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여성학
· ISBN : 9788971821671
· 쪽수 : 600쪽
· 출판일 : 2005-02-21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장. 미래의 국가경쟁력을 위한 여성교육
1. 서론
2. 여성교육의 흐름 : 소외에서 참여로
1) 개화기에서 해방전 : 여성교육에 대한 사회적 인식
2) 정부수립 이후 : 헌법상의 평등으로서의 여성교육
3) 정책으로서 여성교육 부상(1987~1996) : 교육의 성별문제에 대한 공식적 개입
4) 여성교육정책의 정착(1997~2003 현재)
3. 성평등한 교육의 신화 : 여성교육의 한계
1) 교육기회의 평등이라는 신화
2) 서중립적인 교육내용 및 교육경험이라는 신화
3) 성차별극복을 위한 사회교육이라는 신화
4. 성평등한 교육을 위한 과제
1) 교육과정에서의 성평등교육
2) 정보화사회와 여성교육
3) 교육에서 여성의 세력화
4) 여성사회교육 프로그램의 재구조화 : 여성 교육기회의 확대
5) 여성교육정책의 방향 확립
2장. 여성의 성취동기와 행동
1. 서론
2. 성취동기 이론
3. 여성의 성취동기
1) 성역할 사회화 과정과 성취동기의 발달
2) 여성의 성취동기에 대한 논의
4. 여성의 성취동기와 행동 결과
1) 성취동기와 과업 수행
2) 성취 결과에 대한 귀인
5. 결론
3장. 한국 근대 여성교육
1. 조선시대에서 개화기까지
2. 개화기 이후에서 해방 이전까지(1970~1945)
3. 해방 이후부터 현재까지
4. 맺는 말
4장. 한국 여성의 교육열
1. 머리말
2. 교육열의 개념화
1) 교육열의 개념
2) 교육열 : 교육적 성장 동기의 구성 요인
3) 한국 여성교육열의 구조
3. 한국 여성교육열의 형성 배경
1) 역사문화적 배경
2) 심리적 배경
4. 한국 여성교육열의 현황
1) 자아성장을 위한 한국 여성교육열의 현황
2) 한국 여성의 자녀지원 교육열의 현황
5. 맺음말
5장. 여성과 성공 공포
1. 서론
2. 이론적 배경
1) 성공공포
2) 성취동기
3) 성패 귀인
3. 연구문제
4. 연구방법
1) 표집 및 실시 절차
2) 측정 도구
5. 연구결과
6. 논의 및 결론
1) 논의
2) 결론
6장. 한국 대학교육과 성차별
1. 문제제기
1) 연구목적
2) 연구방법
3) 연구의 한계
2. 연구배경
1) 대학사회에서 여성교육
2) 대학 커리큘럼에 나타난 성별 불평등
3. 조사방법 및 절차
4. 조사결과 분석
1) 대학 커리큘럼 분석
2) 대학교육의 성차별에 관한 여대생의 인식
5. 결론 : 여성고등교육의 질적 전환을 위하여
7장. 여성의 정치재사회화 및 교육프로그램 1
1. 문제제기
1) 연구목적
2) 연구문제
2. 이론적 배경
1) 정치사회화
2. 성역할 정체감
3. 정치사회화 관련 요인
4. 정치사회화.재사회화
3. 정치재사회화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1) 성역할 정체감 및 정치의식태도에 대한 실태 조사
2) 정치재사회화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예비 연구
4. 여성의 정치재사회화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1) 내용 구성
2) 기대 효과
5. 맺음말
8장. 여서의 정치재사회화 및 교육프로그램 2
1. 문제제기
1) 연구목적
2) 연구문제
2. 이론적 배경
1) 여성의 정치사회화와 학령전 아동
2) 학령전 아동의 성역할 정체감
3) 학령전 아동의 정치사회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 정치사회화 교육프로그램을 위한 조사 연구
1) 조사연구 방법
2) 학령전 아동의 성역할 정체감 유형에 관한 조사
3) 학령전 아동의 정치의식에 관한 실태 조사
4) 학령전 아동의 성역할 정체감과 정치의식과의 관계 분석
4. 학령전 아동을 위한 정치사회화 교육프로그램 개발
1) 정치사회화 교육프로그램 구성의 기초
2) 정치사회화 교육프로그램의 내용
3) 정치사회화 교육프로그램의 기대 효과
5. 연구의 종합
6. 맺음말
9장. 한국 주부의 재사회화 : 사회참여 및 활성화
1. 서론
1) 연구목적
2) 연구내용 및 방법
2. 이론적 논의
1) 지위 및 의식에 대한 논의
2) 주부운동 및 주부운동 관련단체에 대한 논의
3. 연구 방법
4. 조사 결과
1) 주부운동관련단체의 유형 분석
2) 주부운동 관련 단체 성원에 대한 태도 조사
3) 주부의 정치, 경제, 사회참여 의식 및 성역할관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한국의 여성두뇌를 최대한 활용하는데 걸림돌이 되는 장애중 하나가 수요와 불균형을 이루는 인력의 공급이다. 한국의 선진화를 위한 산업구조의 변화에서 특히 정보통신사업 등 첨단기술산업에 집중적으로 투자가 이루어져 이 영역에 인력수요가 많은데 대졸 여성들의 전공은 인문사회계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당연히 취업이 어려워진다.
남녀대학생의 실제 취업률의 격차가 벌어지는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가 대학생의 전공별 성별 분리에 있음을 알 수 있다. - 본문 34쪽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