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골수이식 클리닉

골수이식 클리닉

(제3판)

성주명 (지은이)
군자출판사(교재)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000원 -0% 0원
1,000원
19,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골수이식 클리닉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골수이식 클리닉 (제3판)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내과 > 종양
· ISBN : 9788970899862
· 쪽수 : 267쪽
· 출판일 : 2008-01-25

책 소개

골수이식에 관련된 포괄적인 지식을 제공하는 <골수이식 클리닉>의 개정판. 총5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골수 이식과 관련된 다양한 질문들과 그에 대한 해답, 골수이식의 준비과정, 그 진행, 최근 개발되고 있는 새로운 이식법, 골수이식으로 새로운 삶을 얻은 이들의 이야기들 등을 기술하고 있다.

목차

제1부. 이식을 준비하며…

1. 자주 문의하는 질문들과 ‘의료보험’의 적용이 가능한 경우들
1) 자주 문의되는 질문들
(1) 자가이식과 동종이식의 차이
(2) 동종이식의 종류(형제, 쌍둥이, 타인)
(3) 골수이식, 말초 조혈모세포이식 및 제대혈이식의 차이
2) 의료보험의 적용이 가능한 경우
(1) 일반기준
(2) 대상 질병별 기준

2. 동종이식 및 자가이식에 대한 준비과정
1) 동종 골수이식 및 동종 말초 조혈모세포 이식을 위한 준비작업
(1) 공여자의 경우(형제간 또는 타인사이)
(2) 환자의 경우
2) 자가 골수이식(자가 말초 조혈모세포 이식)을 하기 위한 준비작업
(1) “환자가 자가이식을 잘 견딜 수 있을까”를 미리 점검하는 검사들
(2) 정자은행의 도움이 필요한 경우(동종이식과 동일)
(3) 난자은행의 보관이 필요한 경우(동종이식과 동일)
(4) 중심정맥관(동종이식과 동일)
(5) 자가 골수 채취 및 부작용은 어떠한가?(동종이식과 동일)
(6) 자가 말초 조혈모세포 채취 및 부작용은 어떠한가?(동종이식과 동일)
3) 동종 또는 자가이식을 통과하는 환자 및 보호자가 수혈에 대해 알아야 할 점
(1) 헌혈자가 수혈할 수 있는 필요충분조건들
(2) 혈소판 공여자 확보
(3) 백혈구 공여자 확보
(4) 헌혈증이란?
(5) 성분헌혈(혈소판 및 백혈구)시 자주 문의해 오는 질문들

3. 이식을 위해 환자가 받는 “전처치(前處置)”에 대해
1) 동종이식의 경우
(1) 백혈병 치료시 왜 전처치가 필요한가?
(2) 골수제거 전처치법
(3) 전신 방사선 조사(Total body irradiation, TBI)와 그 부작용들
(4) 미니(mini)동종이식에 사용되는 항암제와 그 부작용들
(5) 재생불량성 빈혈시의 전처치에 대하여
2) 자가이식의 경우
(1) 자가이식시 전처치의 원리
(2) 외부에서 뽑힌 골수 또는 말초 조혈모세포의 청소(Purging)

4. 이식편(移植片)대 숙주반응(宿主反應)의 예방을 위한 약제들
(1) 이식편대 숙주반응이란?
(2) 이식편대 숙주반응을 예방하기 위해 사용되는 약제들

5. 골수이식 이후 발생할 수 있는 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약제들
(1) 레보플록싸신, 크라비트(levofloxacin, cravit)
(2) 플루코나졸, 원플루(fluconazole, oneflu)
(3) 박트림(Sulfamethoxazol/trimethoprim, septrin)
(4) 에이싸이클로비르, 조비락스(Acyclovir, zovirax)
(5) 겐싸이클로비르, 싸이메빈(Ganciclovir, cymevene)

제2부 이식을 통과하며…
1. 무균실 입원을 위한 준비 및 이식을 시행하는 날(“Day Zero”)
일어나는 일들
1) 무균실로 들어가기 전에 해야 할 일들
(1) 입실(入室) 전 교육
(2) 물품준비
2) 동종이식
(1) 골수 채취/주입
(2) 말초 조혈모세포 채취/주입
3) 자가이식
(1) 골수 채취/주입
(2) 말초 조혈모세포 채취/주입
(3) 항암제 및 조혈 성장 인자를 이용한 자가 말초 조혈모세포 채취시의 부작용 및 유의점
4) 얼린 골수(동종·자가) 또는 조혈모세포의 주입(동종·자가)

2. 무균실에서 생착(生着)을 기다리는 기간동안 생길 수 있는 일들
(이식 이후 약 30~40일까지)
1) 생착에 관하여
(1) 생착 성공
(2) 생착 성공을 확인하는 방법들
(3) 생착실패
(4) 생착거부(또는 “2차성 생착실패”)에 관해
2) 조혈 성장 인자(造血成長因子) 또는 촉진제(促進劑)에 대하여
(1) G-CSF(필그라스팀; 그라신, 레노그라스팀; 뉴트로젠)의 유용성
(2) G-CSF(필그라스팀; 그라신, 레노그라스팀; 뉴트로젠)의 부작용과 그 대처방안
(3) 조혈 성장 인자(G-CSF)의 의료보험 인정기준
3) 실제적으로 생길 수 있는 일들
(1) 소화기(消化器)계통의 부작용들
(2) 각종 감염들
(3) 통증에 대하여
(4) 탈모에 대하여

3. 자가이식

제3부 퇴원을 하며…

1. 퇴원시 주의사항
1) 동종이식 환자
(1) 언제 주치의 또는 전문 간호사에게 긴밀히 연락을 해야 하나?
2) 자가이식환자

2. 퇴원시 복용약에 관해
1) 동종이식
(1) 싸이클로스포린(Cyclosporin)
(2) FK506(프로그라프, Tacrolimus)
(3) 항 바이러스제; 겐싸이클로비르(Ganciclovir)/조비락스(Acyclovir)
(4) 박트림(Bactrim)
(5) 마그네슘 제제
(6) 항 고혈압 제제; 노바스크
(7) 항 진균제; 플루코나졸(Fluconazole, 디푸루칸)
2) 자가이식

3. 퇴원 후 영양관리의 주의점
1) 영양요구량
2) 식사방법
3) 고단백 고열량 간식 및 영양보충 음료
4) 치료로 인한 부작용에 대한 대처법
(1) 식욕부진
(2) 입과 목의 통증
(3) 미각의 변화
(4) 구강 건조증
(5) 메스꺼움, 구토
(6) 변비
(7) 유당불내증
5) 제한식품 및 허용식품
6) 식품선택 및 취급시 주의사항

4. 이식시 소요되는 비용
1) 동종이식
(1) 전반적인 경향
(2) 동종이식 비용
2) 자가이식
(1) 전반적인 경향

5. 사회사업과에서 받을 수 있는 도움들
1) 골수이식 수술 환자와 가족을 위한 의료사회복지 서비스
(1) 환자 및 가족에 대한 심리적 지지
(2) 가족관계 조정 및 가정생활 계획을 도움
(3) 집단 프로그램
(4) 지역사회 자원 연결을 통한 사회경제적 문제에 대한 원조
2) 경제적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방법들
(1) 국민기초생활보호 수급 신청
(2) 보건복지부 긴급지원제도 중 의료지원
(3) 후원단체
(4) 자조모임

6. 통원 치료시 생길 수 있는 일들(이식 후 100일까지)
1) 동종이식
(1) 급성 이식편대 숙주반응(急性移植片對宿住反應, Acute Graft-versus-host disease)
(2) 거대세포바이러스(Cytomegalovirus, CMV)에 의한 감염
(3) 생착거부(2차 생착실패)
(4) 세균성 감염 및 패혈증
(5) 아데노바이러스(Adenovirus)에 의한 감염
(6) 수두 및 대상포진 (Varicella and Herpes Zoster)
2) 자가이식

7. 통원 치료시 생길 수 있는 일들(이식 후 100일부터 3년 사이)
1) 동종이식
(1) 만성(慢性) 이식편(移植片)대 숙주반응(宿主反應, Chronic Graft vs Host Disease, GVHD)
(2) 폐의 만성 이식편대 숙주반응
(3) 대상포진(Herpes Zoster)
(4) 뉴머시스티스성 폐렴(Pneumocystis carinii, 주폐포자충증)
(5) 인플루엔자 호혈균 감염(Hemophilus influenza)
(6) 폐렴구균 감염(Pneumococcus)
(7) 세균성 감염과 관련된 패혈증
(8) 생착거부(2차 생착실패)
2) 자가이식

8. 이식 이후 각 주요질환의 완치율
9. 재발시 치료의 선택들
1) 동종이식 이후 재발된 경우
(1) 공여자 림프구 주입(Donor Lymphocyte Infusion, DLI)
(2) 항암제 + 공여자 림프구 주입
(3) 2차 동종이식
(4) 미니동종이식
(5) 골수이식이후 만성골수성백혈병에서의 재발시 기타 방법들
2) 자가이식 이후 재발된 경우
10. 이식 이후 1-2년이 지나면서 시행하는 예방주사 (Vaccination)에 대해
1) 골수이식 이후의 면역체계에 대해

11. 장기 생존자가 겪는 부작용에 대해
1) 장기 생존 환우에게 오는 주요 부작용들
(1) 내분비 질환(內分泌疾患, 특히 갑상선)
(2) 성장저하(成長低下)
(3) 불임(不姙) 및 무정자증(無精子症)
(4) 기도(氣道) 및 폐질환
(5) 자가면역(自家免疫) 질환들
(6) 이차 악성종양
(7) 중심 및 말초신경계의 부작용
(8) 정신적 장애 및 사회적응
(9) 기타

제4부 새로운 이식법의 개발
1. 미니(Mini) 골수이식 또는 경(經)한 동종이식 (Non-Myeloablastive
Stem cell Transplantation:NST)
1) 미니 골수이식이란?
2) 전통적인 골수이식과 미니골수이식의 개요
3) Mini-골수이식(or NST) 데이터

2. 부모 또는 조직적합항원의 절반(折半)이 맞는 경우의 골수이식 : Bone marrow transplantation from a parent or an HLA-haploidentical sibling (상보성(相補性) 골수이식(“Complementary” transplantation))

3. 제대혈 이식(臍帶血移植, Cord Blood Transplantation)
1) 제대혈 조혈모세포(제대혈 이식) 이식의 개요
2) 제대혈 조혈모세포의 특성: 골수 및 말초 조혈모세포와의 비교
3) 제대혈의 채취과정, 분리 및 저장
(1) 제대혈의 채취과정
(2) 제대혈의 분리 및 저장
(3) 세포저장 기간
4) 제대혈이식의 문제점/부작용과 성적
5) 국내외 제대혈은행 현황

4. 모세포의 조작(造作)과 모세포(母細胞)의 체외증폭 (體外增幅, ex-vivo expansion)
5. 전국의 골수이식의료기관
6. 골수 공여자의 확대로 골수이식의 폭을 넓히기 위한 제안
7. 타인 골수이식을 위해 공여자로 등록하고 싶을 때…
8. 더 많은 정보를 원할 때(유용한 인터넷 사이트들)

제5부 골수이식으로 새로운 삶을 얻은 사람들의 생생한 이야기들

1. 환우수기
:환우수기(1)~(8)

2. 임상수기
:임상수기(1)~(2)

참고문헌
주요용어 찾아보기(한글)
주요용어 찾아보기(영문)

저자소개

성주명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온누리교회에서 내적 치유와 자아 회복 프로그램을 거치면서, 하나님께서 원래 자신 안에 디자인하셨던 하나님 닮은 형상을 잃어버린 채 살아온 자신을 발견했다. 즉 역기능 가정과 문화와 관습이라는 미명하에 왜곡되고 거짓된 자아상에 얽매여 살아왔음을 깨달았다. 그 후 자신이 직접 하나님 안에서 회복의 과정을 거치면서 주변의 많은 이들 역시 거짓 자아상과 상처로 인해 신음하고 고통하며 사는 것을 발견했다. 그러면서 과거 자신과 같은 처지에 놓인 이들을 회복의 길로 인도하고 싶은 안타까운 마음을 갖게 되었고, 그 마음으로 회복사역에 헌신하여 지금까지 같은 마음으로 섬기고 있다. 이 책은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거처 탄생한 책이다. 그는 이 책을 통해, 우리 모두가 하나님이 원래 계획하신 각자의 아름다운 모습을 회복하도록 깨우치고 돕기를 소망한다. 여기에는 언행의 회복은 물론이고 성품의 회복까지 포함된다. 몸도 잘 치료하지만 동시에 영혼까지 회복시키는 의사가 되기를 소망하는 그는, 앞으로도 자신의 전문 분야는 물론 회복사역에서 귀한 열매로 하나님께 영광 돌리기 위해 힘을 다하고 있다. 성주명 교수는 연세의대를 졸업한 후, 미국 일리노이 대학에서 내과 수련의 과정을 마쳤다. 이어서 텍사스에 있는 M. D. 앤더슨 암센터에서 백혈병과 암전문의 훈련을 더 받았고, 동 병원에서 7년간 조교수로 근무했다. 그 후 1997년부터, 이화의대의 초청을 받아 이화조혈모세포이식센터의 센터장으로서 백혈병 환자와 골수이식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그는 30대 후반에 회심한 후, 텍사스 휴스턴에 있는 서울침례교회에서 가정교회 목자로 봉사했으며, 1997년 이후 현재까지 온누리교회에 출석하고 있다. 2005년부터는 온누리교회 회복사역에 합류하여 지원 그룹 및 회복 예배의 담당 장로로 섬기고 있으며, 사랑하는 아내 성아나 권사와 그 슬하에 결혼한 두 자녀와 손주가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