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정신의학적 진단의 핵심

정신의학적 진단의 핵심

(DSM-5의 변화와 쟁점에 대한 대응)

Allen Frances (지은이), 박원명, 전덕인, 김문두, 민경준, 윤보현, 우영섭 (옮긴이)
시그마프레스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1,700원 -10% 580원 9,950원 >

책 이미지

정신의학적 진단의 핵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정신의학적 진단의 핵심 (DSM-5의 변화와 쟁점에 대한 대응)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임상의학 > 신경정신과
· ISBN : 9788968661587
· 쪽수 : 352쪽
· 출판일 : 2014-03-25

책 소개

정신건강 임상가들에게 정신과적 감별 진단의 덤불 속을 안내하는 길잡이다. Frances는 DSM-5에서 과도한 부분들에 대한 사려 깊고 효과적인 비판을 통하여, 타당하고 필수적인 진단과 환자들에게 해를 줄 수도 있는 시기 상조의, 혹은 변덕스런 진단에 대해서 보여주고 있다.

목차

제1장 어떻게 이 책을 사용할 것인가
제2장 일반적으로 소아청소년기에 처음 진단되는 장애들
제3장 우울장애
제4장 양극성장애
제5장 불안장애
제6장 강박장애 및 관련 장애들
제7장 외상 및 스트레스 관련 장애
제8장 조현병 스펙트럼 및 기타 정신병적장애
제9장 물질관련장애와 행위중독
제10장 신경인지장애
제11장 인격장애
제12장 충동조절장애
제13장 섭식장애
제14장 수면-각성 장애
제15장 성 및 성 정체성 관련 사항
제16장 신체증상과 관련된 장애
제17장 해리성장애
제18장 정신장애는 아니지만 임상적 관심의 초점이 될 수 있는 상태에 관한 코드들

부록
찾아보기
코드 자료

저자소개

앨런 프랜시스 (지은이)    정보 더보기
뉴욕 주립 대학교에서 의학 박사 학위를 받고 코넬 의과 대학 외래 병동 책임자를 거쳐 듀크 대학교 정신 의학부 학부장으로 있다. 미국 정신 의학 협회(APA)에서 연례 모임을 조직하는 위원회 부의장을 지냈으며, 전 세계 정신과에 비치되어 정신 장애 진단의 교본으로 사용되는 DSM(정신 장애 진단 통계 편람) 3판(DSM-III) 및 3판 개정판(DSM-IIIR) 작업에 참여한 후 4판(DSM-IV)을 작성하는 팀을 조직하고 이끌었다. DSM이 항구적인 베스트셀러, 문화적 아이콘, 정신 의학의 성경으로 군림하게 되면서 정신 의학계의 DSM에 대한 맹신, 의료 현장에서의 부주의한 진단, 제약 산업의 질병 장사 등이 결합하여 진단 인플레이션과 거짓된 정신병의 유행을 초래하는 현실을 실제 의료 현장에서 지켜보았다. 새로이 출간된 DSM-5가 정신 장애의 문을 대폭 넓힘으로써 이러한 현상들을 보다 가속화시킬 문제점들을 지녔음을 깨닫고, DSM을 올바르게 사용하여 위기에 빠진 정신 의학계와 범람하는 정신 장애에 노출된 현대인을 구원할 수 있는 지침들을 널리 알리고자 이 책을 썼다. 《허핑턴 포스트(伊Huffington Post伊)》와 《사이콜로지 투데이(伊Psychology Today伊)》 등 여러 매체에 꾸준히 글을 쓰고 있으며, DSM-5에 산재하는 문제들에 대항해 의료 현장에서 정신 장애 진단을 내리는 데 실재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안내서 『정신과 진단의 핵심(伊Essentials of Psychiatric Diagnosis伊)』을 집필하였다.
펼치기
박원명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가톨릭의대를 졸업하고, 국내 처음으로 미국 Harvard 의대 McLean 병원에서 양극성장애에 대한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연구를 하였다. 2001년 대한우울조울병학회 창립을 주도하였으며, 2005년에는 양극성장애 전문가 그룹인 Korean Bipolar Disorders Forum을 만들었다. 국내 최초로 한국형 양극성장애 약물치료 알고리듬을 개발하고, 양극성장애와 임상신경정신약물학 교과서를 대표저자로 출판하는 등 저역서 37편을 출간하고, 학술논문 592편(SCI 논문 194편)을 국내외 학술지에 발표하여 국내 정신의학 및 기분 장애(우울증, 양극성장애) 발전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 2011년 양극성장애, 2024년에는 우울증으로 EBS 명의에 2회 출연을 하였으며, 2021년 정신의학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대한민국 정부가 수여하는 녹조근정훈장을 수상하였다. 국제적으로는 2016년 World Journal of Psychiatry 학술지 표지인물로, 2021년에는 미국 학술평가기관인 Expertscape로부터 기분장애 분야 최고 전문가로 선정되었다. 현재 Korean Bipolar Disorders Forum 대표와 대한 우울조울병학회 상임집행위원장 등으로 활동 중이다.
펼치기
전덕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졸업 후 박사까지 취득하였다. 세브란스병원에서 전공의 수련을 마치고 이어서 연구 강사로서 활동하던 중, 미국에 건너가서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와 Harvard Medical School의 McLean Hospital에서 뇌영상학을 연구했다. 귀국하여 일산병원에서 근무하다가 이후 한림대학교 정신건강의학과로 옮겨 과장 및 주임교수를 지내고 현재까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전문 분야는 양극성장애와 우울장애를 포함한 기분장애 및 정신약물학이며, 그동안 다수의 연구논문과 책을 발간하였다. 대한우울조울병학회에서 이사, 이사장, 회장 등을 역임하였다. 대한정신약물학회에서는 SCIE 저널인 Clinical Psychopharmacology and Neuroscience의 Editor-in- Chief와 학회 회장을 역임하였고, 현재 한국사이키델릭연 구회 대표로 활동 중이다.
펼치기
김문두 (감수)    정보 더보기
제주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정신건강의학과 주임교수 및 제주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장 제주광역정신건강증진센터장 대한우울·조울병학회 총무이사 대한정신약물학회 재무이사 Psychiatry Investigation 편집위원
펼치기
민경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및 동 대학원 의학박사 현재 중앙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및 과장
펼치기
윤보현 (옮긴이)    정보 더보기
국립나주병원 의료부장 전남광역정신건강증진센터장 대한정신약물학회 부이사장 대한우울·조울병학회 기획이사 Korean Bipolar Disorders Forum(KBF) 총무 한국형 양극성장애 약물치료 알고리듬 프로젝트 공동실무위원장
펼치기
우영섭 (옮긴이)    정보 더보기
가톨릭대학교 의학박사 캐나다 토론토대학교 의과대학부속 토론토웨스턴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연수 현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여의도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부교수 영등포구 정신건강복지센터장 대한정신약물학회 총무이사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686628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