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새로운 영문법 해설 2

새로운 영문법 해설 2

(의사소통을 위한)

고경환 (지은이)
한국문화사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0,000원 -0% 0원
1,500원
28,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3개 25,54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4,000원 -10% 1200원 20,400원 >

책 이미지

새로운 영문법 해설 2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새로운 영문법 해설 2 (의사소통을 위한)
· 분류 : 국내도서 > 외국어 > 영문법
· ISBN : 9788968178757
· 쪽수 : 504쪽
· 출판일 : 2020-04-30

책 소개

대부분의 문법책에서 피상적으로 규칙 나열에 그쳤던 문법적인 내용들과 기존 문법책에서 전혀 취급되지 않았던 영어의 여러가지 현상들에 대해 상세히 해설하였다. 문법 사항을 설명하는데 필요한 새로운 용어를 사용하였고 살아있는 언어를 중심으로 하여 가려 뽑은 유익한 예문들을 충분히 제시하였다.

목차

서문 『 의사소통을 위한 새로운영문법해설』 전 4권을 펴내면서

제6장 시제(Tenses)
6.1. 시제와 시간
6.2. 시제와 시간의 불일치
6.3. 단순시제형과 복합시제형
6.4. 현재시제
6.4.1. 현재시제의 시간 영역
6.4.2. 현재시제의 용법
6.4.2.1. 비제한적 현재
6.4.2.2. 습관적 활동
6.4.2.3. 동시적 현재
6.4.2.4. 과거 사건의 현재시 관련성
6.4.2.5. 미래시를 나타내는 현재시제형
6.5. 과거시제
6.5.1. 과거시제의 시간 영역
6.5.2. 과거시제의 용법
6.5.3. 과거시제와 관련된 시간 표현
6.5.4. 태도 표시의 과거
6.6. 미래시 표현
6.6.1. will, shall
6.6.2. 현재시제형
6.6.3. 현재진행형
6.6.4. be going to
6.6.4.1. 현재의 의도
6.6.4.2. 현재의 원인과 결과
6.6.4.3. 과거형
6.6.5. 미래진행형
6.6.6. 기타의 미래시 표현
6.7. 진행형
6.7.1. 진행과 비진행
6.7.2. 현재진행형의 용법
6.7.2.1. 진행중인 활동
6.7.2.2. 제한된 기간 동안 지속
6.7.2.3. 반복성
6.7.2.4. 미완료: 완결/비완결
6.7.3. 과거진행형의 용법
6.7.4. 진행형과 동사의 부류
6.7.4.1. 동적동사와 상태동사
6.7.4.2. 동적동사와 상태동사의 구분
6.7.4.3. 동적동사의 하위 부류
6.7.4.4. 상태동사의 하위 부류
6.8. 현재완료
6.8.1. 현재완료의 시간 영역
6.8.2. 현재완료의 용법
6.8.2.1. 완료된 사건
6.8.2.2. 현재까지의 계속
6.8.2.3. 결과적 과거
6.8.2.4. 현재까지의 경험
6.8.3. 현재완료와 과거시제
6.8.4. 현재완료 진행
6.9. 과거완료
6.10. 미래완료

제7장 수동태(Passive Voice)
7.1. 능동태와 수동태
7.1.1. 구조적 대립
7.1.2. 태의 대립에 따른 효과
7.1.3. 구
7.1.4. 수동태와 양태부사
7.2. 수동태의 용법
7.2.1. 문미 초점과 문미 중점
7.2.2. 무동작주 수동태
7.2.2.1. 불분명한 동작주
7.2.2.2. 명백한 동작주
7.2.2.3. 표현의 간결성
7.2.2.4. 막연한 능동 주어
7.3. 수동태에 따른 제약
7.3.1. 동사에 대한 제약
7.3.1.1. 타동성
7.3.1.2. 중간동사
7.3.1.3. 다어동사
7.3.2. 전치사를 수반한 수동태
7.3.3. 목적어에 대한 제약
7.3.3.1. 재귀대명사와 상호대명사
7.3.3.2. 동족목적어
7.3.3.3. 부정사절과 동명사절
7.3.3.4. that-절
7.3.3.5. (대)명사 + that-절 등
7.3.3.6. 간접목적어와 직접목적어
7.3.4. 의미상의 제약
7.3.4.1. 수량어, 대명사, 부정어
7.3.4.2. 법조동사
7.3.4.3. 총칭적 주어
7.4. 능동-수동태
7.4.1. 능동-수동태의 의미
7.4.2. 능동-수동태의 구조적 특성
7.5. 상태 수동과 동작 수동
7.5.1. be + 과거분사
7.5.2. be + 과거분사의 분석
7.6. by 이외의 전치사
7.7. get-수동태
7.7.1. be-수동태와 get-수동태
7.7.2. get-수동태의 의미와 용법

제8장 부정사절(Infinitival Clauses)
8.1. 절 구조
8.2. 부정사절의 유형
8.2.1. to-부정사절과 원형 부정사절
8.2.2. 시제와 태
8.2.3. 부정
8.3. 부정사절의 시간 관계
8.3.1. 현재 부정사절
8.3.2. 완료 부정사절
8.4. 부정사절의 주어
8.4.1. 명시적 주어
8.4.1.1. for + 주어
8.4.1.2. of + 주어
8.4.1.3. 주어 + (to-)부정사절
8.4.2. 이해된 주어
8.4.3. 주어의 생략
8.5. 부정사절의 용법
8.5.1. 명사적 용법
8.5.1.1. 부정사절의 외치
8.5.1.2. 의문 부정사절
8.5.2. 형용사적 용법
8.5.2.1. 명사구 + to-부정사절
8.5.2.2. 전치사를 수반한 to-부정사절
8.5.3. 부사적 용법
8.6. 독립 부정사절
8.7. 분리 부정사절
8.8. be + to-부정사절
8.9. 대부정사절
8.10. 수동 부정사절
8.11. 원형 부정사절

제9장 동명사절(Gerund Clauses)
9.1. 동명사와 현재분사
9.1.1. 구조와 뜻
9.1.2. 강세
9.2. 동명사의 형태
9.2.1. 시제형
9.2.2. 수동
9.2.3. need + -ing 등
9.2.4. 부정
9.3. 동명사의 성격
9.3.1. 명사적 성격
9.3.2. 동사적 성격
9.3.2.1. 절 구조
9.3.2.2. 절성과 명사성
9.4. 동명사절과 동작명사구
9.4.1. 구조적 차이
9.4.2. 의미의 차이
9.5. 동명사절의 시간 관계
9.5.1. 현재 동명사절
9.5.2. 완료 동명사절
9.6. 동명사절의 주어
9.6.1. 명시적 주어
9.6.1.1. 속격 주어
9.5.1.2. 목적격 주어
9.6.2. 이해된 주어
9.7. 동명사절의 용법
9.8. 동명사절의 외치
9.8.1. 외치의 조건
9.8.2. 주어를 수반한 동명사절의 외치
9.8.3. 우측 전위
9.9. 동명사절과 부정사절
9.9.1. 주어로서의 동명사절과 부정사절
9.9.2. 목적어로서의 동명사절과 부정사절
9.9.3. 부정사절과 <전치사 + 동명사절>
9.10. 동명사절의 관용적 표현

제10장 분사와 분사절(Participles and Participial Clauses)
10.1. 분사의 형태
10.1.1. 현재분사와 과거분사
10.1.2. –en 분사형
10.2. 동사적 분사와 분사 형용사
10.2.1. 동사적 분사
10.2.2. 분사 형용사
10.3. <분사 + 명사>의 구조와 뜻
10.3.1. 현재분사
10.3.2. 과거분사
10.3.3. 복합어
10.3.4. 명사 + ed 형태
10.3.4.1. a bearded man 유형
10.3.4.2. a one-eyed man 유형
10.4. 분사 형용사의 용법
10.4.1. 전치 수식어
10.4.2. 후치 수식어
10.4.2.1. 제한적
10.4.2.2. 비제한적
10.4.3. 주격보어
10.4.4. 목적보어
10.5. 분사의 위치와 뜻
10.6. 감정동사의 분사형
10.7. 분사의 수식어
10.8. 분사절
10.8.1. 분사절의 구조
10.8.1.1. 접속사가 이끄는 분사절
10.8.1.2. being의 생략
10.8.1.3. 분사절의 부정
10.8.2. 절대 분사절
10.8.2.1. 주어를 동반한 분사절
10.8.2.2. 전치사 with(out)가 이끄는 분사절
10.8.3. 완료분사절
10.8.4. 분사절이 나타내는 뜻
10.9. 독립절을 대신하는 분사절
10.10. 비연관 분사절

제11장 가정법(Subjunctive Mood)
11.1. 직설법과 가정법
11.2. 가정법 현재
11.2.1. 구조
11.2.2. 주절의 동사 변이형
11.2.3. 종속절의 동사 변이형
11.2.4. if ..., then
11.2.5. if와 when
11.2.6. 명령문 + and/or ...
11.2.7. 가정법 현재가 나타내는 뜻
11.3. 가정법 과거
11.3.1. 구조
11.3.2. 가정법 과거가 나타내는 뜻
11.4. 가정법 과거완료
11.4.1. 구조
11.4.2. 가정법 과거완료가 나타내는 뜻
11.5. 혼합 가정법
11.5.1. 가정법 과거완료와 가정법 과거의 혼합
11.5.1.1. 가정법 과거완료와 가정법 과거
11.5.1.2. 가정법 과거와 가정법 과거완료
11.5.2. 직설법과 가정법의 혼합
11.6. if ... not과 unless
11.6.1. 교체 가능성
11.6.2. 구조적 차이
11.7. 사실적 가정법
11.7.1. 특정적 조건
11.7.2. 총칭적 조건
11.7.3. 습관적 조건
11.7.4. 명백한 추론
11.8. 암시된 조건절
11.9. 조건절을 이끄는 종속접속사
11.10. 가정법을 포함하는 표현들
11.10.1. I wish … 등
11.10.1.1. I wish + 가정법 과거 (완료)
11.10.1.2. I wish + ... would
11.10.2. it’s time …
11.10.3. if only …
11.10.4. as if와 as though
11.10.5. if it were not for
11.11. if의 생략과 도치
11.12. 생략과 대용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고경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제주 출생 (1947) 제주대학교 영어교육과 졸업 (1975)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졸업 (1977) 고려대학교 대학원 졸업 (문학박사, 1987)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강사 (1979. 3 - 1981. 2) 제주대학교 전임강사 - 교수 (1981. 4 - 2013. 2) 제주대학교 인문대학 학장, 평생교육원장 (2002. 6 - 2004. 5)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객원학자 (2006. 8 - 2007.7) 현재 제주대학교 명예교수 역서 영어어법사전 (1984, 한신문화사) 영어동사의미론 (1985, 한신문화사) 대학영문법 (1988, 한신문화사) 저서 영어의 표현과 용법 (1995, 한신문화사) 실용영문법해설 전3권 (1999 - 2012, 제주대학교 출판부) 의사소통을 위한 영어동사문법 (2009, 제주대학교 출판부)
펼치기

책속에서

6.4.2.1. 비제한적 현재

시간적으로 현재시제가 가장 포괄적으로 쓰일 수 있는 상황은 상태적인 의미를 가진 동사를 사용하여 시간을 초월한(timeless) 항구적인 진리와 일반적인 사실을 나타내는 경우이다. 즉, 진술 내용이 항구적인 진리나 일반적인 사실이라는 점이 때로는 알 수 없는 먼 ‘과거시부터 현재시’까지, 그리고 전혀 예측 불가능하거나 적어도 한정할 수 없는 ‘미래시’(future time)에 이르기까지 유효하게 된다.

The moon circles the earth every 28 days.
[달은 28일에 한 번씩 지구 주위를 돈다.]
Hydrogen is the lightest element.
[수소는 가장 가벼운 원소이다.]
A prism disperses light.
[프리즘은 빛을 분산시킨다.]
Heat deforms plastics.
[열을 가하면 플라스틱의 모양이 바뀐다.]
Paint contains a certain amount of lead.
[페인트에는 어느 정도 납 성분이 들어 있다.]
Some bacteria are asexual and multiply by cell division.
[일부 박테리아는 성의 구분이 없어서 세포분열로 증식된다.]

지리와 관련된 내용을 서술하는 경우도 시간적인 한계가 없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시간을 초월한 현재시제의 용법이 적용될 수 있다.

Rome stands on the River Tiber.
[로마는 티버강에 인접해 있다.]
The Atlantic Ocean separates the New World from the Old.
[대서양은 신대륙과 구대륙을 분리시키고 있다.]

이상과 같은 예들은 알 수 없는 과거에서, 현재, 그리고 알 수 없는 미래까지 진술된 상태가 무한히 지속되어 시간적으로 볼 때 아무런 제한이 없기 때문에 현재시제가 ‘비제한적’(unrestrictive)으로 쓰였다고 하는 것이다.
예컨대 belong, know, seem 따위와 같은 상태동사로 나타나는 인간의 일은 종종 그 지속 기간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This land belongs to my close relative.(이 땅은 나의 가까운 친척의 것이다.)와 같은 경우에 현시점에서는 이 땅이 내 가까운 친척의 것이지만, 언제까지 지속될 것인지 알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태를 나타내기 때문에 이러한 인간의 일은 과거나 미래까지 확장되는데 어떠한 변화나 한계가 있으리라는 암시가 적어도 현시점에서는 없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681799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