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언어학
· ISBN : 9788972733812
· 쪽수 : 516쪽
· 출판일 : 2022-12-19
책 소개
목차
머리말
Ⅰ부. 연해주 이주와 이주촌
1. 이주 요인과 이주 시기
2. 첫 이주 한인촌 지신허(Tizinxe) 마을
2.1. 지명의 유래와 정착
2.2. 분산 이주의 거점 지신허
2.3. 주민의 성씨와 한국어 방언
2.4. 학교와 교회
3. 맺음말
Ⅱ부. 제정러시아에서 간행된 한국어 문헌과 한국어
1. 노한사전 및 노한 대역어휘집
1.1. Opyt" Russko-Korejskago Slovarya(『試篇 露韓辭典』, 1874)
1.2. Opyt'' Kratkago Russko-Korejskago Slovarya(『試篇 露韓小辭典』, 1904)
1.3. Pogranichnyj Perevodchik''(『국경 통역』, 1890)
1.4. Russko–Korejskij Slovar' (『노한사전』, 1898) 516
1.5. Kratkij Russko-Korejskij Slovarj (「노한소사전」, 1900)
2. 교과서
2.1. Pervonachal'nyj uchebnik russkogo yazyka dlya korejtsev (『한인을 위한 초급 러시아어 교과서』, 1901)
2.2. Azbukа dlyа Kоrejtsev(『한인을 위한 철자 교과서』, 1902)
3. 회화서 Russko-Korejskiye Razgovory(『露韓會話』, 1904)
3.1. 『노한회화』의 체재
3.2. 서문
3.3. 전사문자
3.4. 본문: 사셔리(會話)
3.5. 단어와 표현
3.6. 『노한회화』에 수록된 한국어의 방언 특징
4. 여행기ㆍ보고서ㆍ신문 기사
4.1. Puteshestviye v Ussuriyskom kraye(1868-1869)(『우수리 지방의 여행』, 1868-1869)
4.2. Korejtsy priamurskogo kraya(『아무르 지역의 한인들』, 1895)
4.3. 「俄領實記」(1920)
5. 문법서 Slova i Vyrazheniya k" Russko–Korejskim" Razgovoram"(『노한회화에 대한 단어와 표현』, 1904)
5.1. 체재 및 내용
5.2. 서문: 한국어 조사와 어미
5.3. 요약
6. 맺음말
참고 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