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의지, 자유로운가 속박되어 있는가

의지, 자유로운가 속박되어 있는가

이필원, 김호귀, 조긍호, 이진우, 정준모 (지은이), 한자경 (엮은이), 박찬욱 (기획)
운주사
2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2,800원 -5% 0원
240원
22,56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의지, 자유로운가 속박되어 있는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의지, 자유로운가 속박되어 있는가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동양철학 일반
· ISBN : 9788957466636
· 쪽수 : 432쪽
· 출판일 : 2021-11-16

책 소개

삶의 원동력이자 매 순간 자기 삶의 방향을 제시하는 방향타, 그리고 몸이나 말의 구체적 행위를 결정하는 ‘의지’에 대하여, 불교와 서양철학, 그리고 현대의 심리학과 뇌과학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시각과 관점에서 그 본질, 작동 방식 등을 성찰하고 있다.

목차

기획자 서문·5
의지에 대한 바른 이해를 바탕으로 성장하기를 기원하며

편집자 서문·9
인간 행위의 본질은 무엇인가

{초기불교} 의지, 레고 조각을 이어 세상을 만들다(이필원)·45
1. 무엇을 ‘상카라(의지)’라고 하는가?·46
2. 초기경전에 나오는 상카라의 다양한 용례·48
1) 오온의 하나로서 등장하는 행온·50
2) 연기의 지분으로 등장하는 행·58
3) 삼법인의 하나로 등장하는 행·69
3. 까르마를 형성하는 힘은 무엇일까?·74
1) 까르마와 의도·74
2) cetanā(意圖)를 품은 saṅkhāra(行)·83
4. 수행과 행의 관계·87
1) 번뇌와 ‘행’·88
2) 선정과 ‘행’·93
5. 의지의 과정이 만들어 낸 레고의 세상·97
참고문헌·101

{선불교} 수행이 내 의지대로 되는가(김호귀)·103
1. 불교에서 의지의 속성·104
1) 교리적인 바탕·104
2) 대승불교 신앙 형성의 근거·106
2. 선수행의 출발점으로서 발심·109
1) 발심의 형성과 의미·109
2) 발심의 지속과 궁극·113
3. 선수행에서 의지의 기능·116
1) 간화선 수행의 대분지·116
2) 묵조선 수행의 지관타좌·124
4. 깨달음에서 의지의 속성·132
1) 의지의 결과로서 깨달음·132
2) 의지의 속성으로서 신심일여·141
5. 의지의 표출로서 수행법과 오후보림·150
1) 다양한 수행법의 출현·150
2) 깨달음의 완성으로서 오후보림·158
6. 수행과 의지의 상의상관·166
참고문헌·175

{심리학} 우리는 무엇을 추구하며 살아가는가?(조긍호)·177
1. 동기의 종류: 우리는 무엇을 추구하는가?·181
1) 생리적 욕구·182
2) 심리적 욕구·190
3) 사회적 욕구·200
2. 동기 행동의 기제: 목표 대상의 획득은 어떠한 결과를 가져오는가?·205
1) 기계로서의 인간: 긴장 감소·206
2) 신의 모상模像으로서의 인간: 자극 추구·209
3) 자기개발 지향자로서의 인간: 욕구 위계·211
3. 동아시아의 욕구 이론: 성리학의 인심도심설人心道心說을 중심으로·217
1) 욕구의 유형과 그 충족 조건·219
2) 성리학의 욕구 이론: 인심도심설·227
4. 동기 문제를 보는 동·서 관점의 회통會通·242
1) 욕구의 종류에 대한 동·서의 유사성과 차이점·242
2) 욕구를 보는 기본 관점의 동·서 차이·245
3) 욕구의 위계·252
4) 욕구의 억제와 권장의 문제·255
5) 욕구와 의지의 문제: 동기 행동은 항상 의식적이고 자기주도적인가?·261
참고문헌·268

{서양철학} ‘자유의지’는 정말 자유로운가?(이진우)·275
1. 왜 ‘자유의지’가 문제인가?·276
2. 자유의지에 대한 두 가지 도전: 뇌와 유전자·282
1) 신경과학의 도전: 의식적 자아는 없다·282
2) 유전학의 도전: 궁극적 책임은 없다·287
3. 자유의지의 역사·293
1) ‘행위 능력’으로서의 의지: 아리스토텔레스와 아우구스티누스·293
2) 역사의 동인으로서의 의지: 칸트와 헤겔·300
4. 자유의지와 결정론의 갈등: 우리는 도덕적 책임이 있는가?·304
5. 자유의지의 두 가지 특징: 자기 결정과 대안 가능성·312
1) 자기 결정: 행위를 완전히 통제할 수 있는가?·312
2) 대안 가능성: 미래는 완전히 열려 있는가?·319
6. 자유의지는 허구인가?·326
참고문헌·331

{뇌과학} 자유의지, 실재인가 환상인가(정준모)·335
1. 자유의지, 신경과학에 둥지 틀다·336
1) 자유의지, 물리과학과 만나다·336
2) 자유의지, 이번에는 생명과학과 만나다·343
3) 자유의지, 기어이 뇌와 만나다·349
4) 리벳, 돌을 던지다·357
2. 명쾌한 데이터, 다양한 해석·360
1) 리벳의 제안 요약·360
2) 리벳 연구의 허와 실–리벳의 타이머·362
3) 리벳 연구의 허와 실–윈위의도·374
4) 리벳 연구에 대한 가설적 제언·375
3. 자유의지, 자아, 그리고 뇌·383
1) 자유의지는 없는가?·384
2) 자아는 있는가?·391
3) 노브레인!·395
4. 멈추면 비로소·397
참고문헌·414

찾아보기·419

저자소개

조긍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8년 경기도 양평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심리학과를 거쳐 동 대학원에서 문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전남대학교와 서강대학교 심리학과 교수를 지내고, 현재 서강대학교 명예 교수로 있다. “한국 사회 및 성격심리학회” 회장과 “한국심리학회” 회장을 역임하였으며, “대한민국 학술원상”(1999년), “서강학술상”(1999년), “한국심리학회 학술상”(2008년), “과학기술 우수논문상”(2010년), “한국심리학회 공로상”(2014년)을 수상하였다. 서구와 동아시아 사회의 문화차와 그 사상적 배경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동아시아인의 특징적인 심리와 행동의 근원을 유학의 고전에서 찾아 그 심리학적 의미를 천착하는 작업에 몰두하고 있다. 저서로는 《불평등사상의 연구》(1992년, 김영한 등 5인 공저, 서강대학교 출판부), 《유학심리학: 맹자·순자 편》 (1998년, 나남출판, 대한민국 학술원상 수상 저서), 《동양심리학: 서구심리학에 대한 대안 모색》 (1999년, 최상진 등 5인 공저, 지식산업사), 《한국인 이해의 개념틀》(2003년, 나남출판), 《이상적 인간형론의 동·서 비교: 새로운 심리학의 가능성 탐색 Ⅰ》(2006년, 지식산업사), 《동아시아 집단주의의 유학사상적 배경: 심리학적 접근》(2007년, 지식산업사), 《선진유학사상의 심리학적 함의》(2008년, 서강대학교 출판부), 《사회관계론의 동·서 비교: 새로운 심리학의 가능성 탐색 Ⅱ》(2012년, 서강대학교 출판부), 《사회계약론 연구: 홉스·로크·루소를 중심으로》(2012년, 강정인과 공저, 서강대학교 출판부), 《유학심리학의 체계 Ⅰ: 유학사상과 인간 심리의 기본구성체》(2017년, 서강대학교 출판부), 《심리구성체론의 동·서 비교: 새로운 심리학의 가능성 탐색 ―도덕심리학의 새 지평》(2017년, 서강대학교 출판부), 《문화, 유학사상, 그리고 심리학》(2019년, 학지사), 《유학심리학의 체계 Ⅱ: 사회적 존재로서의 인간의 삶》(2021년, 학지사)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동아시아 집단주의와 유학사상: 그 관련성의 심리학적 탐색〉(2007년,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1권 4호, 한국심리학회 학술상 수상 논문), 〈문화성향과 분노통제: 분노수준과 공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2009년, 김지연·최경순과 공저,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3권 1호, 과학기술 우수논문상 수상 논문) 등 90여 편이 있다.
펼치기
김호귀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 HK교수, 한국불교인문학과 교수. 동국대 선학과에서 선사상을 공부하여 「묵조선에 관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선종의 역사와 사상 및 수행 문화 등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다. 「조사선에서 깨침의 속성과 그 기능」, 「무생법인의 구조와 무생선의 실천」 등의 논문 및 『한국 선리논쟁의 연구』, 『강좌 한국선』, 『금강삼매경의 선사상』 등 다수의 논저가 있다.
펼치기
이진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포스텍 인문사회학부 명예교수
펼치기
정준모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뇌인지과학과/생명과학과 교수
펼치기
한자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철학과와 동 대학교 대학원을 졸업하였다. 독일 프라이부르크대학교에서 서양철학(칸트)을 공부하고, 동국대학교 불교학과에서 불교철학(유식)을 공부하였다. 계명대학교를 거쳐 이화여자대학교 철학과에서 가르치다가 2025년 2월에 퇴임하여 현재 명예교수로 있다. 저서로 『칸트와 초월철학: 인간이란 무엇인가』 , 『자아의 연구: 서양 근·현대 철학자들의 자아관 연구』, 『자아의 탐색』, 『유식무경: 유식불교에서의 인식과 존재』, 『동서양의 인간 이해』, 『일심의 철학』, 『불교철학의 전개: 인도에서 한국까지』, 『불교의 무아론』, 『칸트 철학에의 초대』, 『나를 찾아가는 21字의 여정』, 『명상의 철학적 기초』, 『한국철학의 맥』, 『불교철학과 현대윤리의 만남』, 『헤겔 정신현상학의 이해』, 『대승기신론 강해』, 『화두: 철학자의 간화선 수행 체험기』, 『선종영가집 강해』, 『심층 마음의 연구』, 『마음은 이미 마음을 알고 있다: 공적 영지』, 『성유식론 강해 I: 아뢰야식』, 『마음은 어떻게 세계를 만드는가: 일체유심조』, 『능엄경 강해 I·II』 등이 있고, 역서로는 피히테의 『인간의 사명』, 『전체 지식론의 기초』와 셸링의 『인간 자유의 본질』, 『철학의 원리로서의 자아』, 『자연철학의 이념』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