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고전문학론
· ISBN : 9788971806500
· 쪽수 : 515쪽
· 출판일 : 2025-01-31
책 소개
목차
서문
제1부 최고운 문학 정신의 현상
제1장 다문화 시점에서 본 최고운
1. 외국 유학과 다문화
2. 최고운과 다문화적 삶
3. 열정으로 이룬 대문장가
4. 외로움을 이긴 이상적 관리
5. 친구와 연인을 이별하고 귀국하다
제2장 최고운 문학과 시대정신
1. 신분의 제약과 최고운
2. 어려움을 극복한 강한 의지
3. 현실에서의 소외와 학문에 대한 열정
4. 참된 이치를 찾아 자연에 귀의하다
제3장 최고운 시문에 나타난 장안
1. 장안이라는 이름
2. 시문에 나타난 장안의 모습
제4장 최고운 문학에 나타난 풍류 정신
1. 풍류의 의미와 근거
2. 풍류 정신의 생성
3. 풍류 정신의 발전
4. 풍류 정신의 완성
제5장 불교 관련 작품과 지향의식
1. 최고운의 불교 관련 작품
2. 불교 관련 작품에 나타난 지향
제2부 최고운 문학 정신의 계승
제6장 최고운을 통한 인문 자원 활용
1. 인문 정신의 핵심
2. 최고운을 통한 인문 자원 활용 방안
제7장 최고운의 의식을 계승한 최해
1. 삶을 통하여 본 동질성
2. 성격상 같은 점과 다른 점
3. 의식을 통하여 본 동질성
제8장 최고운 문학의 창작 현장과 유적
1. 문학 창작 현장과 유적
2. 유적의 현황과 문제점
3. 배향 현황과 그 의의
제9장 충남 지역의 최고운 문학 창작 현장과 정신
1. 서천의 도충사
2. 보령의 성주산과 보리섬[麥島]
3. 홍성의 장곡면 월계리 용연
4. 서산의 부성사·삼선암·가야산
제10장 함양 학사루 시와 최고운 형상
1. 학사루와 모현정
2. 학사루 음영 시의 실제
3. 시에 나타난 최고운
4. 후대인의 학사루 활용
제11장 농산정 음영 시와 최고운 형상
1. 농산정의 명칭
2. 현판 시에 나타난 최고운
3. 문헌 소재 시에 나타난 최고운
제12장 가야산 음영 시와 최고운 형상
1. 가야산과 최고운
2. 시 속에 나타난 가야산
제3부 발해 시인들의 시와 지향의식
제13장 일본과의 외교에 앞장선 양태사
1. 발해와 일본의 교류
2. 양태사 시의 자아 지향
제14장 왕효렴 시에 나타난 지향의식
1. 정사로 일본에 간 왕효렴
2. 같은 시간 다른 공간의 심리
3. 화려한 언어와 내면의 근심
4. 따스함과 차가움의 양면성
제15장 왕정균 시의 자아와 외물
1. 발해 유민 왕정균
2. 내면의 위축과 외물의 확장
3. 내면의 갈등과 외물의 형상
4. 내면 갈등과 초월적 진실
5. 시공(時空) 미학과 제화시(題畫詩)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