 관련해 기초로 삼을 연구 모델이 충분치 않고(박옥수 2007: 167), 대학원 차원에서의 교수법 연구 성과가 빈약하며(이유진 2010: 124), 따라서 검증된 교육 방식이 특별히 없는 실정에서 전문번역교육은 각 교육기관이나 교수자들의 경험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김한식 2008: 13).
실제로 통번역대학원에서는 전문번역사로 활동하는 교수자들이 실무 현장에서 실제 수주한 텍스트를 과제로 제시하거나 자신들이 경험했던 번역 업무를 모방하여 수업을 진행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이 방식은 학습자들을 간접적으로 실무 상황에 노출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한 방법임에는 틀림없지만 Kiraly(1995: 10-11)가 지적한 바와 같이 “일관된 방법론이나 교육의 원칙이 없다면 전문번역사가 수업을 담당하는 상황에서조차도 개별 교수자의 직관이나 일화적 경험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는 한계가 있다. 그렇다면 번역수업에 일관된 방법론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그러면서도 학습자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한 학기 수업을 풍부하고 유기적인 활동으로 채우려면 어떻게 해야 되는가. 궁극적으로 ‘무엇’을 ‘어떻게’ 가르쳐야 번역수업이 더욱 유의미해질 수 있는가. 연구자는 2011년 한국외대 통번역대학원 한일 번역수업을 처음 담당하게 되면서 이와 같은 의문점을 가지게 되었고, 신임 교수자 차원에서 참조할 수 있는 체계적이고 통합적인 번역수업 모델의 설계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번역교육에 관한 국내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번역이론에 입각한 수업 환경 조성이나 교수 자료?교육 모델?피드백 등을 통해 체계적인 번역교육을 모색하고자 하는 시도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번역이론 중에서는 특히 기능주의 이론을 번역교육에 적용한 사례들이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다(정연일 2003; 전미연 2004; 김진숙 2011, 2012; 박미정 2013; 김대영 2014). 이는 기능주의가 번역이 이루어지는 실무 상황을 설명하기에 적합한 모델일 뿐 아니라, 실제 맥락과 유사하게 수업 환경을 조성하는 데 유용한 개념적 틀을 제공한다는 측면 때문일 것이다(Nord 2006; Pym 2010; Colina 2010). 이밖에도 번역이론에 기초한 교수 자료 설계 연구로는 Reiss(1976)의 텍스트 유형론에 입각한 번역과제 텍스트 배열 모델(이상빈 2010), 이독성 공식을 활용한 번역텍스트 난이도 평가와 선정 기준(이미경 2012), 과업기반 방법론에 입각한 영상번역 수업 교안 설계(안미영 2012) 등을 찾아볼 수 있다. 교육 모델 측면에서는 기능주의 이론에 기반을 둔 현장형 번역교육모델(김진숙 2011), 텍스트성에 입각한 번역평가 활용 교육 모델(홍경아 2012; Kiraly 1995)의 사회구성주의 번역수업 방식에 입각한 과업중심 비즈니스 번역수업 모델(김현아 2014), 이론?실습 연계형 수업 모델(원종화 2013) 등의 연구를 꼽을 수 있겠다. 한편 피드백 방법 연구로는 Kiraly(1995)의 사회구성주의 번역수업에 입각한 다면평가 모델(강경이 2011), 과정 중심 접근법에 입각한 글쓰기 교육과 동료 비평(이상원 2008)과 상호작용적 피드백 사례(이미경 2011) 등이 있으며, 이와 같은 체계적인 번역교육을 위한 시도들이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공해주고 있다.
그러나 교육 분야의 연구가 본래 가지고 있는 광범위한 특성과 지면 제약 등으로 인해 대다수의 연구가 수업 운영 사례나 교수?학습의 일부 구성요소만을 다루는 데 머무르는 측면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따라서 여전히 번역수업에서 ‘무엇을’,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가에 관한 통합적인 방안(교수학습 내용의 선정과 배열, 교수학습 활동.방법.도구에 이르기까지 수업에 포함되는 일련의 구성요소)을 한 눈에 조망할 수 있는 수업 모델 연구는 충분하지 않다. 연구 범위를 학부 차원이 아닌 전문번역교육으로 한정한다면 연구 성과는 더욱 제한적이다. 2015년을 기준으로 본다면 한국외대 통번역대학원 한중과 중한번역수업을 대상으로 현장형 번역교육모델을 설계한 김진숙(2011) 정도가 유일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어 연구 축적이 상당히 빈약한 실정이다. 그마저도 한국어와 중국어를 대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본 연구가 대상으로 하는 한.일 번역에 적용하기에는 제한이 따랐다. 한국어와 일본어를 대상으로 한 수업 모델 설계 연구로는 김종희(2010)가 있으나 학부 차원을 대상로 하고 있기 때문에 통번역대학원 실정과는 학습 목표나 내용, 방법 등의 측면에서 상이점이 있다. 결론적으로 한.일 언어를 대상으로 한 전문번역교육 수업 모델 연구는 현재로서 전무하다 볼 수 있겠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668588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