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기타 수험서/자격증 > 기타 자격증/수험서
· ISBN : 9788970939742
· 쪽수 : 400쪽
· 출판일 : 2020-01-20
책 소개
목차
제1장 화장품법의 이해
1. 화장품법
1.1 화장품법의 입법취지
1.2 화장품의 정의 및 유형
1.3 화장품의 유형별 특성
1.4 화장품법에 따른 영업의 종류
1.5 화장품의 품질 요소(안전성, 안정성, 유효성)
1.6 화장품의 사후관리 기준
2. 개인정보 보호법
2.1 고객 관리 프로그램 운용
2.2 개인정보 보호법에 근거한 고객정보 입력
2.3 개인정보 보호법에 근거한 고객정보 관리
2.4 개인정보 보호법에 근거한 고객 상담
제2장 화장품 제조 및 품질관리
1. 화장품 원료의 종류와 특성
1.1 화장품 원료의 종류
1.2 화장품에 사용된 성분의 특성
1.3 원료 및 제품의 성분 정보
1.3.1 수성 원료
1.3.2 유성 원료
1.3.3 계면 활성제
1.3.4 보습제
1.3.5 고분자 화합물
1.3.6 비타민
1.3.7 색소
1.3.8 기능성 화장품 원료
2. 화장품의 기능과 품질
2.1 화장품의 효과
2.1.1 기초화장품 원료의 효과
2.1.2 메이크업화장품 원료의 효과
2.1.3 모발용 화장품 원료의 효과
2.1.4 바디케어 화장품 원료의 효과
2.1.5 향 화장품 원료의 효과
2.2 판매 가능한 맞춤형화장품 구성
2.2.1 맞춤형 화장품 내용물의 범위
2.2.2 맞춤형 화장품 혼합에 사용되는 원료
2.3 내용물 및 원료의 품질성적서 구비
2.3.1 화장품 품질의 특성
2.3.2 우수한 화장품의 요건
2.3.3 안정성
2.3.4 안전성
2.3.5 유효성
2.3.6 화장품 원료의 품질성적서 기준
3. 화장품 사용제한 원료
3.1 화장품에 사용되는 사용제한 원료의 종류 및 사용한도
3.2 착향제(향료) 성분 중 알러지 유발 물질
4. 화장품 관리
4.1 화장품의 취급방법
4.1.1 시설기준
4.1.2 보관구역
4.1.3 원료 취급 구역
4.1.4 제조 구역
4.1.5 포장 구역
4.1.6 직원 서비스와 준수사항
4.1.7 안전용기·포장 등
4.2 화장품의 보관방법
4.3 화장품의 사용방법
4.4 화장품의 사용상 주의사항
4.5 기능성 화장품 사용 시의 주의사항
4.5.1 탈모 증상의 완화에 도움을 주는 기능성화장품의 사용 시의 주의사항
4.5.2 여드름성 피부를 완화하는 데 도움을 주는 기능성화장품의 사용 시의 주의사항
5. 위해사례 판단 및 보고
5.1 위해여부 판단
5.1.1 화장품 안전의 일반사항
5.1.2 화장품 성분
5.1.3 최종 제품
5.2 위해사례 보고
5.2.1 위해평가의 의의
5.2.2 위해평가 필요성
5.2.3 위해평가 방법
5.2.4 위해도 결과 보고서 작성
제3장 유통 화장품 안전관리
1. 작업장 위생관리
1.1 작업장의 위생 기준
1.2 작업장의 위생 상태
1.3 작업장의 위생 유지관리 활동
1.4 작업장 위생 유지를 위한 세제 및 소독제의 사용
2. 작업자 위생관리
2.1 작업장 내 직원의 위생 기준 설정
2.2 작업장 내 직원의 위생 상태 판정
2.3 혼합·소분 시 위생관리 규정
2.4 작업자 위생 유지를 위한 세제 및 소독제의 종류와 사용법
2.5 작업자 위생 관리를 위한 복장 청결상태 판단
3. 설비 및 가구 관리
3.1 설비·기구의 위생 기준 설정
3.2 설비·기구의 위생 상태 판정
3.3 오염물질 제거 및 소독 방법
3.4 설비·기구의 구성 재질 구분
3.5 설비·기구의 폐기 기준
4. 내용물 원료 관리
4.1 내용물 및 원고의 입고 기준
4.2 유통화장품의 안전관리 기준
4.3 입고된 원료 및 내용물 관리기준
4.4 보관중인 원료 및 내용물 출고기준
4.5 내용물 및 원료의 유효기간 설정과 폐기 기준
4.6 내용물 및 원료의 개봉 후 사용기한 확인·판정
4.7 내용물 및 원료의 변질 상태(변색, 변취 등) 확인
4.8 내용물 및 원료의 폐기 절차
5. 포장재의 관리
5.1 포장재의 입고 기준
5.2 입고된 포장재 관리기준
5.3 보관중인 포장재 출고기준
5.4 포장재의 폐기 기준
5.5 포장재의 사용기한 확인·판정
5.6 포장재의 개봉 후 사용기한 확인·판정
5.7 포장재의 변질 상태 확인
5.8 포장재의 폐기 절차
제4장 맞춤형화장품의 이해
1. 맞춤형화장품 개요
1.1 맞춤형화장품 정의
1.1.1 맞춤화
1.1.2 맞춤형화장품의 유형
1.1.3 유형별 화장품 생산
1.2 맞춤형화장품 주요 규정
1.2.1 맞춤형화장품 규정
1.2.2 맞춤형화장품이 갖추어야 하는 기능
1.3 맞춤형화장품의 안전성
1.3.1 화장품의 안전성
1.3.2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법제도
1.3.3 화장품의 원료
1.4 맞춤형화장품의 유효성
1.4.1 유효성의 의미와 가치(문화와 사회경제)
1.4.2 유효성의 기반과 본질
1.4.3 화장품의 유효성
1.4.4 유효성과 평가법
1.5 맞춤형화장품의 안정성
1.5.1 화장품에 요구되는 품질
1.5.2 품질의 안전성
1.5.3 의약외품약제
2. 피부 및 모발 생리구조
2.1 피부의 생리 구조
2.1.1 표피 (Epidermis)
2.1.2 표피의 특징과 구성세포
2.1.3 피부의 기능
2.1.4 진피 (Dermis, Cutis, Corium)
2.1.5 부속기관
2.1.6 입술의 생리
2.1.7 손발톱의 생리와 구조
2.2 모발의 생리 구조
2.2.1 모근
2.2.2 모발의 구조
2.3 피부 모발 상태 분석
2.3.1 피부 상태를 결정하는 요인
2.3.2 피부 유형
2.3.3 미용상의 피부 트러블
2.3.4 모발의 상태 분석
2.3.5 비듬
3. 관능평가 방법과 절차
3.1 화장품에 요구되는 품질
3.2 관능평가 방법
3.2.1 관능평가를 통한 사용성 평가
3.2.2 관능평가의 통계학적 분석
3.2.3 사용성의 객관적 평가법
3.2.4 시뮬레이션영상을 이용한 관능평가법
3.3 관능평가 절차
3.3.1 성분 및 제품규격
3.3.2 규격분석·시험법
3.3.3 제품분석 및 고도기기 분석법
4. 제품 상담
4.1 맞춤형화장품의 효과
4.1.1 맞춤형화장품의 소비자혜택
4.1.2 맞춤형화장품의 시장현황
4.1.3 맞춤형화장품의 소비자가이드라인
4.1.4 화장품의 품질보증
4.2 맞춤형화장품의 부작용의 종류와 현상
4.2.1 맞춤형화장품판매자의 유의사항
4.2.2 맞춤형화장품판매원의 개념과 인식
4.3 배합금지 사항 확인·배합
4.3.1 맞춤형화장품 혼합에 사용할 수 없는 원료 조건
4.3.2 맞춤형화장품에 사용할 수 없는 원료
4.4 내용물 및 원료의 사용제한 사항
4.4.1 사용제한 보존제
4.4.2 사용제한 자외선 차단 성분
4.4.3 사용제한 염모제
4.4.4 사용제한 기타 원료
5. 제품 안내
5.1 맞춤형화장품 표시 사항
5.2 맞춤형화장품 안전기준의 주요사항
5.3 맞춤형화장품의 특징
5.3.1 맞춤형화장품 국내동향
5.3.2 맞춤형화장품판매업과 기존 화장품판매업의 차이
5.3.3 맞춤형화장품 판매 등의 금지
5.3.4 맞춤형화장품의 환경문제
5.4 맞춤형화장품의 사용법
5.4.1 맞춤형화자품의 품질과 사용
5.4.2 맞춤형화장품으로 제조 할 수 있는 화장품
5.4.3 화장품의 유형
5.4.4 맞춤형화장품판매업 관리
6. 혼합 및 소분
6.1 원료 및 제형의 물리적 특성
6.2 화장품 배합한도 및 금지원료
6.2.1 사용상 제한이 필요한 원료
6.2.2 화장품에 사용할 수 없는 금지원료
6.2.3 화장품에 있어서의 부작용의 원인
6.2.4 위험물
6.3 원료 및 내용물의 유효성
6.3.1 기초화장품의 유효성
6.3.2 메이크업 화장품의 유효성
6.3.3 모발용 화장품의 유효성
6.3.4 향료의 유효성
6.4 원료 및 내용물의 규격(pH, 점도, 색상, 냄새 등)
6.4.1 화장품의 제형과 제품군
6.4.2 화장품의 pH
6.4.3 화장품의 색재
6.4.4 화장품의 향료
6.5 혼합·소분에 필요한 도구·기기
6.5.1 화장품의 배합
6.5.2 제조장치
6.5.3 화장품 제조용 믹서의 종류 및 특징
6.5.4 기기 사용의 최소, 최대 제조량
6.6 맞춤형화장품 판매업 준수사항에 맞는 혼합·소분 활동
6.6.1 판매 형태
6.6.2 맞춤형화장품 판매업
6.6.3 사용법, 취급, 폐기까지
7. 충진 및 포장
7.1 제품에 맞는 충진 방법
7.1.1 화장품 제조
7.1.2 화자품용기의 종류
7.1.3 성형·충진·포장
7.1.4 화장품과 방부
7.2 제품에 적합한 포장 방법
7.2.1 화장품 포장재
7.2.2 화장품용기의 역할
7.2.3 포장재료
7.2.4 제품의 포장 재질 및 포장 방법
7.3 용기 기재사항
7.3.1 맞춤형화장품의 표시 및 기재사항
7.3.2 맞춤형화장품 라벨링
7.3.3 포장 문서
7.3.4 맞춤형화장품 광고
8. 재고관리
8.1 원료 및 내용물의 재고 파악
8.1.1 원료 및 내용물의 구매
8.1.2 원료 코드 기재 방법
8.2 적정 재고를 유지하기 위한 발주
8.2.1 화장품 원료의 발주 관리
8.2.2 화장품 원료의 발주 준수
8.2.3 화장품 원료의 보관 관리
8.2.4 화장품 원료의 보관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