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춘추곡량전

춘추곡량전

남기현 (옮긴이)
  |  
자유문고
2005-02-19
  |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18,000원 -10% 0원 1,000원 17,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인터파크 로딩중
11st 로딩중
G마켓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춘추곡량전

책 정보

· 제목 : 춘추곡량전 
· 분류 : 국내도서 > 고전 > 동양고전사상 > 유가사상
· ISBN : 9788970300726
· 쪽수 : 566쪽

책 소개

<곡량전(穀梁傳)>은 <좌씨전(左氏傳)>, <공양전(公羊傳)>와 함께 춘추삼전(春秋三傳)으로 불린다. 춘추(春秋)는 공자가 지은 춘추시대 노(魯)나라의 사서(史書)로, 은공(隱公)에서부터 애공(哀公)까지 242년간에 일어났던 중요한 일들을 편년체로 엮은 책이다.

목차

<춘추곡량전(春秋穀梁傳)>이란 어떤 책인가?/3

춘추곡량전 서(春秋穀梁傳序)/8

제1편 은공 시대(隱公時代)/39
1. 은공(隱公) 원년 기미(己未)/41
가. 춘추(春秋)는 사람의 아름다움을 이루어 준다/41
나. 의보(儀父)와 멸(멸)에서 동맹하다/43
다. 천왕(天王)이 예물을 드리다/45
라. 12월에 제백(祭伯)이 오다/46
2. 은공 2년 경신(庚申)/47
가. 잠(潛) 땅에서 은공이 융(戎)과 회합하다/47
나. 백희(伯姬)가 기(紀)로 시집가다/49
3. 은공 3년 신유(辛酉)/51
가. 신유(辛酉)년 봄에 일식이 있었다/51
나. 무씨(武氏)의 아들이 부의(賻儀)를 구하다/52
4. 은공 4년 임술(壬戌)/54
가. 기(杞)나라를 쳐서 모루 땅을 빼앗다/54
나. 정(鄭)나라를 치다/55
5. 은공 5년 계해(癸亥)/56
가. 당(棠)에서 물고기를 살펴보다/56
나. 육유(六羽)의 춤을 추어 바치다/57
6. 은공 6년 갑자(甲子)/59
가. 정(鄭)나라와 구원(舊怨)을 풀다/59
7. 은공 7년 을축(乙丑)/60
가. 숙희(叔姬)가 기(紀)나라로 시집가다/60
나. 제나라에서 예물을 가지고 찾아오다/61
8. 은공 8년 병인(丙寅)/62
가. 송나라와 위(衛)나라가 수(垂)에서 만나다/62
나. 숙(宿)나라 군주인 남작이 세상을 떠나다/63
9. 은공 9년 정묘(丁卯)/65
가. 남계(南季)가 예방하다/65
나. 협(俠)이 세상을 떠나다/66
10. 은공 10년 무진(戊辰)/67
가. 중구(中丘)에서 회합을 가지다/67
나. 송나라와 위(衛)나라가 정나라를 침입하다/68
11. 은공 11년 기사(己巳)/69
가. 등(?)나라와 설(薛)나라 군주가 찾아오다/69

제2편 환공 시대(桓公時代)/71
1. 환공(桓公) 원년 경오(庚午)/72
가. 환공(桓公)이 군주의 자리에 오르다/72
나. 허(許)나라의 전지(田地)를 빌리다/73
2. 환공 2년 신미(辛未)/75
가. 송(宋)나라에서 군주를 시해하다/75
나. 큰 솥을 태묘(太廟)에 바치다/77
3. 환공 3년 임신(壬申)/78
가. 제(齊)나라와 영(?)에서 회합하다/78
나. 제나라 군주와 훤(?)에서 회합하다/80
4. 환공 4년 계유(癸酉)/81
가. 낭(郎)에서 사냥을 하다/81
5. 환공 5년 갑술(甲戌)/82
가. 진(陳)나라의 포(鮑)가 세상을 떠나다/82
나. 진(陳)나라 환공(桓公)을 장사 지내다/84
6. 환공 6년 을해(乙亥)/85
가. 정월(正月)에 그 사람이 오다/85
나. 진(陳)나라 타(?)를 죽이다/86
7. 환공 7년 병자(丙子)/87
가. 함구(咸丘)를 불사르다/87
8. 환공 8년 정축(丁丑)/88
가. 기묘(己卯)일에 증제(烝祭)를 지내다/88
9. 환공 9년 무인(戊寅)/90
가. 계강(季姜)이 경사(京師)로 시집가다/90
10. 환공 10년 기묘(己卯)/91
가. 조(曹)나라 군주가 세상을 떠나다/91
11. 환공 11년 경진(庚辰)/92
가. 악조(惡曹)에서 동맹을 맺다/92
12. 환공 12년 신사(辛巳)/94
가. 곡지(曲池)에서 동맹을 맺다/94
13. 환공 13년 임오(壬午)/96
가. 환공이 기(紀)나라와 정나라 군주를 만나다/96
14. 환공 14년 계미(癸未)/97
가. 정(鄭)나라 군주를 조(曹)나라에서 만나다/97
나. 곡식 저장 창고에 불이 나다/98
15. 환공 15년 갑신(甲申)/100
가. 가보(家父)를 시켜 수레를 요구하게 하다/100
나. 제나라 군주를 호(蒿)에서 만나다/101
16. 환공 16년 을유(乙酉)/102
가. 정나라를 정벌하기 위한 모의를 하다/102
17. 환공 17년 병술(丙戌)/103
가. 제나라 황(黃) 땅에서 동맹을 맺다/103
나. 채(蔡)나라 군주인 봉인(封人)이 죽다/104
18. 환공 18년 정해(丁亥)/105
가. 부인 강씨(姜氏)와 제나라로 가다/105

제3편 장공 시대(莊公時代)/107
1. 장공(莊公) 원년 무자(戊子)/109
가. 왕력(王曆)으로 정월(正月)이다/109
나. 왕녀(王女)가 시집가는 길을 호송하다/110
2. 장공 2년 기축(己丑)/112
가. 진(陳)나라 장공(莊公)을 장사 지내다/112
3. 장공 3년 경인(庚寅)/114
가. 제나라와 위(衛)나라를 정벌하다/114
4. 장공 4년 신묘(辛卯)/116
가. 강씨가 축구(祝丘)에서 잔치를 열다/116
나. 기(紀)나라의 백희(伯姬)를 장사 지내다/117
5. 장공 5년 임진(壬辰)/118
가. 강씨(姜氏)가 제나라 임금의 병영으로 가다/118
6. 장공 6년 계사(癸巳)/119
가. 자돌(子突)이 위(衛)나라를 구원하다/119
7. 장공 7년 갑오(甲午)/121
가. 강씨가 제나라 임금을 방(防)에서 만나다/121
8. 장공 8년 을미(乙未)/123
가. 갑오(甲午)일에 군병(軍兵)을 다스리다/123
9. 장공 9년 병신(丙申)/124
가. 제나라 사람이 무지(無知)를 죽이다/124
나. 소백(小白)이 제나라로 들어가다/125
다. 제나라 양공(襄公)을 장사 지내다/126
10. 장공 10년 정유(丁酉)/127
가. 제나라 군사를 장작(長勺)에서 쳐부수다/127
나. 형(荊)나라가 채나라 군사를 신(莘)에서 쳐부수다/129
11. 장공 11년 무술(戊戌)/130
가. 송(宋)나라 군사를 진(?)에서 쳐부수다/130
12. 장공 12년 기해(己亥)/131
가. 기(紀)나라 숙희(叔姬)가 휴(?)로 돌아가다/131
13. 장공 13년 경자(庚子)/132
가. 여러 나라가 북행(北杏)에서 회합하다/132
14. 장공 14년 신축(辛丑)/133
가. 송(宋)나라를 정벌하다/133
15. 장공 15년 임인(壬寅)/134
가. 제후들이 견(?)에서 회동하다/134
16. 장공 16년 계묘(癸卯)/135
가. 형(荊)나라가 정나라를 정벌하다/135
17. 장공 17년 갑진(甲辰)/136
가. 정(鄭)나라의 첨(詹)을 잡았다/136
나. 수(遂)에서 몰살당하다/137
18. 장공 18년 을사(乙巳)/138
가. 융족(戎族)을 제수(濟水) 서쪽에서 몰아내다/138
19. 장공 19년 병오(丙午)/139
가. 진(陳)나라 사람의 아내를 호송하다/139
20. 장공 20년 정미(丁未)/140
가. 부인 강씨(姜氏)가 거(?)나라로 갔다/140
21. 장공 21년 무신(戊申)/141
가. 정나라 군주인 백작 돌(突)이 죽다/141
22. 장공 22년 기유(己酉)/142
가. 정월에 많은 죄인을 사면하다/142
23. 장공 23년 경술(庚戌)/144
가. 제숙(祭叔)이 예물을 가지고 오다/144
나. 형(荊)나라에서 예물을 가지고 오다/145
24. 장공 24년 신해(辛亥)/146
가. 환궁(桓宮)의 서까래에 조각을 하다/146
나. 부인 강씨(姜氏)가 노나라로 들어오다/147
25. 장공 25년 임자(壬子)/149
가. 여숙(女叔)이 예물을 가지고 노나라에 오다/149
나. 공자(公子) 우(友)가 진(陳)나라에 가다/150
26. 장공 26년 계축(癸丑)/151
가. 융족(戎族)을 정벌하다/151
27. 장공 27년 갑인(甲寅)/152
가. 기(杞)나라 백희(伯姬)와 조(?)에서 만나다/152
나. 공자 우(友)가 원중(原仲)을 장사 지내다/153
28. 장공 28년 을묘(乙卯)/154
가. 제(齊)나라가 위(衛)나라를 정벌하다/154
나. 주(?)나라 군주인 자작 쇄(?)가 세상을 떠나다/155
다. 사들인 곡식을 제(齊)나라에 통고하다/156
29. 장공 29년 병진(丙辰)/157
가. 봄에 새로 연구(延廐)를 짓다/157
30. 장공 30년 정사(丁巳)/158
가. 군사가 성(成)에 머물다/158
나. 제나라 후작과 노제(魯濟)에서 만나다/159
31. 장공 31년 무오(戊午)/160
가. 낭(郎)에 대(臺)를 쌓다/160
나. 진(秦)에 대(臺)를 쌓다/161
32. 장공 32년 기미(己未)/162
가. 봄에 소곡(小穀)에 성(城)을 쌓다/162
나. 장공(莊公)이 노침(路寢)에서 죽다/163

제4편 민공 시대(閔公時代)/165
1. 민공(閔公) 원년 경신(庚申)/166
가. 제나라에서 형(邢)나라를 구원하다/166
2. 민공 2년 신유(辛酉)/167
가. 제나라 사람이 양(陽)나라로 옮기다/167
나. 제나라 고자(高子)가 와서 동맹을 맺다/169

제5편 희공 시대(僖公時代)/171
1. 희공(僖公) 원년 임술(壬戌)/173
가. 제후들이 형(邢)나라를 구원하다/173
나. 형(邢)나라가 이의(夷儀)로 옮기다/174
다. 거(?)나라의 나(?)를 포로로 잡다/175
2. 희공 2년 계해(癸亥)/177
가. 초구(楚丘)에 성을 쌓다/177
나. 하양(夏陽)을 멸망시키다/178
다. 관(貫) 땅에서 동맹을 맺다/181
3. 희공 3년 갑자(甲子)/182
가. 4월에도 비가 내리지 않다/182
4. 희공 4년 을축(乙丑)/183
가. 제후들이 채(蔡)나라를 침공하다/183
나. 소릉(召陵)에서 동맹을 맺다/184
다. 진(陳)나라의 원도도(袁濤塗)를 잡다/186
5. 희공 5년 병인(丙寅)/187
가. 진(晉)나라에서 신생(申生)을 죽이다/187
나. 제후들이 수대(首戴)에서 동맹하다/189
다. 초(楚)나라에서 현(弦)나라를 멸망시키다/191
6. 희공 6년 정묘(丁卯)/192
가. 정(鄭)나라의 신성(新城)을 포위하다/192
7. 희공 7년 무진(戊辰)/193
가. 제나라 사람이 정(鄭)나라를 정벌하다/193
8. 희공 8년 기사(己巳)/194
가. 조(?) 땅에서 동맹을 맺다/194
나. 적인(狄人)이 진(晉)나라를 정벌하다/195
9. 희공 9년 경오(庚午)/196
가. 송나라의 어열(御說)이 죽다/196
나. 제후들이 규구(葵丘)에서 동맹하다/197
10. 희공 10년 신미(辛未)/199
가. 정월에 희공이 제(齊)나라에 가다/199
나. 진(晉)나라에서 이극(里克)을 죽이다/200
11. 희공 11년 임신(壬申)/203
가. 진(晉)나라에서 비정보를 죽이다/203
12. 희공 12년 계유(癸酉)/204
가. 3월 경오(庚午)일에 일식이 있었다/204
13. 희공 13년 갑술(甲戌)/205
가. 적인(狄人)이 위(衛)나라를 침략하다/205
14. 희공 14년 을해(乙亥)/206
가. 제후들이 연릉(緣陵)에 성을 쌓다/206
15. 희공 15년 병자(丙子)/207
가. 정월에 희공이 제나라에 가다/207
나. 이백(夷伯)의 사당에 벼락이 떨어지다/209
16. 희공 16년 정축(丁丑)/210
가. 송나라에 운석(隕石)이 5개가 떨어지다/210
나. 공자 계우(季友)가 세상을 뜨다/211
17. 희공 17년 무인(戊寅)/212
18. 희공 18년 기묘(己卯)/214
가. 제후들이 제나라를 정벌하다/214
19. 희공 19년 경진(庚辰)/215
가. 등(?)나라 군주인 영제(?齊)를 잡다/215
나. 송나라에서 조(曹)나라를 포위하다/216
20. 희공 20년 신사(辛巳)/217
가. 봄에 남문(南門)을 짓다/217
21. 희공 21년 임오(壬午)/219
가. 적인(狄人)이 위(衛)나라를 침범하다/219
22. 희공 22년 계미(癸未)/220
가. 주(?)나라의 수구(須句)를 빼앗다/220
23. 희공 23년 갑신(甲申)/223
가. 송나라의 민(閔) 땅을 포위하다/223
24. 희공 24년 을유(乙酉)/225
가. 적인(狄人)이 정나라를 정벌하다/225
25. 희공 25년 병술(丙戌)/226
가. 위(衛)나라가 형(邢)나라를 멸망시키다/226
26. 희공 26년 정해(丁亥)/228
가. 상(向)에서 동맹을 맺다/228
나. 제나라에서 노나라 북쪽 변방을 정벌하다/229
27. 희공 27년 무자(戊子)/230
가. 제나라 군주 소(昭)가 세상을 떠나다/230
28. 희공 28년 기축(己丑)/231
가. 진(晉)나라에서 위(衛)나라를 정벌하다/231
나. 초나라에서 대부 득신(得臣)을 죽이다/232
다. 원훤(元?)이 진(晉)나라로 달아나다/234
라. 위(衛)나라 후작을 잡아 경사(京師)로 보내다/236
29. 희공 29년 경인(庚寅)/237
가. 개(介)나라 갈로(葛盧)가 오다/237
30. 희공 30년 신묘(辛卯)/238
가. 적인(狄人)이 제나라를 침범하다/238
31. 희공 31년 임진(壬辰)/240
가. 제수(濟水)의 서쪽 땅을 차지하다/240
32. 희공 32년 계사(癸巳)/241
가. 정나라 군주인 백작 첩(捷)이 죽다/241
33. 희공 33년 갑오(甲午)/242
가. 진(秦)나라 사람이 활(滑)로 쳐들어갔다/242
나. 진(晉)나라 문공(文公)을 장사 지내다/245

제6편 문공 시대(文公時代)/247
1. 문공(文公) 원년 을미(乙未)/248
가. 정월에 문공(文公)이 즉위하다/248
2. 문공 2년 병신(丙申)/250
가. 팽아(彭衙)에서 진(秦)나라 군사가 패전하다/250
나. 희공(僖公)을 민공(閔公)보다 높이다/252
3. 문공 3년 정유(丁酉)/253
가. 침(沈)나라를 무너뜨리다/253
4. 문공 4년 무술(戊戌)/255
가. 문공이 진(晉)나라에서 돌아오다/255
5. 문공 5년 기해(己亥)/256
가. 영숙(榮叔)이 함(含)과 봉(봉)을 가지고 오다/256
6. 문공 6년 경자(庚子)/257
가. 계손행보(季孫行父)가 진(陳)나라에 가다/257
나. 진(晉)나라에서 양처보(陽處父)를 죽이다/258
7. 문공 7년 신축(辛丑)/260
가. 문공이 주(주)나라를 정벌하다/260
8. 문공 8년 임인(壬寅)/262
가. 무신(戊申)일에 천자가 붕어하다/262
9. 문공 9년 계묘(癸卯)/264
가. 모백(毛伯)이 금(金)을 요구하다/264
나. 진(晉)나라 사람이 그 대부 선도(先都)를 죽이다/265
10. 문공 10년 갑진(甲辰)/267
가. 장손진(臧孫辰)이 세상을 떠나다/267
11. 문공 11년 을사(乙巳)/268
가. 초(楚)나라에서 군(?)나라를 정벌했다/268
12. 문공 12년 병오(丙午)/270
가. 성(?)나라 백작이 도망해 오다/270
13. 문공 13년 정미(丁未)/272
가. 진(晉)나라의 삭(朔)이 세상을 떠나다/272
14. 문공 14년 무신(戊申)/274
가. 숙팽생(叔彭生)이 주(?)나라를 정벌하다/274
나. 공손오(公孫敖)가 제나라에서 세상을 떠나다/275
다. 공자 상인(商人)이 군주를 시해하다/276
15. 문공 15년 기유(己酉)/277
가. 계손행보(季孫行父)가 진(晉)나라에 가다/277
16. 문공 16년 경술(庚戌)/279
가. 제나라 군주와 동맹을 맺지 않았다/279
17. 문공 17년 신해(辛亥)/281
가. 소군(小君) 성강(聲姜)을 장사 지내다/281
18. 문공 18년 임자(壬子)/282
가. 문공이 대하(臺下)에서 훙거하다/282

제7편 선공 시대(宣公時代)/285
1. 선공(宣公) 원년 계축(癸丑)/286
가. 정월에 선공(宣公)이 즉위하다/286
나. 조천(趙穿)이 숭(崇)나라를 침공하다/287
2. 선공 2년 갑인(甲寅)/288
가. 송(宋)나라 화원이 사로잡히다/288
나. 조돈(趙盾)이 군주를 시해하다/289
3. 선공 3년 을묘(乙卯)/291
가. 세 번의 망제(望祭)는 그대로 지내다/291
4. 선공 4년 병진(丙辰)/292
가. 선공이 거나라의 상(向)을 점령하다/292
5. 선공 5년 정사(丁巳)/294
가. 제나라의 고고(高固)가 숙희(叔姬)를 맞다/294
6. 선공 6년 무오(戊午)/295
가. 조돈(趙盾)과 손면(孫免)이 진(陳)을 침공하다/295
7. 선공 7년 기미(己未)/295
가. 제나라와 함께 내(萊)나라를 정벌하다/295
8. 선공 8년 경신(庚申)/296
가. 공자 수(遂)가 황(黃)에서 되돌아오다/296
나. 부인(夫人) 웅씨(熊氏)가 훙거하다/298
9. 선공 9년 신유(辛酉)/299
가. 중손멸(仲孫蔑)이 경사(京師)에 가다/299
나. 위(衛)나라 임금 정(鄭)이 죽다/300
10. 선공 10년 임술(壬戌)/302
가. 제수(濟水)의 서쪽 땅을 돌려주다/302
11. 선공 11년 계해(癸亥)/304
가. 진릉(辰陵)에서 동맹을 맺다/304
나. 하징서(夏徵舒)를 살해하다/305
12. 선공 12년 갑자(甲子)/306
가. 진(陳)나라에서 영공(靈公)을 장사 지내다/306
13. 선공 13년 을축(乙丑)/307
가. 제나라에서 거(거)나라를 정벌하다/307
14. 선공 14년 병인(丙寅)/308
가. 진(晉)나라 군주가 정나라를 정벌하다/308
15. 선공 15년 정묘(丁卯)/308
가. 진(秦)나라가 진(晉)나라를 정벌하다/308
나. 소백(召伯)과 모백(毛伯)을 죽이다/310
다. 묘(畝)에서 세금을 거두다/311
16. 선공 16년 무진(戊辰)/312
가. 성주(成周)의 선사(宣?)에 불이 나다/312
17. 선공 17년 기사(己巳)/313
가. 허(許)나라 석아(錫我)가 세상을 떠나다/313
18. 선공 18년 경오(庚午)/315
가. 선공이 기(杞)나라를 정벌하다/315

제8편 성공 시대(成公時代)/317
1. 성공(成公) 원년 신미(辛未)/318
가. 정월에 성공(成公)이 즉위하다/318
나. 천자(天子)의 군사가 패전하다/319
2. 성공 2년 임신(壬申)/321
가. 제나라에서 북쪽 변방을 정벌하다/321
나. 국좌(國佐)와 원루(爰婁)에서 동맹을 맺다/322
다. 송나라 군주 포(鮑)가 세상을 뜨다/324
3. 성공 3년 계유(癸酉)/325
가. 성공이 진(晉)나라와 함께 정나라를 정벌하다/325
4. 성공 4년 갑술(甲戌)/328
가. 화원(華元)이 노나라를 예방하다/328
5. 성공 5년 을해(乙亥)/329
가. 중손멸(仲孫蔑)이 송(宋)나라에 가다/329
나. 양산(梁山)이 무너지다/329
6. 성공 6년 병자(丙子)/331
가. 손양부(孫良夫)가 송나라를 침공하다/331
7. 성공 7년 정축(丁丑)/333
가. 생쥐가 교제(郊祭)에 바칠 소의 뿔을 갉아 먹다/333
나. 오(吳)나라가 담(?)나라를 정벌하다/334
8. 성공 8년 무인(戊寅)/335
가. 문양(汶陽) 땅을 돌려주게 하다/335
9. 성공 9년 기유(己酉)/338
가. 숙희(叔姬)의 시체를 맞이하여 가다/338
나. 제나라 군주 무야(無野)가 세상을 뜨다/339
10. 성공 10년 경진(庚辰)/340
가. 흑배(黑背)가 정나라를 침공하다/340
11. 성공 11년 신사(辛巳)/342
가. 성공(成公)이 진(晉)나라에서 돌아오다/342
12. 성공 12년 임오(壬午)/342
가. 주공(周公)이 진(晉)나라로 달아나다/342
13. 성공 13년 계미(癸未)/343
가. 진(晉)나라에 군사를 요청하다/343
14. 성공 14년 갑신(甲申)/345
가. 거(?)나라 군주가 세상을 떠나다/345
15. 성공 15년 을유(乙酉)/346
가. 위(衛)나라 정공(定公)을 장사 지내다/346
나. 화원(華元)이 진(晉)나라로 달아나다/348
16. 성공 16년 병술(丙戌)/349
가. 정월에 비가 내려 나무가 얼었다/349
나. 진(晉)나라 군주가 성공을 만나지 않다/351
17. 성공 17년 정해(丁亥)/353
가. 북궁괄(北宮括)이 정나라를 침공하다/353
나. 고무구(高無咎)가 거(?)나라로 달아나다/354
18. 성공 18년 무자(戊子)/356
가. 진(晉)나라에서 대부인 서동(胥童)을 죽이다/356
나. 사슴 동산을 축조(築造)하다/357

제9편 양공 시대(襄公時代)/359
1. 양공(襄公) 원년 기축(己丑)/361
가. 정월에 양공(襄公)이 즉위하다/361
2. 양공 2년 경인(庚寅)/363
가. 간왕(簡王)을 장사 지내다/363
3. 양공 3년 신묘(辛卯)/365
가. 양공이 진(晉)나라에 가다/365
4. 양공 4년 임진(壬辰)/366
가. 진(陳)나라 군주 오(午)가 세상을 뜨다/366
5. 양공 5년 계사(癸巳)/367
가. 정나라 공자 발(發)이 예방 오다/367
6. 양공 6년 갑오(甲午)/369
가. 기(杞)나라 군주 고용(姑容)이 세상을 뜨다/369
7. 양공 7년 을미(乙未)/371
가. 담(?)나라 군주가 찾아오다/371
나. 정나라 곤원(?原)이 세상을 뜨다/372
8. 양공 8년 병신(丙申)/373
가. 정나라 희공을 장사 지내다/373
9. 양공 9년 정유(丁酉)/375
가. 송(宋)나라에 화재(火災)가 나다/375
10. 양공 10년 무술(戊戌)/376
가. 부양(傅陽)을 멸망시키다/376
나. 진(晉)나라가 진(秦)나라를 정벌하다/377
11. 양공 11년 기해(己亥)/379
가. 정월에 삼군(三軍)을 편성하다/379
나. 경성(京城) 북쪽에서 동맹을 맺다/380
12. 양공 12년 경자(庚子)/381
가. 사방(士?)이 노나라를 예방하다/381
13. 양공 13년 신축(辛丑)/382
가. 여름에 시(?)나라를 차지하다/382
14. 양공 14년 임인(壬寅)/383
가. 오(吳)나라와 상(向)에서 회합하다/383
15. 양공 15년 계묘(癸卯)/384
가. 향술(向戌)과 유(劉)에서 동맹을 맺다/384
16. 양공 16년 갑진(甲辰)/386
가. 진(晉)나라의 도공(悼公)을 장사 지내다/386
17. 양공 17년 을사(乙巳)/387
가. 제나라에서 도(桃)를 포위하다/387
18. 양공 18년 병오(丙午)/388
가. 봄에 백적(白狄)이 찾아오다/388
19. 양공 19년 정미(丁未)/390
가. 진(晉)나라에서 주(?)나라 임금을 체포하다/390
나. 계손숙(季孫宿)이 진(晉)나라에 가다/391
20. 양공 20년 무신(戊申)/393
가. 거(?)나라와 상(向)에서 맹약하다/393
21. 양공 21년 기유(己酉)/395
가. 주(?)나라 서기(庶其)가 도망해 오다/395
22. 양공 22년 경술(庚戌)/396
가. 숙로(叔老)가 세상을 떠나다/396
23. 양공 23년 신해(辛亥)/397
가. 기(杞)나라 군주 개(?)가 세상을 떠나다/397
나. 숙손표(叔孫豹)가 진(晉)나라를 구원하다/398
24. 양공 24년 임자(壬子)/399
가. 중손갈(仲孫?)이 제나라를 침공하다/399
나. 숙손표(叔孫豹)가 경사(京師)에 가다/401
25. 양공 25년 계축(癸丑)/402
가. 최저(崔?)가 군주를 시해하다/402
나. 공손하(公孫夏)가 진(陳)나라를 정벌하다/404
26. 양공 26년 갑인(甲寅)/405
가. 위(衛)나라 영희(寗喜)가 군주를 시해하다/405
27. 양공 27년 을묘(乙卯)/407
가. 제(齊)나라 경봉(慶封)이 예방하다/407
나. 위(衛)나라의 전(專)이 진나라로 달아나다/408
28. 양공 28년 병진(丙辰)/410
가. 봄에 얼음이 얼지 않다/410
29. 양공 29년 정사(丁巳)/411
가. 위(衛)나라 군주가 세상을 뜨다/411
나. 기(杞)나라에 성을 쌓다/412
30. 양공 30년 무오(戊午)/414
가. 초(楚)나라의 위파(?罷)가 노나라를 예방하다/414
나. 천자(天子)가 그 아우 영부(?夫)를 죽이다/416
다. 채(蔡)나라 경공(景公)을 장사 지내다/417
31. 양공 31년 기미(己未)/418
가. 양공(襄公)이 초궁(楚宮)에서 훙거하다/418

제10편 소공 시대(昭公時代)/421
1. 소공(昭公) 원년(元年) 경신(庚申)/423
가. 소공(昭公)이 즉위(卽位)하다/423
나. 주(?)나라 군주가 세상을 떠나다/424
2. 소공 2년 신유(辛酉)/426
가. 한기(韓起)가 노나라를 예방하다/426
3. 소공 3년 임술(壬戌)/427
가. 등(?)나라 군주 원(原)이 세상을 뜨다/427
4. 소공 4년 계해(癸亥)/428
가. 정월에 우박이 내리다/428
나. 숙손표(叔孫豹)가 세상을 뜨다/428
5. 소공 5년 갑자(甲子)/430
가. 중군(中軍)을 폐지하다/430
6. 소공 6년 을축(乙丑)/432
가. 기(杞)나라의 익고(益姑)가 세상을 뜨다/432
7. 소공 7년 병인(丙寅)/433
가. 노나라와 제(齊)나라가 화평을 맺다/433
8. 소공 8년 정묘(丁卯)/435
가. 진(陳)나라 군주 익(溺)이 세상을 떠나다/435
나. 행인 간징사(干徵師)를 죽이다/436
9. 소공 9년 무진(戊辰)/438
가. 허(許)나라가 이(夷) 땅으로 옮기다/438
10. 소공 10년 기사(己巳)/439
가. 제나라의 난시(欒施)가 도망해 오다/439
11. 소공 11년 경오(庚午)/440
가. 숙궁(叔弓)이 송(宋)나라에 가다/440
나. 침상(?祥)에서 동맹을 맺다/441
12. 소공 12년 신미(辛未)/442
가. 송나라 군주가 노나라를 예방하다/442
13. 소공 13년 임신(壬申)/444
가. 숙궁(叔弓)이 비(費)를 포위하다/444
나. 채(蔡)나라 후작이 채나라로 돌아가다/446
14. 소공 14년 계유(癸酉)/447
가. 의여(意如)가 진(晉)나라에서 돌아오다/447
15. 소공 15년 갑술(甲戌)/449
가. 무공(武公)의 사당에 제사를 지내다/449
16. 소공 16년 을해(乙亥)/450
가. 제나라에서 서(徐)나라를 정벌하다/450
17. 소공 17년 병자(丙子)/451
가. 소주(小?)의 자작이 노나라에 예방 오다/451
18. 소공 18년 정축(丁丑)/452
가. 세 나라에 화재(火災)가 발생하다/452
19. 소공 19년 무인(戊寅)/453
가. 송(宋)나라에서 주(?)나라를 정벌했다/453
20. 소공 20년 기묘(己卯)/455
가. 도적이 위(衛)나라 군주를 죽이다/455
21. 소공 21년 경진(庚辰)/457
가. 사앙(士?)이 노나라를 예방하다/457
22. 소공 22년 신사(辛巳)/458
가. 제나라에서 거(?)나라를 정벌하다/458
23. 소공 23년 임오(壬午)/460
가. 숙손착(叔孫?)이 진(晉)나라에 가다/460
나. 천자(天子)가 적천(狄泉)에서 살다/462
24. 소공 24년 계미(癸未)/463
가. 오(吳)나라가 소(巢)나라를 멸망시키다/463
25. 소공 25년 갑신(甲申)/464
가. 숙손착(叔孫?)이 송(宋)나라에 가다/464
나. 소공(昭公)이 제나라로 달아나다/465
26. 소공 26년 을유(乙酉)/466
가. 소공이 운(?) 땅에 거주하다/466
27. 소공 27년 병술(丙戌)/468
가. 주(?)나라 쾌(快)가 도망해 오다/468
28. 소공 28년 정해(丁亥)/469
가. 소공이 간후(乾侯)에서 머물다/469
29. 소공 29년 무자(戊子)/470
가. 제나라에서 소공을 위로하게 하다/470
30. 소공 30년 기축(己丑)/471
가. 서(徐)나라 군주가 초나라로 달아나다/471
31. 소공 31년 경인(庚寅)/472
가. 계손의여가 진(晉)나라 순역(荀?)을 만나다/472
32. 소공 32년 신묘(辛卯)/473
가. 소공이 간후에서 감(?)을 점령하다/473

제11편 정공 시대(定公時代)/475
1. 정공(定公) 원년 임진(壬辰)/476
가. 소공(昭公)의 시체가 간후에서 오다/476
나. 정공(定公)이 즉위하다/477
다. 양공(煬公)의 사당을 짓다/479
2. 정공 2년 계사(癸巳)/481
가. 초나라가 오(吳)나라를 정벌하다/481
3. 정공 3년 갑오(甲午)/482
가. 정공이 진(晉)나라에 가다가 되돌아오다/482
4. 정공 4년 을미(乙未)/483
가. 정공이 제후들과 초나라를 침공하다/483
나. 고유(皐?)에서 맹약하다/484
다. 오(吳)나라가 백거(柏擧)에서 초나라와 싸우다/485
라. 낭와(囊瓦)가 정나라로 달아나다/487
5. 정공 5년 병신(丙申)/489
가. 채(蔡)나라로 곡식을 보내다/489
6. 정공 6년 정유(丁酉)/490
가. 허(許)나라 군주를 데리고 가다/490
7. 정공 7년 무술(戊戌)/491
가. 제나라와 정나라가 함에서 동맹을 맺다/491
8. 정공 8년 기해(己亥)/492
가. 정공(定公)이 제나라를 침공하다/492
나. 노나라가 위(衛)나라를 정벌하다/493
9. 정공 9년 경자(庚子)/494
가. 노나라에서 보옥과 큰 활을 되찾다/494
10. 정공 10년 신축(辛丑)/496
가. 제나라와 화평(和平)을 맺다/496
나. 진(晉)나라에서 위나라를 포위하다/498
11. 정공 11년 임인(壬寅)/499
가. 노나라와 정나라가 화평을 맺다/499
12. 정공 12년 계묘(癸卯)/500
가. 후읍(?邑)의 성(城)을 헐다/500
13. 정공 13년 갑진(甲辰)/501
가. 동물을 기르는 동산을 축조하다/501
나. 조앙(趙?)이 진(晉)나라 도읍으로 돌아오다/502
14. 정공 14년 을사(乙巳)/503
가. 공숙수(公叔戍)가 노나라로 도망해 오다 /503
나. 괴외(??)가 송나라로 달아나다/505
15. 정공 15년 병오(丙午)/506
가. 생쥐가 희생의 소를 물어 죽였다/506
나. 한달(罕達)이 송나라를 정벌하다/507

제12편 애공 시대(哀公時代)/509
1. 애공(哀公) 원년 정미(丁未)/511
가. 정월에 애공(哀公)이 즉위하다/511
나. 생쥐가 교제에 쓸 희생소의 뿔을 갉아 먹다/511
2. 애공 2년 무신(戊申)/514
가. 곽수(곽水) 동쪽과 기수(沂水) 서쪽 땅을 점령하다/514
나. 위(衛)나라 괴외(??)를 척(戚)으로 보내다/515
3. 애공 3년 기유(己酉)/516
가. 4월 갑오(甲午)일에 지진이 일어나다/516
4. 애공 4년 경술(庚戌)/518
가. 도적이 채(蔡)나라 군주를 시해하다/518
나. 신축(辛丑)일에 박사(?社)에 화재가 났다/519
5. 애공 5년 신해(辛亥)/520
가. 비(毗)에 성을 쌓다/520
6. 애공 6년 임자(壬子)/521
가. 주(?)나라 하(瑕)에 성을 쌓다/521
나. 제(齊)나라 양생(陽生)이 제나라로 들어가다/522
7. 애공 7년 계축(癸丑)/523
가. 송나라 황원(皇瑗)이 정나라를 침공하다/523
8. 애공 8년 갑인(甲寅)/524
가. 오(吳)나라가 노나라를 정벌하다/524
9. 애공 9년 을묘(乙卯)/525
가. 초(楚)나라에서 진(陳)나라를 정벌하다/525
10. 애공 10년 병진(丙辰)/526
가. 주(?)나라 군주가 도망해 오다/526
11. 애공 11년 정사(丁巳)/527
가. 제나라 국서(國書)가 노나라를 정벌하다/527
12. 애공 12년 무오(戊午)/528
가. 노나라에서 토지세법(土地稅法)을 시행하다/528
13. 애공 13년 기미(己未)/530
가. 진(晉), 오(吳)나라와 황지(黃池)에서 회합하다/530
나. 월(越)나라가 오(吳)나라로 쳐들어가다/531
14. 애공 14년 경신(庚申)/532
가. 사냥에서 기린을 잡다/532

원문자구색인(原文字句索引)/534

책속에서

서문: 춘추곡량전(春秋穀梁傳)이란 어떤 책인가?

<곡량전(穀梁傳)>은 <춘추곡량전(春秋穀梁傳)>이라고 일컫는데 일상적으로 곡량춘추(穀梁春秋)라고도 부른다. 정확한 저자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단 노(魯)나라의 곡량자(穀梁子)라고만 전한다.

한(漢)나라의 반고(班固)가 편찬한 <한서예문지(漢書藝文志)>를 참고해 보면 ‘곡량전(穀梁傳) 11권’이라 했고 그 주석에 ‘곡량자(穀梁子)의 저작이며 노(魯)나라 사람이다.’라고 했다.
반고(班固)는 노나라 사람 곡량자(穀梁子)라고 했고, 당(唐)나라의 안사고(顔師古)는 이름을 희(喜)라고 했다. 희(喜)라는 이름에 대해서도 일부 학자들은 숙(?) 또는 적(赤)으로 쓰고 있기도 하다. 또 동한(東漢)의 일부 학자들은 곡량자는 곡량적(穀梁赤)을 말하며 그는 일찍이 공자(孔子) 문하에서 배운 자하(子夏)의 학생이라고 전했다.
한(漢)나라 환담(桓譚)의 <신론(新論)>이나 후한(後漢) 채옹(蔡邕)의 ‘정교론(正交論)’이나 응소(應소)의 ‘풍속통(風俗通)’에서 모두 자하(子夏)의 제자라는 것을 인정하고 있다.
다만 후한(後漢) 왕충(王充)의 ‘논형(論衡)’에서는 곡량치(穀梁?)라고 했고 완효서(阮孝緖)의 ‘칠록(七錄)’에서는 곡량숙(穀梁?)이라고 했다.
당(唐)나라 시대에 이르러 경학가(經學家)들이 역대(歷代) 명가(名家)의 설에 의거하여, 새로운 자료를 발굴하지 못했지만 새로운 설명은 있었다.

안사고(顔師古)는 <한서예문지(漢書藝文志)>를 주석하면서 반고의 해석 밑에 이름은 희(喜)라고 했다. 뒤에 전대소(錢大昭)는 ‘한서변의(漢書辨疑)’에서 곡량희(穀梁喜)는 마땅히 곡량가(穀梁嘉)가 되어야 한다고 했다. 이어서 육덕명(陸德明)은 ‘경전석문(經典釋文)’의 서록(序錄)에서 믿기 어려운 말로 곡량적(穀梁赤)이라 하고, 전국시대(戰國時代) 진(秦)나라 효공(孝公) 때의 사람이라 했다. 양사훈(楊士勛)이 <곡량의소(穀梁義疏)>를 저작할 때에는 완효서(阮孝緖)의 설(說)을 취하되 곡량숙(穀梁?)을 곡량숙(穀梁淑)으로 하고 그 설명에 ‘자(字)는 원시(元始)이고 노(魯)나라 사람이다. 일명 적(赤)이라고 한다.’라고 했다.
하나의 ‘곡량자(穀梁子)’가 앞에서부터 뒤에 학자들까지 ‘적(赤), 치(?), 희(喜), 가(嘉), 숙(?), 숙(淑)’ 등의 여섯 가지 이름으로 기록되어 있어서 후세의 학자들은 어느 것을 취해야 할지 난감한 실정이었다.
이상과 같이 저작자의 이름이나 신분이 확실하지 못하고 저작된 연대도 의문투성이였다.

양사훈의 <곡량의소(穀梁義疏)>에서 살펴보면 “곡량숙(穀梁淑)은 자하(子夏)에게서 춘추(春秋)를 학습한 연후에 경문(經文)에 의거하여 전(傳)을 지었다.”라고 했다. 그런데 이 말에도 문제가 있다.
공자(孔子)의 제자인 자하(子夏)는 춘추시대 후기(後期) 사람인데 과연 곡량숙이 자하에게 수학하였다면 곡량숙은 자하와 동시대 사람이거나 혹은 조금 뒤의 사람일 것이며 또 경(經)에 의거하여 전(傳)을 지었다면 이는 응당 몸소 지었을 것이다. 그런데 <곡량전> 안에 기재되어 있는 문장을 보면 이미 ‘곡량자(穀梁子)’라는 칭호가 있고 자하보다 뒤늦은 사람들이 나타나고 있다.
곧 <곡량전> 안의 몇몇 부분에 ‘심자(沈子)’와 ‘시자(尸子)’가 인용되었는데, 심자(沈子)는 전국시대 사람이며 <공양전(公羊傳)>에도 인용되어 있고 시자는 시교(尸?)이다. 시교(尸?)는 상앙(商?)의 스승이었다. 이들의 생활 연대는 비록 확실하게 단정하기는 어려우나 자하보다 한참 후대라는 점에 문제가 있다.

동한(東漢)의 환담(桓譚)이 지은 <신론(新論)>에서는 “좌전(左傳)이 전국시대의 어두운 세상을 만난 뒤, 백여 년 뒤에 노나라 사람 곡량적(穀梁赤)이 춘추(春秋)를 지었는데 빠지기도 하고 생략되기도 하여 잃어버린 글들이 많았다. 또 제(齊)나라 사람 공양고(公羊高)가 경문(經文)을 만들고 전(傳)을 만들었는데 더욱 본사(本事)를 잃었다.”라고 했다.
모든 사람들이 인정하기를 ‘춘추(春秋)’의 삼전(三傳) 가운데 좌전(左傳)이 가장 일찍 나타났고, 곡량(穀梁)과 공양(公羊)이 동시에 출현함이 많이 다르지 않다고 인정하고 있으면서도 하나같이 의문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당(唐)나라의 육덕명(陸德明)은 삼전(三傳)에 대하여 차서를 설명하기를 “좌구명(左丘明)이 중니(仲尼: 공자)에게서 받고 공양고(公羊高)는 자하(子夏)에게서 받았고 곡량적(穀梁赤)은 후세(後世)에 전해 들었다.”라고 했다. 곧 곡량(穀梁)이 삼전(三傳) 가운데서 가장 늦게 출현했다는 것이다. 당연히 창작 연대의 선후가 고려되어야 할 것인데도 이 밖에는 달리 고증할 방법이 없다.

오늘날에는 연구하는 학자들이 적지 않아서 공양전과 곡량전의 내용을 대비하여 양전(兩傳)에서 곡량전의 창작 연대를 한(漢)나라의 경제(景帝) 때이거나 심지어는 그보다 뒤일 것이라고 하고 있다. 이 말이 비록 조금은 옛 것을 지키는 것이나 그 밖의 특별한 증거가 나오지 않는 이상 한나라의 경제 때나 그 뒤의 것이라는 설에서 벗어나지 못할 것이다.
또한 곡량전(穀梁傳)이 한(漢)나라 이전(以前)에 전수되었다는 설은 한결같은 그 연대를 확정할 만하지 못한다.
양사훈(楊士勛)이 말하기를 “곡량숙(穀梁淑)이 자하(子夏)에게 경(經)을 받아 곡량전(穀梁傳)을 지어서 순자(荀子)에게 전하고 순자(荀子)가 또 노(魯)나라 사람 신배(申培)에게 전했다.”라고 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육덕명(陸德明)의 말을 인용해 보면 곡량적(穀梁赤)은 진효공(秦孝公)과 동시대 사람이다. 진효공(秦孝公)의 연대를 대략 살펴보면 B.C. 361년에서 B.C. 337년 간이다. 순자(荀子)의 연대는 대략 B.C. 313년에서 B.C. 238년 사이이다. 노나라 사람 신배(申培)가 서한(西漢)의 무제(武帝) 3년까지라면 이때는 80여 세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자하를 따라서 곡량자(穀梁子)에 이르고 다시 순자(荀子)를 따라서 노나라 사람 신배(申培)에 이르렀다는 말은 논란의 여지가 남아 있고 연속되는 것이 이어지지 않는다.
중간에 그 밖의 전수자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확실한 글로 기재할 수가 없고 알 수도 없어서 곡량전이 이루어진 배경이 서한(西漢) 초기 이전이라는 설은 균일하게 믿지 못할 것들이다.

‘사기(史記)’ 유림열전(儒林列傳)에 “하구(瑕丘)의 강생(江生)이 곡량춘추(穀梁春秋)를 만들었다. 공손홍(公孫弘)부터 사용하여 일찍이 그 의(義)를 비교하고 마침내는 동중서(董仲舒)가 사용했다.”라고 했다.
이것이 한(漢)나라 때 곡량(穀梁)의 전수(傳授)와 관련된 최초의 기록이다.
‘한서(漢書)’ 유림전(儒林傳)에는 비교적 상세하여 기재했는데 “하구강공(瑕丘江公: 瑕丘江生)이 곡량(穀梁)을 노나라 사람인 신배(申培)에게 받아서 동시에 시(詩)를 배워 한나라 무제(武帝) 때 노시(魯詩)로 박사(博士)가 되었다. 태자가 본래부터 공양(公羊)을 배웠는데 사사로이 또 곡량(穀梁)을 배워서 잘했다.”라고 했다.
당시에는 공양(公羊)이 판을 쳤고 곡량(穀梁)을 배우고 연구하는 학자는 적었는데 다만 노나라 사람인 영광(榮廣)과 호성공(皓星公)이 강공(江公: 江生)학인 곡량(穀梁)을 따랐다.
영광(榮廣)에게 배우는 학생에는 채천추(蔡千秋)와 주경(周慶)과 정생(丁姓) 등이 동시에 호성공(皓星公)의 학을 따랐다.
선제(宣帝) 때에는 곡량전이 최고의 발흥기(發興期)를 맞이하여 학관이 세워지는 전성기였다가 차츰 침체를 벗어나지 못하고 공양전에 밀리기 시작했다. 이후로 경학이 정치적 세력에 좌우되면서 곡량전의 전수나 유포가 차츰 쇠퇴해지고 그 빛을 잃어갔다.

예부터 왕자(王者)가 새로 태어나면 대대로 사관(史官)이 있었다. 천자(天子)가 무엇인가 말을 하면 사관(史官)은 반드시 그것들을 기록하였다. 그것은 천자가 언행(言行)을 삼가고 자손에게 법칙을 보이기 위해서였다. 좌사(左史)는 왕의 말을 기록하고 우사(右史)는 왕의 행동을 기록하였다. 그 왕의 행동을 기록한 것이 춘추(春秋)이고 왕의 말을 기록한 것이 상서(尙書: 書經)이다.

이 <춘추곡량전(春秋穀梁傳)>은 공자(孔子) 춘추(春秋)의 명분(名分)과 의리(義理)를 내세워 춘추경문(春秋經文)을 해설한 것으로 고문학(古文學)의 최고서라 일컬어진다. 명분(名分)이나 참 의리(義理)가 무엇인가를 살피기 위해서, 사회인들이 한 번은 필독해야 할 경서(經書)이다.

이 역서는 상해(上海) 고적출판사(古籍出版社)의 영인본을 저본으로 하여 ‘춘추좌전(春秋左傳)’(자유문고 발행)을 참조하고 <공양전(公羊傳)>(자유문고 발행)도 참조하여 번역하였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