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컴퓨터/모바일 > OS/Networking > 리눅스
· ISBN : 9788968481208
· 쪽수 : 792쪽
· 출판일 : 2014-09-01
책 소개
목차
1부. 성공적인 학습을 위한 준비 작업 및 설치
1장. 실습 환경 구축
__1.1 가상머신의 소개와 설치
__1.2 가상머신 생성
__1.3 VMware의 특징
__1.4 원활한 실습 진행을 위한 사전 준비
2장. 페도라 리눅스 소개
__2.1 리눅스의 개요
__2.2 페도라 리눅스 배포판
3장. 페도라 리눅스 설치
__3.1 3대의 페도라 설치
__3.2 Fedora 19 설치 후 추가로 변경할 내용
__3.3 WinClient 설치
2부. 기본 개념과 관리자의 기본 역할
4장. 서버를 구축하는 데 알아야 할 필수 개념과 명령어
__4.1 리눅스를 운영하는 데 먼저 알아야 할 개념
__4.2 리눅스 기본 명령어
__4.3 사용자 관리와 파일 속성
__4.4 리눅스 관리자를 위한 명령어
__4.5 네트워크 관련 설정과 명령어
__4.6 파이프, 필터, 리다이렉션
__4.7 프로세스, 데몬, 서비스
__4.8 서비스와 소켓
__4.9 응급 복구
__4.10 GRUB 부트로더
__4.11 간단한 커널 컴파일
5장. X 윈도를 사용하자
__5.1 그놈 데스크톱 환경 설정
__5.2 X 윈도 응용프로그램
__5.3 KDE 데스크톱의 사용
6장. 하드디스크 관리와 사용자별 공간 할당
__6.1 하드디스크 1개 추가하기
__6.2 여러 개의 하드디스크를 하나처럼 사용하기
__6.3 LVM
__6.4 페도라를 RAID에 설치하자
__6.5 사용자별로 공간을 할당하자
7장. 셸 스크립트 프로그래밍
__7.1 셸의 기본
__7.2 셸 스크립트 프로그래밍 실습
3부. 네트워크 서버 구축 실무 Ⅰ
8장. 원격지 시스템 관리하기
__8.1 텔넷 서버
__8.2 OpenSSH 서버
__8.3 VNC 서버
9장. 네임 서버 설치와 운영
__9.1 네임 서버의 개념
__9.2 네임 서버의 구축
10장. 메일 서버 설치와 운영
__10.1 메일 서버의 개념
__10.2 센드메일 서버의 구현
__10.3 웹 메일의 설치 및 사용
11장. 데이터베이스 서버 구축과 운영
__11.1 DBMS의 개념과 간단한 SQL문
__11.2 MariaDB 설치와 운영
__11.3 Oracle Database Express를 설치하고 운영하기
__11.4 Windows용 응용프로그램과 리눅스 DBMS의 연동
12장. 웹 서버 설치와 운영
__12.1 APM 설치와 웹 서버의 응용 서비스
__12.2 웹 서버 설정 파일과 X 윈도용 설정 도구
__12.3 소스를 컴파일해서 APM을 설치하자
4부. 네트워크 서버 구축 실무 Ⅱ
13장. FTP 서버 설치와 운영
__13.1 vsftpd의 설치와 운영
__13.2 proftpd의 설치와 운영
__13.3 Pure-FTPd의 설치와 운영
14장. NFS 서버 설치와 운영
__14.1 NFS 서버 구현
__14.2 X 윈도용 NFS 설정 도구
15장. Samba 서버 설치와 운영
__15.1 리눅스에서 Windows의 폴더와 프린터 사용
__15.2 Windows에서 리눅스 폴더와 프린터 사용
16장. 다른 컴퓨터에서 IP 주소를 자동으로 할당하자
__16.1 DHCP 개념
__16.2 DHCP 구현
17장. 프록시 서버 설치와 운영
__17.1 프록시 서버의 개념
__17.2 프록시 서버의 구현
18장. 방화벽 컴퓨터를 만들자
__18.1 보안을 위한 네트워크 설계
__18.2 리눅스 방화벽 컴퓨터의 구축
19장. PXE 설치 서버
__19.1 PXE 설치 서버의 개념과 구현
__19.2 킥스타트
부록. 외부 컴퓨터에서 VMware 가상머신으로 접속하기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지은이 서문
2005년도에 초판이 나온 이후로 어느덧 개정 3판을 출간하게 되었다. 그 동안 많은 독자께서 격려해 주셨다. 필자가 이 책을 집필한 이유인, '초보자도 리눅스의 실무 기능을 막힘 없이 실습해 볼 수 있는 쉬운 책'이라는 목표에 동의해주신 것이다. 이 지면을 빌어 무한한 감사를 드린다.
이번 개정 3판은 기존 책의 장점을 그대로 살리면서 최신 VMware와 페도라 리눅스 버전을 사용했다. 또, 서버 구축 부분에서는 최신 트랜드에 맞춰 많은 부분을 보강했다. 특히 스마트폰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서비스와 수백 대의 리눅스를 자동으로 설치할 수 있는 PXE 설치 서버의 내용을 추가했다.
리눅스와 리눅스 서버 구축 강좌를 강의할 때 수강생들이 공통적으로 원하는 것은 '리눅스 기초'가 아닌 '리눅스 실무'였다. 하지만 리눅스 실무를 위해 꼭 필요한 기초 명령에 초점을 맞춰 강의하다 보면 한 학기가 훌쩍 지나가서 결국 기초 명령만 맛보다가 종강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래서 언젠가부터 리눅스를 처음 접하는 수강생들에게도 기초 명령은 아주 간단히 진행한 후에 바로 본격적인 실무 네트워크 서버 구축을 진행했다. '수강생이 잘 알아듣지 못하고 혼자 떠드는 건 아닐까?'하는 걱정도 했지만, 결과는 아주 성공적이었다. 수강생 대부분이 필자의 요구에 잘 따라왔으며 특히 '기초'가 아닌 써먹을 수 있는 '실무'를 배운다는 점에 만족도가 아주 높았다. 종종 어려워하는 부분이 없지는 않았지만, 리눅스에 흥미를 느낀 수강생들은 별도의 과제가 아니어도 스스로 필요한 부분을 학습하고 막히는 부분을 질문했다. 학기말 강의 평가에서 과제가 재미있으니, 더 다양하게 내달라는 학생들도 있었다. 그렇게 해서 한 학기 수업만으로도 대부분의 리눅스 서버 실무 실습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이 책은 '실무형 실습 환경'으로 혼자서 공부하더라도 강의실에서 필자와 함께 학습하는 효과를 낼 수 있도록 구성했다. 따라서 눈으로만 익혀서는 안 된다. 모든 실습을 따라 해가면서 익혀야 한다. 그 안에 자연스럽게 녹아 있는 고급 실무 내용을 통해 여러분은 조금씩 실무 적응력이 향상되는 효과를 경험할 수 있다. 리눅스 초보자를 위한 책이지만 끝까지 마무리한다면 어느덧 리눅스 실무를 경험할 준비가 되었다는 것을 느끼게 될 것이다. 또한 고급 리눅스 관리자가 되려면 앞으로 무엇을 더 공부해야 할지를 스스로 찾아볼 수 있는 내공을 지니게 될 것이다.
_2014년 어느 날 새벽에 연구실에서, 우재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