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학
· ISBN : 9788972185468
· 쪽수 : 496쪽
· 출판일 : 2017-08-30
책 소개
목차
서문
제1장 사회적 임팩트
1. ‘사회적 임팩트’ 패러다임
2. 사회적 임팩트와 사회적 금융
3. 사회적 경제와 임팩트 투자
4. 상호의존과 파트너십 모델
제2장 국가(state) → 사회적(social)
1. 복지국가 위기와 정부 불신
2. 공공부문 혁신과 공동생산
3. 공공조달과 사회적 경제
4. 정부의 사회적 임팩트 투자
제3장 시장(market) → 사회적(social)
1. 경제위기와 경제 시스템에 대한 불신
2. 시민 행태와 사회적 경제
3.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공유가치창출
4. 글로벌 CSV와 포용적 비즈니스
제4장 시민사회 → 사회적(social)
1. 시민사회의 사회적 경제 접근
2. 사회적 경제의 특성과 유형
3. 사회적 목적과 기업가정신
4. 시민사회에 대한 임팩트 투자
제5장 사회적 기업의 사회적 임팩트
1. 사회적 기업의 목적과 특성
2. 사회적 기업의 사회적 임팩트
3. 사회적 기업에 대한 임팩트 투자
4. 정부의 사회적 기업 지원정책
제6장 사회적 임팩트 투자
1. 사회적 임팩트 투자 모델
2. 사회적 임팩트 투자 시장
3. 임팩트 투자시장 생태계
4. 주요국의 임팩트 투자 정책
제7장 사회적 임팩트 채권(SIB)
1. 임팩트 투자로서의 SIB
2. SIB 개발 지원과 성과 평가
3. 주요국 SIB 사례
4. SIB의 성과와 문제점
제8장 사회적 임팩트 평가와 측정
1. 사회적 임팩트 평가 방법론
2. 사회적 임팩트 측정 가이드라인
3. 사회적 기업의 사회적 임팩트 측정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저자는 지난 20여 년간 영국과 미국의 새로운 사회혁신과 제3섹터 파트너십 국정전략을 저서와 논문으로 많이 소개해왔다. 시민사회, 제3섹터, 사회적 경제, 사회복지, 복지국가, 자원봉사에 관한 저서와 논문들에서, 그리고 이 책 『사회적 경제와 사회적 임팩트』에서도 영국과 미국의 국정을 비중 있게 소개한다. 지금의 ‘사회적 임팩트’ 패러다임은 제3섹터 파트너십의 응용이자 확장으로 볼 수 있다. 1990년대 말 영국에서는 ‘제3의 길’(The Third Way) 국정철학으로 제3섹터 파트너십이, 미국에서는 복지의 권위와 책임이 중앙정부 → 지방정부 → 제3섹터로 위임되는 복지개혁이 추진되었다. 국가와 시장 다음의 제3섹터를 국정 파트너십으로 활용한 철학과 지혜가 사회적 임팩트 패러다임의 등장을 가능하게 만들었다. 국가도 시장도 시민사회도, 시민들도 사회문제의 혁신적 해결을 모색하는 ‘사회적 임팩트’를 제3의 길, 대안으로 인정해 정당성을 부여해주고 있는 것이다.
그럼 한국에서도 ‘사회적 임팩트’가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정착될 수 있는가? 미국과 영국처럼 민간 자원과 자본을 잘 활용해 국정의 파트너십을 정착시키는 데는 적지 않은 장애들이 있을 것 같다. 금전 등 수치로 환산해 성과평가 등에 적용하는 임팩트 측정방법에 대한 거부가 있을 것이다. 특히 수익추구적인 민간자본의 공공선 투자 활용에도 이해관계자 합의가 필요하다. 그럼에도 경제가 어렵고 국가 재정도 여유가 없으며 사회문제 해결도 어려운 현실에서 일자리 창출, 삶의 질 개선 등 ‘결과기반’의 의미 있는 사회적 임팩트를 창출해야 하는 정부도 기업도 시민사회도 결국 ‘사회적 임팩트’ 주류에 동참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