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기타 수험서/자격증 > 기타 자격증/수험서
· ISBN : 9788970938110
· 쪽수 : 528쪽
· 출판일 : 2020-03-02
책 소개
목차
제1장 화장품법의 이해
1. 화장품법
1.1 화장품법의 입법 취지
1.2 화장품과 용어의 정의
1.3 화장품의 유형별 특성(시행규칙 별표 3, 제19조제3항 관련, 개정 2018. 4.11)
1.4 화장품법에 따른 영업의 종류
1.5 화장품 품질 요소
1.6 화장품에 적용된 기술
1.7 화장품의 사후관리 기준
2. 개인정보 보호법
2.1 고객관리 프로그램 운용
2.2 개인정보 보호법에 근거한 고객정보 입력
2.3 개인정보 보호법에 근거한 고객정보 관리
2.4 개인정보 보호법에 근거한 고객 상담
제2장 화장품 제조 및 품질관리
1. 화장품 원료의 종류와 특성
1.1 화장품 원료의 종류
1.2 화장품에 사용된 성분의 특성
1.3 원료 및 제품의 성분 정보
2. 화장품의 기능과 품질
2.1 화장품의 효과
2.2 판매 가능한 맞춤형화장품 구성
2.3 내용물 및 원료의 품질성적서 구비
3. 화장품 사용 제한 원료
3.1. 화장품에 사용되는 사용 제한 원료의 종류 및 사용 한도
3.2. 착향제(향료) 성분 중 알러지 유발 물질
4. 화장품 관리
4.1 화장품의 취급 방법
4.2 화장품의 보관 방법
4.3 화장품의 사용 방법
4.4 화장품의 사용상 주의사항
4.5 기능성화장품 사용 시의 주의사항
5. 위해 사례 판단 및 보고
5.1 위해 여부 판단
5.2 위해 사례 보고
제3장 유통화장품 안전관리
1. 작업장 위생관리
1.1 작업장의 위생기준
1.2 작업장의 위생 상태
1.3 작업장의 위생 유지관리 활동
1.4 작업장 위생 유지를 위한 세제 및 소독제의 사용
2. 작업자 위생관리
2.1 작업장 내 직원의 위생 기준 설정
2.2 작업장 내 직원의 위생 상태 판정
2.3 혼합·소분 시 위생관리 규정
2.4 ?작업자의 위생 유지를 위한 세제 및 소독제의 종류와 사용법
2.5 작업자 위생관리를 위한 복장 청결 상태 판단
3. 설비 및 기구 관리
3.1 설비·기구의 위생 기준 설정
3.2 설비·기구의 위생 상태 판정
3.3 오염 물질 제거 및 소독 방법
3.4 설비·기구의 구성 재질(Materials of Construction) 구분
3.5 설비·기구의 폐기 기준
4. 내용물 원료 관리
4.1 내용물 및 원료의 입고 기준
4.2 유통 화장품의 안전관리 기준
4.3 입고된 원료 및 내용물 관리 기준
4.4 보관 중인 원료 및 내용물 출고 기준
4.5 내용물 및 원료의 사용기간 확인·판정
4.6 내용물 및 원료의 개봉 후 사용기한 확인·판정
4.7 내용물 및 원료의 변질 상태(변색, 변취 등) 확인
4.8 내용물 및 원료의 폐기 절차
5. 포장재의 관리
5.1 포장재의 입고 기준
5.2 입고된 포장재 관리 기준
5.3 보관 중인 포장재 출고 기준
5.4 포장재의 폐기 기준
5.5 포장재의 사용기한 확인·판정
5.6 포장재의 변질 상태 확인
5.7 포장재의 폐기 절차
제4장 맞춤형화장품의 이해
1. 맞춤형화장품의 개요
1.1 맞춤형화장품 정의
1.2 맞춤형화장품 주요 규정
1.3 맞춤형화장품 안전성
1.4 맞춤형화장품 유효성
1.5 맞춤형화장품 안정성
2. 피부 및 모발 생리구조
2.1 피부의 생리 구조
2.2 모발의 생리 구조
2.3 피부 모발 상태 분석
3. 관능평가 방법과 절차
3.1 화장품에 요구되는 품질
3.2 관능 평가 방법
3.3 관능 평가 절차
4. 제품 상담
4.1 맞춤형화장품의 효과
4.2 맞춤형화장품의 부작용의 종류와 현상
4.3 내용물 및 원료의 사용 제한사항
5. 제품 안내
5.1 맞춤형화장품 표시사항
5.2 맞춤형화장품 안전기준의 주요사항
5.3 맞춤형화장품의 특징
5.4 맞춤형화장품의 사용법
6. 혼합 및 소분
6.1 원료 및 제형의 물리적 특성
6.2 화장품 배합 한도 및 금지 원료
6.3 원료 및 내용물의 유효성
6.4 화장품의 원료 및 내용물의 규격
6.5 혼합·소분에 필요한 도구·기기
6.6 맞춤형화장품 판매업 준수사항에 맞는 혼합·소분 활동
7. 충진 및 포장
7.1 제품에 맞는 충진 방법
7.2 제품에 적합한 포장 방법
7.3 용기 기재사항
8. 재고관리
8.1 원료 및 내용물의 재고 파악
8.2 적정 재고를 유지하기 위한 발주
제5장 실전 예상문제
■ 부록: 화장품 안전기준 등에 관한 규정 [별표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