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건강/취미 > 건강정보 > 음식과 건강
· ISBN : 9788972092223
· 쪽수 : 284쪽
· 출판일 : 2011-03-1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1부 흔한 질병에 참고할 만한 식이 요법
제1절 심혈관 계통 질환
제2절 호흡 계통 질환
제3절 소화계통 질환
제4절 비뇨기 계통 질환
제5절 내분비 질환과 류머티즘 질환
제6절 신경 정신 계통 질환
제7절 외과 질환
제8절 남성 질환
제9절 여성 질환
제10절 소아 질환
제11절 안과, 이비인후과, 치과 질환
제12절 피부 질환
제13절 기타 질환
제2부 영양소의 식이 요법에 관한 참고 사항
제1절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섭취 불균형에 참고할 만한 식이 요법
제2절 비타민 섭취 불균형에 참고할 만한 식이 요법
제3절 무기 염류와 미량 원소
책속에서
암(癌)
암은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고 흔히 볼 수 있는 다발성(多發性) 질병의 일종이다. 그러나 정확한 발병 원인은 아직도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았다. 현대 의학 연구를 통해 음식이 암의 발생과 예방 및 치료에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다는 것은 이미 증명되었다. 어떤 음식은 발암성이 있어서 암을 유발하거나 암세포의 증식과 확산을 촉진해 병세를 악화시킨다. 반면에 어떤 음식은 항암성이 있어서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고 신체 면역력을 높여 암 환자의 전반적인 상태를 개선하고 증상을 완화시키며 수명을 연장하고, 심지어 암을 제거하기도 한다. 미국 암 학회의 레난(Renan) 박사가, “암은 예방이 가장 중요하며, 예방은 음식에서부터 출발해야 한다. 적절한 음식은 암의 발생을 예방하고 암이 호전하는 데 도움이 된다.”라고 말한 것과 같은 맥락이다.
전통 한의학에서는 암 종양이 돌과 같이 딱딱하기 때문에 담과 기가 뭉친 것, 혹은 기체(氣滯), 어혈(瘀血)과 관계가 있다고 여기며, 혹은 열독(熱毒)이 뭉친 것과도 관계가 있다고 본다. 그러므로 한의학 이론에 따라 식이 요법을 할 때도 상황에 맞는 방법을 선택해야 한다.
<암에 참고할 만한 식이 요법>
식이 요법 원칙
서양 의학의 이론에 따르면, 암 환자는 각종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한 음식을 섭취하고 양질의 고단백 음식과 섬유질이 풍부한 음식도 많이 먹어야 한다. 고지방 음식, 훈제 음식, 튀기거나 볶은 음식, 탄 음식도 삼간다. 방부제, 색소, 표백제 등을 함유한 음식도 피한다.
한의학 이론에 따르면, 이러한 음식 외에도 몸속에 뭉친 기, 혹은 혈을 풀어 주고 담을 없애며, 딱딱한 것을 부드럽게 해주는 작용을 하는 음식, 어혈을 풀어 주는 음식, 혹은 열을 내리고 해독 작용을 하는 음식을 먹어야 한다. 기와 음을 보하고 항암 작용을 하는 음식도 자주 먹어야 한다. 맵고 자극적인 음식, 성질이 건조하거나 습한 음식, 알레르기성 질병을 일으키는 음식과 술, 담배 등은 삼간다.
추천 음식
옥수수, 미피강(米皮糠 : 벼의 종피(種皮)-옮긴이), 고구마, 율무쌀, 호박, 콩으로 만든 제품, 편두, 잠두, 토란 연밥, 마, 감자, 밀기울, 배, 키위, 살구, 산사나무 열매, 귤, 바나나, 딸기, 무화과, 사과, 개여주, 대추, 백합, 마름, 호두, 올방개, 줄사철나무 열매, 여주, 동아, 오이, 마늘, 부추, 토마토, 무, 당근, 순채, 원추리, 상추, 아스파라거스, 양배추, 꽃양배추, 배추, 셀러리, 콩나물, 구기자 잎, 쑥부쟁이, 검은 목이, 흰목이, 노루궁뎅이버섯, 팽이버섯, 풀버섯, 느타리버섯, 표고, 영지, 다시마, 김, 작두콩, 강낭콩, 오골계, 자라, 말린 조개관자, 동죽, 해삼, 굴, 전복, 거위 피, 돼지 간, 돼지 족, 오리고기, 붕어, 뱅어, 청어, 우유, 요구르트, 로열젤리, 식초, 구기자, 황기, 서양 인삼, 동충하초, 백복령 등.
금기 음식
돼지 머리 고기, 닭고기, 거위 고기, 꿩고기, 오리 알, 양고기, 개고기, 노루 고기, 게, 새우, 갈치, 조기, 싱어, 병어, 청어, 잉어, 고수풀, 참죽나무 잎, 냉이, 가지, 고추, 육계, 백주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