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New 알기 쉬운 자동차 섀시

New 알기 쉬운 자동차 섀시

윤준호 (지은이)
학진북스(삼성북스)
31,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1,000원 -0% 0원
930원
30,07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개 25,84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New 알기 쉬운 자동차 섀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New 알기 쉬운 자동차 섀시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기계공학 > 자동차공학
· ISBN : 9788968780233
· 쪽수 : 380쪽
· 출판일 : 2019-01-15

책 소개

자동차 섀시 분야에 대한 구조와 기능에 관한 사항을 토대로 기술의 진보에 따라 내구성 향상이나 신기구 및 신소재의 적용 또는 전자제어의 도입분야에 대해 이해가 쉽도록 기본원리와 그림, 도표 등을 삽입하였다.

목차

제1장 자동차 섀시의 개요

단원 1. 섀시와 보디(chassis & body)
단원 2. 섀시의 주요 구성장치
2-1. 동력발생장치(power unit or engine)
2-2. 동력전달장치(power train)
2-3. 현가장치(suspension system)
2-4. 조향장치(steering system)
2-5. 제동장치(brake system)
단원 3. 기관 배치 및 구동방식에 따른 분류
3-1. 앞 기관 뒷바퀴 구동방식(FR구동 : Front Engine Rear Drive Type)
3-2. 앞 기관 앞바퀴 구동방식(FF구동 : Front Engine Front Drive Type)
3-3. 뒤 기관 뒷바퀴 구동방식(RR구동 : Rear Engine Rear Drive Type)
3-4. 앞 기관 모든 바퀴 구동방식(4WD방식 : Front Engine All Wheel Drive Type)

제2장 동력전달 장치

단원 1. 클러치(Clutch)의 구조와 그 작용
1-1. 클러치의 개요
1-2. 클러치의 작동(단판 클러치의 경우)
1-3. 클러치의 종류와 그 특징
1-4. 단판 클러치의 구조
1-5. 클러치 조작기구
1-6. 클러치 조작방식
1-7. 클러치 용량과 미끄러지지 않을 조건
단원 2. 수동변속기의 구조와 그 작용
2-1. 변속기의 필요성과 구비조건
2-2. 변속기의 분류
2-3. 변속기 조작기구
2-4. 오조작 방지기구
2-5. 트랜스 액슬(trans axle)
단원 3. 자동변속기의 구조와 그 기능
3-1. 자동변속기의 개요
3-2. 유체 클러치(fluids clutch)
3-3. 토크컨버터(Torque Converter)
3-4. 자동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3-5. 유압제어 기구
3-6. 댐퍼 클러치(또는 록업 클러치)
3-7. 전자제어 자동 변속기
3-8. 동력전달 과정
3-9. 자동변속기 변속레버의 종류
3-10. 전자제어 자동변속기의 각종 제어
단원 4. 무단 변속기(CVT)의 구조와 그 작용
4-1. 무단 변속기의 개요
4-2. 무단변속기의 구성별 분류
4-3. 무단변속기의 구성요소와 작동
4-4. 무단변속기의 전자제어
단원 5. 스마트 정속주행 장치
5-1. 스마트 정속주행 장치의 개요
5-2. 스마트 정속주행 장치의 스위치
5-3. 스마트 정속주행 장치의 제어
5-4. 컴퓨터와 레이더 센서
5-5. ETC(Electronic Throttle Control) 전동기
단원 6. 드라이브라인?뒤차축 어셈블리 및 바퀴
6-1. 드라이브 라인(drive line)
6-2. 종감속기어와 차동기어
6-3. 차축(axle shaft)
6-4. 바퀴
단원 7. 주행저항
7-1. 자동차 주행저항의 개요
7-2. 구름저항(Rolling resistance, Rr)
7-3. 공기저항(Air resistance, Ra)
7-4. 등판저항(Gradient resistance, Rg)
7-5. 가속저항(Acceleration resistance, Ri)
7-6. 전체 주행저항(Total running resistance, Rt)

제3장 현가장치(Suspension system)

단원 1. 현가장치의 개요
단원 2. 현가장치의 구성부품
2-1. 스프링(spring)
2-2. 쇽업소버(shock absorber)
2-3. 스태빌라이저(stabilizer)
단원 3. 현가장치의 분류
3-1. 일체차축 방식(solid axle suspension type)
3-2. 독립현가 방식(independent suspension type)
3-3. 공기 현가장치(air suspension system)
단원 4. 자동차의 진동 및 승차감
4-1. 자동차 진동
단원 5. ECS(Electronic Control Suspension System)
5-1. ECS의 개요
5-2. ECS의 종류
5-3. ECS의 구성
단원 6. ECS의 자세제어
6-1. 프리뷰 제어(preview control)
6-2. 퍼지제어(fuzzy control)
6-3. 스카이훅 제어(sky hook control)
6-4. 앤티 롤링 제어(Anti-rolling control)
6-5. 앤티 스쿼트 제어(Anti-squat control)
6-6. 앤티 다이브 제어(Anti-dive control)
6-7. 앤티 피칭 제어(Anti-Pitching control)
6-8. 앤티 바운싱 제어(Anti-bouncing control)
6-9. 차속감응 제어(vehicle speed control)
6-10. 앤티 셰이크 제어(Anti-shake control)
단원 7. ECS의 제어 기능 및 작동
7-1. 감쇠력 제어 기능(Damping Force Control)
7-2. 차고제어 기능(Hight Control)

제4장 조향장치(Steering System)

단원 1. 조향장치의 원리
1-1. 애커먼-장토방식(Ackerman-Jantoud type)
1-2. 최소회전 반지름
1-3. 조향장치의 구비조건
단원 2. 기계제어 조향장치의 구조와 작용
2-1. 일체차축 방식의 조향기구
2-2. 독립차축 방식의 조향기구
2-3. 조향기구
단원 3. 일반적인 동력조향장치(power steering system)
3-1. 일반적인 동력조향장치의 개요
3-2. 일반적인 동력조향장치의 종류
3-3. 일반적인 동력조향장치의 구성요소
단원 4. 전자제어 동력조향장치(ECPS ; Electronic Control Power Steering)
단원 5. 4WS의 기능
5-1. 4WS의 개요
5-2. 4WS의 적용 효과
5-3. 4WS의 작동원리
5-4. 4WS의 구성
단원 6. 선회성능
6-1. 사이드슬립(side slip)이 타이어에 작용하는 힘
6-2. 코너링 포스(cornering force)
6-3. 캠버 스러스트(camber thrust)
6-4. 언더 스티어링과 오버 스티어링
6-5. 선회특성과 방향 안정성
6-6. 조향특성

제5장 앞바퀴 얼라인먼트(Front Wheel Alignment)

단원 1. 앞바퀴 얼라인먼트의 개요
단원 2. 앞바퀴 얼라인먼트 요소의 정의와 필요성

제6장 제동장치(Brake System)

단원 1. 제동장치의 개요
단원 2. 유압 브레이크(hydraulic brake)
2-1. 유압 브레이크의 개요
2-2. 유압 브레이크의 구조와 그 작용
단원 3. 브레이크슈와 드럼의 조합
3-1. 자기작동 작용
3-2. 작동상태에 따른 분류
3-3. 자동조정 브레이크
단원 4. 브레이크 오일(brake fluid)
단원 5. 디스크 브레이크(disc brake)
5-1. 디스크 브레이크의 개요
5-2. 디스크 브레이크의 분류
단원 6. 배력 브레이크(servo brake)
6-1. 진공배력 방식의 원리
6-2. 진공배력 방식의 종류
단원 7. 공기 브레이크(air brake)
7-1. 공기 브레이크의 개요
7-2. 공기 브레이크의 구조
단원 8. 제동이론
8-1. 제동력 및 제동거리
8-2. 제동경과
단원 9. ABS
9-1. ABS(Anti-skid brake System)의 개요
9-2. ABS 구성요소 구조 및 작동원리
9-3. ABS 고장진단
단원 10. EBD 제어(Electronic Brake-force Distribution Control)
10-1. EBD의 개요
10-2. EBD 필요성
10-3. EBD 작동원리
10-4. EBD 경고등 제어
단원 11. BAS
11-1. BAS의 개요
11-2. BAS의 장점 및 특징
11-3. BAS의 종류
단원 12. 감속 브레이크(Retarder and engine brake)
12-1. 감속 브레이크의 개요

제7장 TCS

단원 1. TCS의 개요
단원 2. TCS 종류
2-1. 기관조정 TCS & 흡입공기량 제한형식
2-2. 브레이크 제어 TCS
2-3. 통합제어 TCS
단원 3. TCS 기능 및 제어
3-1. TCS 기능
3-2. TCS 작동원리
단원 4. 통합제어 TCS의 구성요소 및 작동원리
4-1. 통합제어 TCS 입?출력계통
4-2. 통합제어 TCS 구성요소의 기능 및 작동원리
4-3. TCS 경고등 제어
4-4. CAN 통신정보

제8장 ESP

단원 1. ESP의 개요
단원 2. ESP 제어이론
2-1. 요 모멘트(yaw moment)
2-2. 언더 및 오버 스티어링(under & over steering)
단원 3. ESP의 종류 및 작동원리
3-1. 진공부스터를 이용한 방식의 ESP
3-2. 유압부스터를 이용한 방식의 ESP
단원 4. ESP의 제어
4-1. 요 모멘트 제어(Yaw Moment Control)
4-2. ABS의 관련 제어
4-3. 자동감속 제어(브레이크 제어)
4-4. 타이어 공기압력 저하 경보

제9장 하이브리드 카

단원 1. 하이브리드 카의 개요
1-1. 하이브리드 카 구성의 개요
1-2. 하이브리드 카와 전기 자동차
1-3. 하이브리드 카의 구동방식
단원 2. 하이브리드 카의 주행모드
2-1. 하이브리드 카 주행모드의 개요
2-2. 하이브리드 카의 주행모드
2-3. 하이브리드 카의 계기판
단원 3. 하이브리드 카의 구성
3-1. 하이브리드 카 구성의 개요
3-2. 하이브리드 장치의 구성
단원 4. 하이브리드용 구동전동기의 작동원리
4-1. 하이브리드용 구동전동기의 주요기능
4-2. 구동전동기의 작동원리
단원 5. 동력제어 기구(PCU, Power Control Unit)
5-1. 인버터(inverter)
5-2. 컨버터(converter)
5-3. 구동전동기 제어
5-4. 고전압 축전지 관리장치(BMS, battery management system)
단원 6. 하이브리드 카의 제어
6-1. 하이브리드 카의 제어
6-2. 구동전동기 시동제어
6-3. 저전압 직류변환 장치(LDC, Low DC-DC Converter)
단원 7. 하이브리드 컴퓨터
7-1. 하이브리드 컴퓨터(HCU)의 개요
7-2. 하이브리드 카의 제어 기능
단원 8. 고전압 축전지관리 장치
8-1. 고전압 축전지관리 장치의 개요
8-2. 고전압 축전지관리 장치의 구성
8-3. 고전압 축전지관리 장치의 제어특성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