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과교육론 > 사회/역사교육 전공
· ISBN : 9788925419459
· 쪽수 : 744쪽
· 출판일 : 2025-10-15
책 소개
이제, 세계사 교육의 이론과 실제를 모두 담은 첫 전문 교재가 나왔습니다.
그동안 역사교육 현장에는 다양한 수업 방법이 소개되었지만, 정작 교사가 세계사 수업에 직접 활용할 수 있는 교재 연구와 지도법에 대한 교재는 거의 없었습니다. 『다시! 역사교육, 세계사편』은 이 공백을 메우기 위해 전공 교수의 깊이 있는 역사학 연구와 현직 교사의 생생한 수업 경험을 결합해 탄생했습니다. 세계사 교육 전반에 대한 의미 있는 성찰과 세계사 교육 맞춤형 최신 이론과 방법, 12개의 생생한 수업 사례에서 집필진의 이론과 현장을 하나로 묶기 위한 노력들을 볼 수 있습니다.세계사는 인간을 이해하기 위해 인류가 걸어온 길에서 오늘의 문제와 내일의 과제를 성찰하게 하는 중요한 창입니다. 이 책은 교재 분석에서 수업 설계까지 세계사 교육의 전 과정을 아우르며, 예비 교사에게는 든든한 길잡이로, 현직 교사에게는 새로운 수업 자원으로, 세계사 교육에 관심 있는 모든 독자에게는 인류사를 새롭게 바라보는 창이 되어 줄 것입니다.
목차
머리말 / 3
제1부 세계사 교육 이론
CHAPTER 01 우리나라 세계사 교육의 변천 21
1. 개화기 21
2. 일제강점기 24
3. 해방 이후~현재까지 27
CHAPTER 02 세계의 세계사 교육 51
1. 중국 51
2. 일본 56
3. 영국 62
4. 미국 63
5. 캐나다 66
6. 독일 67
7. 프랑스 70
CHAPTER 03 우리나라 동양사 교육의 특징과 한계 75
1. 역대 역사 교육과정과 동양사 대단원 구성 75
2. 우리나라 동양사 연구의 연구 분야 확대 현황 84
3. 동양사 교육의 한계를 대신하여: 역사용어 이해와 동양사 교육 88
CHAPTER 04 우리나라 서양사 교육의 특징과 한계 95
1. 해방 이후 서양사학의 발전 95
2. 해방 이후 서양사 교육의 특징 96
3. 유럽 중심주의와 그에 대한 비판 103
4. 특징 및 한계: 스토리텔링 부족 및 사료 부재 107
CHAPTER 05 세계사 서술과 교육: 동향과 과제 115
1. 20세기 우리가 배운 세계사와 반성적 성찰 115
2. 20세기 말의 새로운 시도들 120
3. 21세기 연결과 상호작용의 세계사 123
4. 어떻게 교육할 것인가? 127
제2부 세계사 수업 이론
CHAPTER 01 세계사 수업의 설계 131
1. 수업 설계 과정 131
1) 수업 목표 설정 132
2) 학습자 진단 및 상황 분석 132
3) 교재 선정 및 개발 133
4) 교수ㆍ학습 전략 개발 134
5) 형성 평가 설계 134
6) 교수 피드백 계획 135
2. 학습자 진단의 의미 135
1) 학습자 진단의 중요성 135
2) 학습자의 발달 136
3) 학습자의 흥미 142
4) 학습자의 선행학습 143
3. 내용, 교재, 방법의 수준 의미 145
1) 학습자 문해력 145
2) 쉬운 내용, 교재, 수업방법의 의미 146
4. 교사의 수업 재구성이란 148
1) 세계사 운영계획안의 두 가지 기준 148
2) 교과서 재구성 153
3) 수업 내용 재구성 154
5. 교사의 역사관과 역사교육관이 수업 설계에 미치는 영향 156
CHAPTER 02 세계사 수업의 목표 159
1. 수업 목표의 분류 159
1) 타일러-블룸-콜담과 파인즈의 행동목표 159
2) 아이스너(Elliot W. Eisner)의 구현목표 168
3) 역사적 사고력을 평가하는 목표 170
2. 수업 목표의 구성의 실제: 지식ㆍ이해/기능/가치ㆍ태도를 중심으로 171
1) 수업 목표의 진술 171
2) 세계사 국가교육과정의 성취기준과 학습 목표 173
3) 세계사 학습자 진단에 따른 수준별 수업 목표 제시 175
CHAPTER 03 세계사 수업의 교재 179
1. 세계사 수업에서 교재란 무엇인가 179
1) 세계사 수업에서 교재의 개념 179
2) 세계사 수업에서 교재의 의미 180
3) 세계사 교재의 선정과 주의점 181
2. 세계사 교재의 종류 183
1) 문헌 교재 183
2) 시청각 교재 198
3) 웹 기반 교재 233
4) 체험 교재 245
5) 교사 제작 교재 251
CHAPTER 04 세계사 수업의 방법 255
1. 전통적 수업방법론 257
1) 강의식 수업 257
2) 탐구식 수업 261
3) 역사 글쓰기 수업 263
4) 역사 극화 수업 265
5) 토론식 수업 268
6) 토의식 수업 271
7) 협동식 수업 275
8) 제작 수업 279
2. 최근 수업방법론 282
1) 플립 러닝(Flipped Learning) 282
2) 온라인 박물관 교육 284
3) 생성형 AI(인공지능) 활용 수업 287
4) 문화감응교수법 289
5)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 291
6) 프로젝트 수업 292
7) 북큐레이션 수업 294
8) 비주얼 씽킹(Visual Thinking) 수업 296
9) 교육용 앱을 활용한 스마트 수업 298
10) 소셜 미디어 활용 수업 303
11) 역사 리인액트먼트(Reenactment Activity) 수업 305
3. 마이크로티칭(Microteaching) 307
4. 수업과 학습지도안 작성하기 311
1) 수업의 절차 311
2) 학습지도안의 중요성 312
3) 학교 현장에서의 학습지도안 활용 316
CHAPTER 05 세계사 평가의 이론과 실제 317
1. 세계사 평가의 방향 317
1) 세계사 교육 환경의 변화 317
2) 평가 관점의 변화 321
2. 과정 중심 평가와 피드백 322
1) 과정 중심 평가의 특징 322
2) 맞춤형 피드백과 학생의 성장 322
3. 평가의 계획 323
4. 평가의 유형별 특징 344
1) 진단평가, 형성평가, 총괄평가 344
2) 자기평가, 동료평가, 교사평가 344
3) 개별평가, 모둠평가 346
5. 지필평가와 유형별 사례 346
1) 선택형 평가 346
2) 괄호형(완성형), 단답형 문항 348
3) 서술형 평가, 논술형 평가 348
6. 수행평가 349
7. 세계사 과목 평가의 활용 352
8. 루브릭의 분류와 평가의 실제 355
1) 루브릭의 구성 요소 355
2) 총체적 루브릭 356
3) 분석적 루브릭 357
제3부 세계사 수업의 실제
교사 에세이: 어느 신규 역사교사의 좌충우돌 첫 한 달 세계사 수업 일지 363
제3부 구성의 특징 367
CHAPTER 01 동양사Ⅰ 369
1. 주제1. 춘추 전국 시대 369
1) 세계사 교과서에 서술된 춘추전국시대 369
2) 학계의 연구 동향 371
3) 춘추전국시대를 어떻게 가르칠까: 제자백가의 주장과 통치 373
2. 주제1. 수업의 실제: 춘추전국시대(기초)-사료 및 자료를 활용한 토의식 수업(버즈 그룹 토의)- 377
1) 교육과정 분석 및 수업 목표 설정 377
2) 내용 선정 378
3) 학습자 진단 379
4) 교재 연구 379
5) 학습지도안 작성 381
6) 수업 394
7) 수행평가 시행 395
8) 전체적인 교수ㆍ학습과정에 대한 피드백 및 계획 수립 397
3. 주제2. 당의 국제성 398
1) 세계사 교과서에 서술된 당의 국제성 398
2) 학계의 연구동향: ‘동아시아세계론’의 비판과 ‘동부유라시아론’의 대두 399
3)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까: 당과 ‘서역’의 상호 매개 자료 활용 401
4. 수준별 수업의 실제: 주제2(기초)-당의 국제성-지도를 통한 탐구 수업- 404
1) 교육과정 분석 및 수업목표 설정 404
2) 내용 선정 405
3) 학습자 진단 406
4) 교재 연구 406
5) 학습지도안 작성 408
6) 수업 417
7) 수행평가 시행 419
8) 전체적인 교수ㆍ학습과정에 대한 피드백 및 계획수립 421
5. 수준별 수업의 실제: 주제2(심화)-당의 국제성 -하브루타 수업- 422
1) 교육과정 분석 및 수업목표 설정 422
2) 내용 선정 423
3) 학습자 진단 424
4) 교재 연구 424
5) 학습지도안 작성 426
6) 수업 438
7) 수행평가 시행 439
8) 전체적인 교수ㆍ학습과정에 대한 피드백 및 계획수립 441
CHAPTER 02 서양사Ⅰ 443
6. 주제1. 카이사르 인물 평가: 카이사르는 왕이 되고자 하였는가? 443
1) 세계사 교과서에 서술된 카이사르 443
2) 학계의 연구 동향 444
3) 카이사르를 어떻게 가르칠까? 447
7. 주제1. 수업의 실제: 카이사르 인물평가-카이사르는 왕이 되고자 하였는가?(심화) -사료를 활용한 역사 극화 수업- 450
1) 교육과정 분석 및 수업목표 설정 450
2) 내용 선정 451
3) 학습자 진단 452
4) 교재 연구 452
5) 학습지도안 작성 454
6) 수업 475
7) 수행평가 시행 475
8) 전체적인 교수ㆍ학습과정에 대한 피드백 및 계획 수립 476
8. 주제2. 중세 기독교와 이슬람의 관계 478
1) 세계사 교과서에 서술된 중세 기독교와 이슬람의 관계: 연구와 교과서 서술의 부재 478
2) 학계의 연구동향 479
3) 중세 기독교와 이슬람의 관계를 어떻게 가르칠까 481
9. 수준별 수업의 실제: 주제2(기초)-중세 기독교와 이슬람의 관계-서로 다른 관점의 기록을 활용한 연표 제작 수업- 485
1) 교육과정 분석 및 수업 목표 설정 485
2) 내용 선정 486
3) 학습자 진단 487
4) 교재 연구 487
5) 학습지도안 작성 488
6) 수업 509
7) 수행평가 시행 509
8) 전체적인 교수ㆍ학습과정에 대한 피드백 및 계획 수립 511
10. 수준별 수업의 실제: 주제2(심화)-중세 기독교와 이슬람의 관계-기록과 역사적 상상력을 통한 역사 글쓰기 수업- 512
1) 교육과정 분석 및 수업 목표 설정 512
2) 내용 선정 513
3) 학습자 진단 513
4) 교재 연구 514
5) 학습지도안 작성 516
6) 수업 536
7) 수행평가 시행 537
8) 전체적인 교수ㆍ학습과정에 대한 피드백 및 계획 수립 538
CHAPTER 03 동양사 Ⅱ 541
11. 주제1. 명청시대 조세제도 541
1) 세계사 교과서에 서술된 명청시대 조세제도 541
2) 학계의 연구동향 542
3) 명청시대의 조세제도를 어떻게 가르칠까 546
12. 주제1. 수업의 실제: 명청시대 조세제도(심화)-지도와 통계자료를 활용한 직소(Jigsaw)Ⅰ협동식 수업- 549
1) 교육과정 분석 및 수업목표 설정 549
2) 내용 선정 549
3) 학습자 진단 549
4) 교재 연구 550
5) 학습지도안 작성 551
6) 수업 563
7) 수행평가 시행 563
8) 전체적인 교수ㆍ학습과정에 대한 피드백 및 계획 수립 564
13. 주제2. 에도시대의 대외정책 565
1) 세계사 교과서에 서술된 에도시대의 대외정책 565
2) 학계의 연구동향 566
3) 에도시대의 대외정책을 어떻게 가르칠까 569
14. 수준별 수업의 실제: 주제2(기초)-에도시대의 대외정책-그림과 사진 자료를 활용한 비주얼 씽킹 수업- 572
1) 교육과정 분석 및 수업 목표 설정 572
2) 내용 선정 572
3) 학습자 진단 573
4) 교재 연구 573
5) 학습지도안 작성 575
6) 수업 589
7) 수행평가 시행 590
8) 전체적인 교수ㆍ학습과정에 대한 피드백 및 계획 수립 591
15. 수준별 수업의 실제: 주제2(심화)-에도 시대의 대외정책-문헌 사료를 활용한 피시 볼(Fish Bowl) 그룹 토의- 592
1) 교육과정 분석 및 수업 목표 설정 592
2) 내용 선정 592
3) 학습자 진단 593
4) 교재 연구 593
5) 학습지도안 작성 595
6) 수업 609
7) 수행평가 시행 609
8) 전체적인 교수ㆍ학습과정에 대한 피드백 및 계획 수립 610
CHAPTER 04 서양사 Ⅱ 613
16. 주제1. 재정ㆍ군사 국가 613
1) 세계사 교과서에 서술된 재정ㆍ군사 국가: 절대주의에서 재정ㆍ군사 국가로 613
2) 학계의 연구동향: 재정ㆍ군사 국가 개념의 등장 614
3) 재정ㆍ군사 국가를 어떻게 가르칠까? 617
17. 주제1. 수업의 실제: 재정ㆍ군사 국가(기초)-제작 학습(여행 보드게임)- 618
1) 교육과정 분석 및 수업 목표 설정 618
2) 내용 선정 618
3) 학습자 진단 619
4) 교재 연구 619
5) 학습지도안 작성 620
6) 수업 641
7) 수행평가 시행 642
8) 전체적인 교수ㆍ학습과정에 대한 피드백 및 수업 계획 644
18. 주제2. 냉전 645
1) 세계사 교과서에 서술된 냉전: 전통적인 냉전사 서술 645
2) 학계의 연구동향: 새로운 냉전사 646
3) 냉전을 어떻게 가르칠까? 648
19. 수준별 수업의 실제: 주제 2(기초)-냉전-풍자화를 활용한 탐구와 그리기 수업- 650
1) 교육과정 분석 및 수업 목표 설정 650
2) 내용 선정 650
3) 학습자 진단 651
4) 교재 연구 651
5) 학습지도안 작성 652
6) 수업 668
7) 수행평가 시행 669
8) 전체적인 교수ㆍ학습과정에 대한 피드백 및 수업 계획 670
20. 수준별 수업의 실제: 주제2(심화)-냉전-신문 기사와 그림(포스터)을 활용한 카드뉴스 제작 수업- 672
1) 교육과정 분석 및 수업 목표 설정 672
2) 내용 선정 672
3) 학습자 진단 673
4) 교재 연구 673
5) 학습지도안 작성 675
6) 수업 693
7) 수행평가 시행 694
8) 전체적인 교수ㆍ학습과정에 대한 피드백 및 수업 계획 695
참고문헌 696
미주 713
찾아보기 7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