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심리학
· ISBN : 9788972733720
· 쪽수 : 610쪽
· 출판일 : 2021-03-19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Ⅶ
제1부 동·서의 인간관과 자기심리학의 문제 1
제1장 자기 관련 행동의 동·서 문화차 5
1. 문화와 자기개념의 유형 7
1) 독립적 자기관과 상호의존적 자기관 10
2) 문화유형에 따른 주의 및 참조기준의 차이 14
3) 사적 자의식과 공적 자의식 18
2. 문화와 자기존중감의 근원 19
1) 개인주의 사회와 독특성 추구 경향 21
2) 자기존중감의 근원과 독특성 추구 경향의 문화차 24
3) 자기존중감의 근원과 그 측정의 문제 27
4) 자기존중감의 근원과 효능감의 문제 29
3. 문화와 자기표현의 양식 34
1) 사회화와 정서표출규칙의 문화차 36
2) 전형적 성격유형의 문화차 39
3) 의사소통 양식의 문화차 41
(1) 직접표현과 간접표현 선호도의 차이_43
(2) 말재주·다변(多辯)과 과묵함·침묵 선호도의 차이_45
4) 친교행동의 문화차 47
4. 문화와 자기향상의 방안 49
1) 일차통제와 이차통제 50
2) 자기고양 편향과 겸양 편향 55
3) 집단주의 사회와 부적 특성 및 정서의 수용성 60
(1) 부적 특성 수용도의 문화차_61
(2) 부적 정서 수용도의 문화차_62
4) 자기향상의 방안: 자기고양과 자기개선 67
(1) 개인주의 사회와 장점확충 및 자기고양_68
(2) 집단주의 사회와 단점확인 및 자기개선_70
5. 자기실현의 동기와 자기확대의 동기 72
제2장 자유주의의 인간관과 서구심리학의 자기 관련 연구 79
1. 자유주의의 인간관과 자기관 81
1) 자유주의의 인간관 82
(1) 자유의 보유자_83
(2) 이성의 주체_86
(3) 완비적 실체_89
2) 서구 개인주의 사회의 자기관 91
3) 서구심리학에서의 자기에 관한 연구의 흐름 95
2. 긍정적 자기평가와 자기제시:
자기존중감과 자기고양의 추구 101
1) 착각적 자기인식과 그 효과 104
(1) 착각적 자기인식의 기제_104
(2) 착각적 자기인식과 정신건강의 기준_109
(3) 착각적 자기인식의 문제점과 한계_114
2) 자기애와 자기존중감 및 주관적 안녕 117
(1) 자기존중감: 착각적 자기인식과 정신건강의 연결고리_118
(2) 문화유형과 자기존중감의 추구 책략_121
(3) 자기존중감과 주관적 안녕_125
3) 긍정적 자기제시와 장점의 확충 133(1) 긍정적 자기제시: 자기과시 및 보호의 추구_133
(2) 자기향상의 방안: 장점의 확충을 통한 자기고양의 추구_138
4) 긍정심리학: 서구적 행복관의 추구 141
(1) 긍정심리학의 연구주제_141
(2) 긍정심리학의 문화특수성_144
3. 환경통제력과 자기효능감: 자기조절 노력의 바탕 147
1) 통제에 대한 서구인의 관념: 환경통제력 149
2) 자기효능감과 자기점검 152
4. 목표의 설정과 추구: 현대 서구심리학의 자기조절이론 156
1) 목표의 설정과 그 효과 158
2) 목표 수행 활동을 위한 인지적 준비 162
3) 목표 수행 활동의 점검과 평가 165
(1) 삼 단계 순환 과정 167
(2) 인공두뇌적 자기조절이론 168
4) 서구 자기조절이론의 특징:
외적 유인가의 조작을 통한 통제력의 증진 171
제3장 유학 사상의 인간관과 수양론 174
1. 유학 사상의 인간관과 자기관 176
1) 유학 사상의 인간관 178
(1) 사회적 관계체_180
(2) 덕성의 주체_187
(3) 무한한 가변체_195
2) 유학 사상의 자기관 201
(1) 역할·의무의 복합체: 연계성과 조화성의 추구_201
(2) 도덕의 인식과 실천자: 배려성과 자기억제의 추구_202
(3) 가변적 과정적 존재: 가변성과 자기개선의 추구_203
2. 유학 사상에서 보는 자기의 문제:
덕성 주체의 자기인식과 존재확대 204
1) 인성론과 자기론 및 수양론의 관계 207
2) 통제에 대한 동아시아인의 관념 210
3) 유학적 자기통제: 자기억제와 자기개선 212
3. 선진유학의 수양론 215
1) 공자의 수기론(修己論): 극기(克己)와 숭덕(崇德) 217
(1) 극기(克己): 사(私)적 욕구와 감정의 극복_218
(2) 극기의 목표: 숭덕(崇德)_223
(3) 숭덕의 길: 자기성찰과 자기개선_224
2) 맹자의 존심론(存心論): 과욕(寡欲)과 명도(明道) 229
(1) 과욕(寡欲): 욕구의 절제_232
(2) 과욕의 목표: 명도(明道)_235
(3) 명도의 길: 전심치지(專心致志)와 반신(反身)_237
3) 순자의 체도론(體道論):
도욕(道欲)·절욕(節欲)과 정안례(情安禮) 241
(1) 도욕(道欲)과 절욕(節欲): 욕구의 인도와 절제_243
(2) 도욕·절욕의 목표: 정안례(情安禮)_246
(3) 정안례의 길: 성실함과 참기(參己) 및 억강보약(抑强補弱)_247
4. 조선조 성리학의 수양론: 거경론(居敬論) 254
1) 알인욕(遏人欲): 이기적 욕구와 사적 감정의 억제 256
2) 자기억제: 이상적 인격 함양의 전제 260
3) 존천리(存天理): 인격 함양의 길 263
제2부 유학의 수양론에서 도출되는 자기발전론의 문제
269
제4장 도덕인식과 실천의 문제: 교육론과 공부론 273
1. 유학 사상에서의 교육론의 위상 275
2. 교육의 대상과 주체 282
1) 교육의 대상 283
2) 교육의 주체 289
3. 교육의 목표: 도(道)의 인식과 실천 293
4. 교육의 방법과 순서 302
5. 공부의 내용: 도덕인식과 도덕실천의 합일 313
1) 《소학(小學)》: 소당위(所當爲)의 실행과 함양 317
(1) 《소학》의 구성과 내용:
입교(立敎)·명륜(明倫)·경신(敬身)_318
(2) 《소학》에서 추구하는 목표:
습여지장(習與智長)·화여심성(化與心成)_321
2) 《대학(大學)》: 소이연(所以然)의 강구와 인식 325
(1) 《대학》의 구성과 내용: 삼강령(三綱領)·팔조목(八條目)_326
(2) 《대학》에서 추구하는 목표:
수기치인지도(修己治人之道)의 인식과 실천_331
제5장 인간의 향악(向惡)가능성과 그 통제의 문제: 자기억제론 335
1. 인간의 향악가능성 336
1) 유학의 욕구이론과 인간의 향악가능성 338
(1) 욕구의 유형_339
(2) 욕구의 충족 조건: 재외자(在外者)와 재기자(在己者)_344
(3) 생물적 이기적 욕구와 향악가능성_349
2) 유학의 정서이론과 인간의 향악가능성 352
(1) 정서의 유형_357
(2) 정서의 유발 조건: 재외자(在外者)와 재기자(在己者)_360
(3) 자기중심적 정서와 향악가능성 363
2. 유학적 수양의 핵심: 자기억제와 알인욕(遏人欲) 366
1) 선진유학의 자기억제론 366
(1) 생물적 이기적 욕구의 억제_367
(2) 자기중심적 정서의 억제_372
2) 성리학의 알인욕론(遏人欲論) 376
(1) 인심의 억제_379
(2) 칠정의 억제_381
3. 수양이 가능한 근거: 도덕적 지향성 383
1) 실심(失心)·방심(放心)의 원천:
사적 욕구와 감정의 추구 383
2) 자기통제의 원동력: 도덕적 지향성 386
(1) 덕성 주체로서의 인간의 고유성: 도덕성의 본유성_386
(2) 자기통제력의 출처: 도덕적 지향성_389
4. 자기통제의 목표: 도덕인식과 그 실천 393
제6장 도덕적 승화와 존재확대의 문제: 자기개선론 399
1. 자기수양의 최종목표: 이상적 인간상의 지향 401
1) 유학의 이상적 인간상: 존재확대인 402
2) 이상적 인간상에 도달하는 과정 406
(1) 선진유학의 점진적 확대론_408
(2) 성리학의 거경론(居敬論)_413
2. 존재확대의 길: 욕구와 감정의 도덕적 승화 419
1) 욕구의 도덕적 승화 421
(1) 선진유학의 관점_421
(2) 성리학의 관점_430
2) 정서의 도덕적 승화 432
(1) 선진유학의 관점_433
(2) 성리학의 관점_441
3. 자기개선과 존재확대 444
1) 욕구·감정의 승화와 자기개선 444
2) 자기개선: 존재확대의 방안 448
제3부 동·서 자기관의 회통(會通) 451
제7장 개체성 지향과 사회성 지향의 통합 455
1. 인간의 두 측면: 개체 지향성과 사회 지향성 457
1) 추구 가치의 두 유형: 개인우선문화와 집단우선문화 457
2) 심리적 동기의 두 유형: 주도성 동기와 유대성 동기 461
3) 진화의 두 방향: 개체성 지향과 사회성 지향 465
(1) 영유아의 선(善)에 대한 선호_467
(2) 영장류의 자발적 도움행동_469
(3) 인간 종의 집단생활과 대뇌(大腦) 발달_471
(4) 이타성의 진화기제_476
2. 자기 관련 연구 관점의 동·서 차이:
개체성 지향과 사회성 지향 481
1) 서구 자기 관련 연구의 이론적 초점: 개체성 지향 481
2) 동아시아 자기 관련 연구의 이론적 초점: 사회성 지향 486
3. 결론: 온전한 인간 이해를 위한 두 지향의 통합 494
1) 문화이중성의 증가 497
(1) 근대화·도시화·핵가족화와 개인중심성향의 증가_498
(2) 세계화와 문화교류의 증가_500
2) 동·서 이론적 관점의 통합 503
(1) 문화차 연구의 심층적 전환_504
(2) 개체성 지향 연구와 사회성 지향 연구의 회통_507
참고문헌 511
유학경전 관련 자료 511
심리학 및 기타 관련 자료 512
찾아보기 555
내 용 555
인 명 584
고 전 장·쪽 5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