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외국어 > 영문법
· ISBN : 9788968178771
· 쪽수 : 496쪽
· 출판일 : 2020-04-30
책 소개
목차
서문 『 의사소통을 위한 새로운영문법해설』 전 4권을 펴내면서
제18장 부사절(Adverbial Clauses)
18.1. 부사절의 구조
18.1.1. 주절과 종속절
18.1.2. 종속접속사의 유형
18.2. 부사절의 유형
18.2.1. 정형절
18.2.2. 비정형절
18.2.3. 무동사절
18.3. 부사절의 위치
18.3.1. 문두 위치
18.3.2. 문미 위치
18.3.3. 문중 위치
18.4. 부사절의 기능
18.5. 부사절의 분류
18.5.1. 의미 부류
18.5.2. 의미의 중복
18.5.3. 시간절
18.5.3.1. 종속접속사와 절 유형
18.5.3.2. 여러 가지 종속접속사의 용법
18.5.3.3. 미래시를 뜻하는 부사절의 시제
18.5.4. 장소절
18.5.5. 이유절
18.5.6. 목적절
18.5.7. 결과절
18.5.7.1. 결과절을 이끄는 종속접속사
18.5.7.2. 목적절과 결과절의 차이
18.5.8. 양보절
18.5.8.1. 양보절의 의미
18.5.8.2. 양보절을 이끄는 종속접속사
18.5.8.3. Rich as/though he is ...의 어순
18.5.9. 양태절
18.5.10. 비례절
18.5.11. 대립절
제19장 비교구문(Comparative Constructions)
19.1. 절대적/상대적
19.2. 비교형의 유형
19.2.1. 정도어와 비정도어
19.2.2. 원급·비교급·최상급
19.2.2.1. 규칙적인 비교 형태
19.2.2.2. 불규칙적인 비교 형태
19.2.2.3. 라틴어에서 유래한 비교 형태
19.3. 비교구문
19.3.1. 비교 요소와 기준
19.3.2. 비교절의 도치
19.3.3. as와 than + 인칭대명사의 격형
19.3.4. 의사 비교구문
19.4. 비교구문의 유형
19.4.1. 동등 비교
19.4.1.1. as ... as
19.4.1.2. as busy as a bee 등
19.4.1.3. as ... as possible
19.4.1.4. 동등 비교의 부정
19.4.1.5. 배수 표현
19.4.2. 차등 비교
19.4.2.1. 우등 비교
19.4.2.2. 열등 비교
19.4.2.3. the + 비교급
19.4.2.4. the + 비교급 ..., the + 비교급 ...
19.4.2.5. hotter and hotter 등
19.4.2.6. more than + 형용사 등
19.4.2.7. 정도 명사의 등급성
19.4.2.8. 비교급이 포함된 각종 표현들
19.4.3. 최상급 표현
19.4.3.1. the + 최상급 형태
19.4.3.2. 정관사의 생략
19.4.3.3. 최상급의 대용형
19.4.3.4. 절대 비교급과 절대 최상급
19.5. 비교급과 최상급의 뜻을 강화하는 단어들
19.6. 비교절의 생략과 축약
제20장 문장의 유형(Types of Sentences)
20.1. 구·절·문장
20.1.1. 구
20.1.1.1. 구 구조
20.1.1.2. 구의 분포
20.1.1.3. 구의 시험
20.1.2. 절과 문장
20.1.2.1. 문장
20.1.2.2. 절
20.1.2.3. 종속절과 상위절
20.2. 진술문
20.3. 부정문
20.3.1. not-부정
20.3.1.1. 조작어 + not
20.3.1.2. 부정어의 축약
20.3.2. no-부정
20.3.3. 기타 부정어
20.3.4. 단정형과 비단정형
20.3.5. 부정의 강조
20.3.6. 부분 부정과 전체 부정
20.3.6.1. 부분 부정
20.3.6.2. 전체 부정
20.3.7. 부정의 범위
20.3.8. 부정의 초점
20.3.9. 부정어의 어순과 도치
20.4. 의문문
20.4.1. yes/no 의문문
20.4.1.1. 기본 구조
20.4.1.2. 진술 의문문
20.4.1.3. yes/no 부정 의문문
20.4.2. wh-의문문
20.4.2.1. wh-의문문의 구조
20.4.2.2. 간접 의문문
20.4.3. 부가 의문문
20.4.3.1. 부가 의문문의 구조
20.4.3.2. 부가 의문문의 조작어
20.4.3.3. 부가 의문문의 주어
20.4.3.4. 부가 의문문의 억양과 의미
20.4.4. 선택 의문문
20.4.5. 수사 의문문
20.4.6. 반향 의문문
20.5. 명령문
20.5.1. 명령문의 기본 구조
20.5.2. 명령문의 주어
20.5.2.1. ‘이해된’ 주어
20.5.2.2. 명시적 주어
20.5.3. let-명령문
20.5.4. 정중성의 정도
20.5.5. 명령문의 의미
20.6. 감탄문
20.6.1. 감탄문의 기본 구조
20.6.2. how-감탄문
20.6.3. what-감탄문
20.6.4. 감탄문의 축약
20.6.5. 감탄 의문문
20.6.6. 감탄절
20.7. 존재문
20.7.1. 존재문의 구조
20.7.2. 존재문의 문법성
20.7.3. 존재문에서 there의 지위
20.7.4. 존재문의 구조적 유형
20.7.5. 존재문의 담화적 기능
20.7.6. 존재문의 동사
20.8. 분열문
20.8.1. 분열문의 구조
20.8.2. 초점 요소
20.8.3. 의사 분열문
제21장 생략과 대용(Ellipsis and Substitution)
21.1. 생략·대용·전제절
21.2. 생략
21.2.1. 상황적 생략
21.2.1.1. 진술문에서의 생략
21.2.1.2. 의문문에서의 생략
21.2.2. 구조적 생략
21.2.3. 기능적 생략
21.2.3.1. 명사구에서 명사의 생략
21.2.3.2. 술부에서의 생략
21.2.3.3. 서술의 생략
21.2.3.4. 의문문에서의 생략
21.2.3.5. 종속절에서의 생략
21.2.3.6. 등위구조에서의 생략
21.2.3.7. to-부정사절에서의 생략
21.3. 대용
21.3.1. 명사(구) 대용형
21.3.1.1. 인칭대명사
21.3.1.2. 부정대명사
21.3.1.3. the same
21.3.2. 부사 대용형
21.3.3. 서술 대용형
21.3.3.1. do
21.3.3.2. do so
21.3.3.3. do so, do it, do that
21.3.4. 절 대용형: so와 not
21.3.4.1. 절 대용형: so
21.3.4.2. so + 주어 + 동사
21.3.4.3. 절 대용형: not
21.3.5. so + 주어 + 조작어
21.3.6. so + 조작어 + 주어
제22장 화법(Narration)
22.1. 화법의 유형
22.1.1. 직접화법과 간접화법
22.1.2. 화법의 구조
22.1.3. 화법에 쓰이는 동사들
22.1.4. 전달절의 위치
22.2. 화법의 전환
22.2.1. 대명사와 한정사
22.2.2. 시간 부사구
22.2.3. 장소 부사구
22.2.4. 법조동사
22.3. 과거 추이
22.3.1. 시제의 일치
22.3.2. 시제의 일치에 대한 예외
22.4. 문장 유형과 간접화법
22.4.1. 진술문
22.4.2. 의문문
22.4.3. 명령문
22.4.4. 감탄문
22.4.5. 혼합문
제23장 어순(Word Order)
23.1. 어순의 중요성
23.2. 신정보와 구정보
23.3. 주제화와 전치
23.3.1. 주어와 주제
23.3.2. 목적어의 전치
23.4. 전치와 도치
23.4.1. 주격보어
23.4.2. 전치사구
23.4.3. there 삽입
23.5. 전위
23.5.1. 좌측 전위
23.5.2. 우측 전위
제24장 어형성(Word Formation)
24.1. 어형성 규칙의 생산성
24.2. 어형성의 유형
24.2.1. 복합어
24.2.1.1. 복합어의 품사
24.2.1.2. 복합어 요소의 결합
24.2.1.3. 음성적 기준
24.2.1.4. 복합어가 내포하는 뜻
24.2.1.5. 복합어의 유형과 문법
24.2.2. 파생어
24.2.2.1. 형태소
24.2.2.2. 파생 접사의 첨가
24.2.3. 혼성어
24.2.4. 어두 문자어
24.2.5. 단축어
24.2.6. 역성어
24.2.7. 전환
24.2.7.1. 명사로 전환
24.2.7.2. 동사로 전환
24.2.7.3. 형용사로 전환
24.2.7.4. 형태상의 변화와 관련된 전환
24.2.8. 차용어
24.2.9. 고유명에서 온 단어들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18.4. 부사절의 기능
부사절은 종속절의 한 범주로서, 주절에 연결되어 부사어구와 마찬가지로 문장 속에서 동사구에 대한 수식어 역할을 하거나, 진술된 명제 전체를 수식하는 역할을 한다. 예컨대 They arrived while we were having dinner.(우리가 저녁 식사를 하고 있을 때 그들이 도착했다.)에서 부사절 while we were having dinner는 동사 arrived를 수식하고 있다. 간단히 말하자면, 부사절은 부사어구와 마찬가지로, when, where, why, how 따위와 같은 의문부사로 시작되는 의문문에 대한 대답에 필수적으로 등장하는 절 형식이다.
Tell him as soon as he arrives. (When ...?)
[그가 도착하는 즉시 그에게 말해라.]
You can sit where you like. (Where ...?)
[앉고 싶은 곳에 앉아라.]
He cannot run because he has a weak heart. (Why ...?)
[그는 심장이 약해서 달리기를 못한다.]
부사구와 마찬가지로, 부사절이 단지 수식하는 역할만 하는 것이 아니라, 문장을 완전하게 만드는데 필수적인 요소가 되기도 한다. 즉, SVA 구조를 가지고 문장으로서 주어와 동사 이외에 동사가 나타내는 뜻에 따라 부사류를 필수적으로 요구하거나, 또는 SVOA 구조의 문장에서 주어, 동사, 목적어 이외에 부사류를 필수적으로 요구하기도 한다. 다시 말하자면, 이러한 부사절은 일종의 부사적 보어(adverbial complement) 역할을 한다.
SVA 구조:
Your coat is where you left it.
[너의 외투는 네가 둔 그곳에 있다. → 장소를 나타내는 부사절 where you left it이 코트가 놓여있는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임.]
Dinner will be when everybody has arrived.
[모든 사람들이 도착하면 저녁 식사가 나올 것입니다. → 시간을 나타내는 부사절 when everybody has arrived가 자동사인 be 동사의 뜻을 보충하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임.]
My grandparents lived before television was invented.
[나의 조부모님께서는 텔레비전이 발명되기 이전에 사셨다.]
You may live wherever you like.
[네가 살고 싶은 곳이면 아무데서나 살아도 좋다.]
SVOA 구조:
I put it where I found it.
[나는 그것을 있었던 곳에 두었다. → put과 같은 동사 다음에는 목적어 이외에 장소를 나타내는 부사류가 있어야 함.]
He treats his wife as if she were a chattel.
[그는 자기 아내를 자기 물건처럼 취급한다. → treat가 ‘다루다’, ‘취급하다’라는 뜻일 때는 양태를 나타내는 부사류를 요구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