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제정러시아 시기 연해주 이주 한인의 한국어 1

제정러시아 시기 연해주 이주 한인의 한국어 1

곽충구 (지은이)
서강대학교출판부
3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1,500원 -10% 0원
1,750원
29,7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제정러시아 시기 연해주 이주 한인의 한국어 1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제정러시아 시기 연해주 이주 한인의 한국어 1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언어학
· ISBN : 9788972733812
· 쪽수 : 516쪽
· 출판일 : 2022-12-19

책 소개

서강학술총서 137권. 한인이 러시아 극동 연해주로 이주하기 시작한 것은 1863년이다. 이 책은 그로부터 1937년 중앙아시아로의 강제 이주 전까지 연해주에 거주했던 한인의 한국어를 3부로 나누어 기술하였다.

목차

머리말

Ⅰ부. 연해주 이주와 이주촌
1. 이주 요인과 이주 시기
2. 첫 이주 한인촌 지신허(Tizinxe) 마을
2.1. 지명의 유래와 정착
2.2. 분산 이주의 거점 지신허
2.3. 주민의 성씨와 한국어 방언
2.4. 학교와 교회
3. 맺음말

Ⅱ부. ‌제정러시아에서 간행된 한국어 문헌과 한국어
1. 노한사전 및 노한 대역어휘집
1.1. ‌Opyt" Russko-Korejskago Slovarya(『試篇 露韓辭典』, 1874)
1.2. ‌Opyt'' Kratkago Russko-Korejskago Slovarya(『試篇 露韓小辭典』, 1904)
1.3. ‌Pogranichnyj Perevodchik''(『국경 통역』, 1890)
1.4. Russko–Korejskij Slovar' (『노한사전』, 1898) 516
1.5. ‌Kratkij Russko-Korejskij Slovarj (「노한소사전」, 1900)
2. 교과서
2.1. ‌Pervonachal'nyj uchebnik russkogo yazyka dlya korejtsev (『한인을 위한 초급 러시아어 교과서』, 1901)
2.2. Azbukа dlyа Kоrejtsev(『한인을 위한 철자 교과서』, 1902)
3. 회화서 Russko-Korejskiye Razgovory(『露韓會話』, 1904)
3.1. 『노한회화』의 체재
3.2. 서문
3.3. 전사문자
3.4. 본문: 사셔리(會話)
3.5. 단어와 표현
3.6. 『노한회화』에 수록된 한국어의 방언 특징
4. 여행기ㆍ보고서ㆍ신문 기사
4.1. ‌‌Puteshestviye v Ussuriyskom kraye(1868-1869)(『우수리 지방의 여행』, 1868-1869)
4.2. ‌Korejtsy priamurskogo kraya(『아무르 지역의 한인들』, 1895)
4.3. 「俄領實記」(1920)
5. ‌문법서 Slova i Vyrazheniya k" Russko–Korejskim" Razgovoram"(『노한회화에 대한 단어와 표현』, 1904)
5.1. 체재 및 내용
5.2. 서문: 한국어 조사와 어미
5.3. 요약
6. 맺음말

참고 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곽충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 명예교수 제3․4대 한국방언학회 회장 제16회 일석국어학상 및 제1회 학범 박승빈 국어학상(저술상) 수상 [주요 논저] 『함북 육진방언의 음운론』(1994) 『한국언어지도집, Language Atlas of Korea』(공편, 1993) 『방언학사전』(편집 책임 및 집필, 2001) 『중앙아시아 이주 한민족의 언어와 생활』(태학사, 2008, 2009) 『두만강 유역의 조선어 방언 사전』(2019) 「구개음화 규칙의 발생과 그 확산」(2001) 「현대국어의 모음체계와 그 변화의 방향」(2003) 「중앙아시아 고려말의 역사와 그 언어적 성격」(2004) 「동북방언의 만주퉁구스어와 몽골어 차용어」(2017) 외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