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UNIX 시스템 이론과 실습

UNIX 시스템 이론과 실습

김명호 (지은이)
브레인코리아(Brain KOREA)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5,000원 -0% 0원
1,250원
23,7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UNIX 시스템 이론과 실습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UNIX 시스템 이론과 실습 
· 분류 : 국내도서 > 컴퓨터/모바일 > OS/Networking > 유닉스
· ISBN : 9788971630839
· 쪽수 : 724쪽
· 출판일 : 1998-04-25

목차

제1장 UNIX의 개관 = 1
1.1 운영체제의 개념 = 1
1.2 운영체제의 처리 기법 = 4
1.2.1 일괄 처리(batch processing) = 4
1.2.2 다중 프로그래밍(multi-programming) = 4
1.2.3 다중 스레딩(multi-threading) = 5
1.2.4. 시분할 시스템(time-sharing system) = 5
1.2.5. 실시간 처리(real-time processing) = 6
1.2.6. 분산 처리(distributed processing) = 6
1.2.7 다중 프로세서 처리(multi-processing) = 6
1.2.8. 병렬 처리(parallel processing) = 7
1.3 UNIX의 역사적 배경 = 7
1.3.1 UNIX의 탄생(1969-1971년) = 8
1.3.2 B 언어에서 C 언어로(1973년) = 8
1.4 UNIX의 계보 = 10
1.4.1 BSD(Berkeley Software Distributions) = 10
1.4.2 System V = 11
1.4.3 XENIX, SCO UNIX = 11
1.4.4 Ultrix, Solaris(SunOS), HP-UX, AIX = 12
1.4.5 Mach, Chorus = 12
1.5 UNIX의 일반적 특성 = 13
1.6 UNIX의 표준화와 미래 = 15
1.6.1 POSIX 표준 = 16
1.6.2 X/OPEN = 16
1.6.3 UI와 OSF = 17
1.6.4 UNIX의 전망 = 17
연습 문제 = 18
참고 문헌 = 19
제2장 UNIX의 구조 개요 = 21
2.1 커널 개요 = 21
2.2 프로세스 관리 = 23
2.2.1 프로세스(process) 구조 = 23
2.2.2 프로세스 테이블(process table) = 25
2.2.3 시스템 호출 fork( ), exec( ), Wait( ) = 26
2.2.4 프로세서의 상태와 모드(mode) = 28
2.2.5 프로세서의 스위칭(switching)과 스케줄링(schedulling) = 30
2.2.6 스와핑(swapping)과 페이징(paging) = 30
2.2.7 sticky bit = 31
2.2.8 프로세스간 통신(Interprocess Communication : IPC) = 31
2.2.9. 커널 부팅(booting)과 종료(shutdown) = 33
2.3 화일 시스템 = 36
2.3.1 UNIX 화일 시스템의 특성 = 37
2.3.2 UNIX 화일 시스템의 구조 = 37
2.3.3 디렉토리 화일의 구조 = 39
2.3.4 i-node = 40
2.3.5 프로세스의 화일 처리 = 42
2.4 메모리 관리 = 44
2.5 입출력 관리 시스템 = 46
2.5.1 장치 스위치 테이블(device switch table) = 47
2.5.2 I/O 인터럽트(interrupt) = 47
2.6 네트워킹(networking) = 48
2.6.1 소켓(sockets) = 49
2.6.2 스트림(streams) = 50
2.6.3 NFS(Network File System) = 51
2.6.4 RFS(Remote File Sharing) = 53
2.7 X 윈도우 시스템 = 54
2.8 UNIX의 시스템 프로그램들 = 56
2.8.1 shell = 56
2.8.2 C 프로그램 개발 유틸리티들 = 56
2.8.3 awk 화일 처리 언어 = 58
연습 문제 = 58
참고 문헌 = 60
제3장 시스템 사용법 = 61
3.1 시동과 종료 = 61
3.1.1 로그인(log-in) = 62
3.1.2 커맨드(command)라인의 입력 형식 = 63
3.1.3 비밀번호의 설정과 변경 = 64
3.1.4 로그아웃(log-out) = 65
3.2 화일과 디렉토리 = 65
3.2.1 화일의 종류 = 66
3.2.2 화일명과 경로명(path name) = 69
3.2,3 화일의 특성 = 69
3.3 기본 commands의 사용법 = 71
3.3.1 사용자 자신에 관한 정보 = 17
3.3.2 시스템에 관한 정보 = 73
3.3.3 기타 정보의 표시 = 77
3.3.4 온라인 매뉴얼 mar의 사용법 = 80
3.3.5 간단한 shell 기능의 활용 = 82
3.4 디렉토리 및 화일 조작 commands = 85
3.4.1 디렉토리의 내용 표시, 이동, 탐색, 생성, 삭제 = 85
3.4.2 화일의 내용 표시 = 89
3.4.3 화일 내용의 인쇄 = 94
3.4.4 화일의 복사, 이동, 삭제 = 98
3.4.5 화일의 shot와 marge = 100
3.4.6 화일간 비교와 대조 = 102
3.4.7 화일 내용의 검색 및 처리 = 104
3.4.8 화일의 내용 변경 = 109
3.4.9 테이블로 구성된 화일 데이터의 처리 = 111
3.4.10 화일 사용 허가권의 변경과 umask의 설정 = 113
3.4.11 화일의 소유자 및 그룹의 변경 = 116
3.4.12 화일의 link = 116
3.4.13 화일의 압축과 분할 = 117
3.4.14 화일의 dump 119
3.4.15 화일의 backup = 121
3.5 vi 편집기 사용법 = 123
3.5.1 편집 buffer와 운영 모드 = 124
3.5.2 vi의 기동과 종료 = 125
3.5.3 커서의 이동 = 127
3.5.4 입력 모드 = 129
3.5.5 최종 라인 모드 = 129
3.5.6 내용의 수정, 삭제, 복사, 취소 = 130
3.5.7 패턴의 검색과 대치 = 131
3.5.8 화일 처리 커맨드 = 133
3.5.9 환경 설정 = 134
3.5.10 마커의 사용 = 138
3.5.11 Named Buffer의 사용 = 139
3.5.12 vi에서의 shell 커맨드 사용 = 139
3.5.13 기타 커맨드 = 140
3.6 mail 사용법 = 141
3.6.1 메시지 기능 = 141
3.6.2 calender 일정 관리 = 143
3.6.3 mail의 개요 = 143
3.6.4 메시지 읽기 = 144
3.6.5 메시지 보내기 = 147
3.6.6 mail 환경의 수정 = 148
연습 문제 = 150
참고 문헌 = 153
제4장 shell 프로그래밍 = 155
4.1 Bourne shell = 156
4.1.1 커맨드의 실행 = 157
4.1.2 표준 입출력 변경 = 159
4.1.3 pipe와 filter = 163
4.1.4 커맨드 치환 = 164
4.1.5 화일명 생성 = 164
4.1.6 커맨드 순차 처리 = 165
4.1.7 커맨드 그룹화 = 166
4.1.8 background 처리 = 167
4.1.9 shell 변수 = 168
4.1.10 프로세스의 제어 = 171
4.1.11 script 언어 구조 = 183
4.1.12 startup 화일 = 196
4.2 C shell = 200
4.2.1 C shell의 기동과 종료 = 200
4.2.2 history = 204
4.2.3 커맨드 별명(alias) = 209
4.2.4 job control = 210
4.2.5 디렉토리 stack 기능 = 215
4.2.6 hash 테이블 = 218
4.2.7 표준 입출력의 변경 = 219
4.2.8 화일명 생성 = 220
4.2.9 화일명 보완(complrtion) = 222
4.2.10 변수 = 222
4.2.11 script 언어 구조 = 229
4.2.12 built-in 커맨드 = 237
연습 문제 = 239
참고 문헌 = 244
제5장 소프트웨어 개발 도구 = 245
5.1 awk 텍스트 처리 언어 = 245
5.1.1 awk 커맨드 = 246
5.1.2 awk 문법 = 247
51.3 awk 예제 프로그램 = 252
5.2 C 프로그램의 개발 = 259
5.2.1 C 컴파일러 = 259
5.2.2 라이브러리 = 262
5.2.3 프로그램의 점검과 평가 도구들 = 264
5.3 make 유틸리티 = 271
5.3.1 makefile = 271
5.3.2 make 커맨드 = 272
5.3.3 macro의 정의와 사용 = 274
5.3.4 자동으로 선택되는 규칙들 = 276
5.4 archive 라이브러리 관리 = 278
5.5 컴파일러의 개발 = 280
5.5.1 lex = 281
5.5.2 yacc = 284
5.6 SCCS 시스템 = 289
5.6.1 sccs관리 유틸리티 = 289
5.6.2 scce의 버전 관리 = 290
5.6.3 scce 커맨드들 = 291
연습 문제 = 295
참고 문헌 = 297
제6장 시스템 관리 = 299
6.1 시스템 특권 사용자 = 301
6.1.1 Superuser = 301
6.1.2 Superuser로써 가능한 작업 = 302
6.1.3 그 밖의 특권 사용자 = 303
6.2 시스템의 시동과 종료 = 304
6.2.1 시스템의 booting = 304
6.2.2 시스템의 shitdown = 306
6.2.3 시스템의 crash = 307
6.3 사용자 계정 관리 = 309
6.3.1 패스워드 화일 = 309
6.3.2 그룹 화일 = 310
6.3.3 사용자의 계정 삭제 = 310
6.4 시스템 Backup과 복구 = 311
6.4.1 시스템 backup = 311
6.4.2 dump로부터의 복구 = 314
6.4.3 upgrade를 위한 dump와 backup = 315
6.5 화일 시스템의 관리 = 315
6.5.1 디스크의 추가 = 316
6.5.2 디스크 공간의 상태 점검 = 321
6.5.3 화일의 유형 = 322
6.5.4 화일에 대한 특별 접근 bit들 = 325
6.6 작업의 자동화 관리 = 327
6.6.1 커맨드의 스케듈 = 328
6.6.2 crontab 화일의 형식 = 329
6.7 시스템의 구성 = 330
6.7.1 장치 driver의 첨가 = 330
6.7.2 테이블 크기의 조정 = 332
6.8 시스템 정보의 보호 = 333
6.8.1 Password = 334
6.8.2 화일의 사용 허가 = 336
6.8.3 시스템 log = 337
6.8.4 소프트웨어 설치 보안 = 338
6.8.5 데이터의 암호화 = 339
6.8.6 시스템 관리 패키지 = 339
연습 문제 = 341
참고 문헌 = 343
제7장 UNIX의 네트워킹 = 345
7.1 네트워크의 기초 개념 = 346
7.1.1. WAN = 348
7.1.2 패킷교환 = 349
7.1.3 LAN = 351
7.1.4 네트워크의 위상과 프로토콜 = 352
7.1.5 Ethernet = 357
7.1.6 LAN들의 상호 연결 = 359
7.1.7 계층적 통신 구조 모델 = 362
7.2 Internet = 367
7.2.1 TP/IP = 367
7.2.2 IP 주소 = 374
7.3 네트워킹 Commands = 377
7.3.1 원격 로그인 : rlogin = 378
7.3.2 원격 연결 : telnet = 379
7.3.3 원격 커맨드 실행 : rsh/remsh = 381
7.3.4 원격 복사 : rcp = 382
7.3.5 FTP에 의한 원격 복사 : ftp = 383
7.3.6 local network의 로그인 상태 : rwho = 385
7.3.7 local network의 host들의 상태 : ruptime = 386
7.3.8 local network의 host들의 상태 : rup = 387
7.3.9 network의 상태 점검 : ping = 387
7.4 인터넷 서비스 = 388
7.4.1 Usenet = 389
7.4.2 Gopher 서비스 = 389
7.4.3 Archie 서비스 = 390
7.4.4 WAIS 서비스 = 391
7.4.5 WWW 서비스 = 392
7.5 NFS와 RPC = 393
7.5.1 NFS의 개요 = 394
7.5.2 VFS/VNODE 구조 = 395
7.5.3 RPC = 397
7.5.4 Network Information Service(NIS, Yellow Pages) = 398
7.5.5 NFS의 관리 = 400
7.6 UUCP 시스템 = 401
7.6.1 UUCP 커맨드들 = 402
7.6.2 UUCP 관련 화일과 디렉토리들 = 403
7.7 네트워크의 관리와 보안 = 404
7.7.1 네트워크 고장 관리 = 404
7.7.2 고장 발견 커맨드들 = 405
7.7.3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 = 406
7.7.4 성능 관리 = 407
7.7.5 보안 관리 = 408
7.7.6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 408
연습 문제 = 409
참고 문헌 = 412
제8장 시스템 프로그래밍 = 413
8.1 시스템 호출과 라이브러리 함수 = 414
8.1.1 시스템 프로그래밍 = 416
8.1.2 시스템 호출의 error 처리 = 418
8.2 프로세스의 생성과 관리 = 421
8.2.1 fork 시스템 호출 : 프로세스의 생성 = 423
8.2.2 exec 시스템 호출 : 새 프로그램의 로드 및 실행 = 427
8.2.3 exit, _exit 시스템 호출 : 프로세스의 종료 = 435
8.2.4 wait, waitpid 시스템 호출 : 자식 프로세스의 종료 대기 = 436
8.2.5 system( ) 라이브러리 함수 : 새 프로그램의 로드 및 실행 = 440
8.2.6 프로세스의 ID 정보 관리 = 442
8.3 시그널 관리 = 448
8.3.1 시그널의 개념과 종류 = 449
8.3.2 signal 시스템 호출 : 시그널의 포착과 처리 정의 = 452
8.3.3 kill 시스템 호출 : 시그널의 송신 = 456
8.3.4 pause 시스템 호출 : 프로세스의 정지 = 457
8.3.5 alarm 시스템 호출 : 알람 시계의 설정 = 458
8.3.6 setjmp, longkmp 라이브러리 함수 : giobal분기 = 458
8.3.7 최신 버전의 시그널 처리 = 461
8.4 IPC(Interprocess Communication) = 462
8.4.1 System V IPC 개념 = 462
8.4.2 공유 메모리 = 468
8.4.3 세마포어 = 476
8.4.4 메시지 큐 = 495
8.5 화일 I/O = 507
8.5.1 저수준 I/O = 507
8.5.2 고수준 I/O = 523
8.6 파이프 = 539
8.6.1 파이프의 개념 = 539
8.6.2 pipe 시스템 호출 = 541
8.6.3 파이프 라이브러리 함수 = 550
8.6.4 Narned 파이프(FIFO) = 557
8.7 레코드 록킹 = 566
8.7.1 레코드 록킹의 개념 = 566
8.7.2 fcntl 에 의한 록킹 = 567
8.7.3 lockf함수에 의한 록킹 = 575
8.7.4 보조 화일을 이용한 록킹 기법 = 576
8.8 소켓 = 582
8.8.1 소켓의 개념 = 582
8.8.2 소켓 주소 = 584
8.8.3 소켓의 생성과 삭제 = 586
8.8.4 지역 주소의 부여 = 589
8.8.5 수신지 주소와의 연결 = 590
8.8.6 소켓을 통한 데이터 전송과 수신 = 591
8.8.7 지역 및 원격 소켓 주소의 조회 = 594
8.8.8 소켓 옵션의 설정과 조회 = 594
8.8.9 Server의 큐 길이 지정 = 596
8.8.10 접속 요청에 대한 대기 = 597
8.8.11 Server의 다중화 I/O 처리 = 599
8.8.12 Host 이름과 도메인의 조회 및 설정 = 601
8.8.13 네트워크 Byte Order 변환 = 601
8.8.14 IP 주소의 변환 = 602
8.8.15 Host에 관한 정보 조회 = 603
8.8.16 네트워크에 관한 정보 조회 = 604
8.8.17 프로토콜에 관한 정보 조회 = 605
8.8.18 네트워크 서비스에 관한 정보 조회 = 606
8.9 터미널 I/O = 622
8.9.1 터미널의 인터페이스와 I/O = 622
8.9.2 구조체 termio 와 터미널 특성 = 625
8.9.3 터미널 특성 제어 = 630
8.9.4 비정규 모드(Raw Mode, Noncanonical Mode) = 632
8.10 STREAMS = 637
8.10.1 STREAMS 구조 = 638
8.10.2 STREAMS 메시지 = 639
8.10.3 stream 파이프 = 642
8.10.4 화일 기술자 전달 = 644
8.10.5 STREAMS의 다중화 I/O = 645
8.10.6 비동기적 I/O = 649
8.10.7 STREAS에 의한 Client - Server = 650
8.10.8 의사 터미널(pweudo terninal) = 653
8.10.10 STREAMS 처리 모듈들의 리스팅 = 662
8.11 화일과 디렉토리의 관리 = 665
8.11.1 화일의 속성 = 665
8.11.2 화일의 소유권 = 666
8.11.3 화일의 링크 = 667
8.11.4 화일 및 화일 시스템의 정보 = 671
8.11.5 화일 속성의 변경 = 677
8.11.6 디렉토리의 생성과 관리 = 680
연습 문제 = 684
참고 문헌 = 692
부록 Ⅰ. UNIX 시스템 command 목록 = 695
Ⅱ. UNIX 시스템 호출 목록 = 700
Ⅲ. C library 함수 목록 = 703
찾아보기 = 707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