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컴퓨터/모바일 > 프로그래밍 개발/방법론 >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래밍 > Oracle
· ISBN : 9788972807032
· 쪽수 : 378쪽
· 출판일 : 2004-12-24
책 소개
목차
1장 오라클 서버의 구조와 복구원리
오라클 서버의 구조
메모리 영역
프로세스 영역
파일 영역
SELECT문의 처리과정
STEP-1 : Parsing(구문 분석 단계)
STEP-2 : Execution(실행 단계)
STEP-3 : Fetch(인출 단계)
DIM문의 처리과정
COMMIT문의 처리과정
오라클 서버의 시작과 종료
시작단계(Startup)
NOMOUNT 단계
MOUNT 단계
OPEN 단계 백업과 복구 원리
시스템 변경 번호
오라클 데이터베이스의 파일 구조
실습환경 구축 및 구조에 대한 분석
1) 이 교재에서 사용하게 될 실습 데이터베이스의 환경을 설정하십시오.
2) 교재의 실습 시나리오에서 사용할 MOREDEPT.SQL을 생성하고 내용을 분석하십시오.
3) 오라클 에러 코드와 실습 시나리오.
2장 오라클 DB의 안전한 구조설계
오라클 DB의 논리적/물리적 구조
오라클 DB의 구조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스페이스와 데이터 파일
세그멘트
익스텐트
블록
★ Scenario-1. 사용자의 테이블스페이스에 공간이 부족하여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 Scenario-2. TEMPORARY 테이블스페이스의 유실로 인해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NORMAL 테이블과 파티션 뷰
파티션 테이블
★ Scenario-3 파티션 테이블의 물리적 구조 설계
컨트롤 파일
다중 컨트롤 파일 시스템이란?
데이터베이스의 시작단계에서 반드시 필요한 컨트롤 파일
COMMIT문을 실행할 때 SCN을 기록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컨트롤 파일
PFILE을 이용한 다중 컨트롤 파일 시스템의 설계와 구축
SPFILE을 이용한 다중 컨트롤 파일 시스템의 설계와 구축
★ Scenario-4. 다중 컨트롤 파일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법
★ Scenario-5. 모든 컨트롤 파일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컨트롤 파일을 재생성하는 방법
리두로그 파일
다중 리두로그 파일 시스템의 설계와 벙법
리두로그 파일 시스템
다중 리두로그 파일 시스템
★ Scenario-6. 다중 리두로그 파일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법
체크포인트와 백업원리
3장 노-아카이브와 아카이브 모드
백업과 복구의 종류
노-아카이브 모드
오프라인 백업
★ Scenario-7. 노-아카이브 모드에서 OFF-LINE 백업하는 방법
★ Scenario-8. 노-아카이브 모드에서 사용자 데이터 파일이 유실된 경우
노-아카이브 모드의 전체복구
아카이브 모드
아카이브 모드의 환경설정 방법
★ Scenario-9. 아카이브 모드로 환경 설정하는 방법
4장 OFF-Line 백업을 이용한 완전복구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분석
완전복구 방법
전체 완전 복구
아카이브 파일의 적용
★ Scenario-10. DB 내에 여러 개의 데이터 파일들이 유실되어 장애가 발생한 경우
테이블스페이스 완전복구
★ Scenario-11. 특정 테이블스페이스의 데이터 파일들이 유실된 경우
데이터 파일 완전복구
★ Scenario-12. 특정 데이터 파일이 유실된 경우
★ Scenario-13. Read-Only 테이블스페이스의 데이터 파일을 백업 및 복구하는 방법
★ Scenario-14. ReadOnly 테이블스페이스의 상태 변경에 따른 백업과 복구방법
★ Scenario-15. 복구 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병렬 복구방법
5장 OFF-Line 백업을 이용한 불완전 복구
불완전 복구
시간기반 불완전 복구
★ Scenario-16. 사용자가 실수로 테이블을 DROP한 경우
취소기반 불완전 복구
★ Scenario-17. Inactive 상태의 리두로그 파일이 유실된 경우
★ Scenario-18. 모든 리두로그 파일이 유실된 경우
★ Scenario-19. 모든 컨트롤 파일이 유실된 경우
★ Scenario-20. 모든 컨트롤 파일과 특정 데이터 파일이 유실된 경우
변경기반 불완전 복구
6장 플래시-백 데이터베이스
플래시-백 기능
환경설정 방법
1단계 : 복구영역 환경설정
2단계 : 플래시-백 데이터베이스의 시작과 종료
플래시-백 데이터베이스
기본문법
플래시-백 테이블
기본문법
플래시-백 기타기능
Flash-Back Drop
예제-1 DROP 명령어와 재활용 영역(Recycle Bin)
예제-2 DROP 된 객체의 복구
예제-3 DROP 된 테이블의 완전 삭제 - PURGE 명령어
Flash-Back ROW History
기본문법 Flash-Back Query : 9i
Flash-Back Transaction History
오라클 9i에서 플래시-백 테이블
1단계 : 언두 세그멘트의 환경설정 방법
2단계 : 언두 테이블스페이스의 크기 결정
★ Scenario-21. 플래시-백을 이용한 테이블을 복구하는 경우(오라클 9i 버전)
7장 ON-Line 백업을 이용한 장애복구
테이블스페이스 온라인 백업
★ Scenario-22. ON-LINE 백업을 수행하는 방법
★ Scenario-23. ON-LINE 백업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방법
전체 데이터베이스 온라인 백업
온라인 백업을 이용한 완전 복구
★ Scenario-24. 모든 컨트롤 파일과 모든 데이터 파일이 유실된 경우
★ Scenario-25. ON-LINE 백업을 수행하는 도중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 Scenario-26. 백업된 데이터 파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8장 RMAN 유틸리티를 이용한 장애복구 방법
복구 관리자
카타로그 데이터베이스의 환경설정
★ Scenario-27. RMAN을 사용하기 위한 CATALOG DATABASE의 환경설정 방법
RMAN 기본 명령어
RMAN 명령어
STARTUP과 SHUTDOWN 명령어
REGISTER DATABASE 명령어와 UNREGISTER DATABASE 명령어
RESYNC CATALOG 명령어
LIST 명령어
RESET DATABASE 명령어
REPORT 명령어
CONFIGUAR 명령어
CREATE SCRIPT / REPLACE SCRIPT / DELETE SCRIPT 명령어
RUN 명령어
V$RMAN_OUTPUT
★ Scenario-28. RMAN의 기본 명령어 사용하는 방법
RMAN을 이용한 백업방법
기본문법
백업 타입
백업 옵션
포맷 유형
이미지 백업
다중세트 백업
이중세트 백업
★ Scenario-29. RMAN을 이용한 백업을 수행하는 방법
RMAN을 이용한 복구 방법
기본문법
복구 타입
옵션
완전 복구
전체 완전복구
테이블스페이스 완전복구
데이터 파일 완전복구
불완전 복구
시간기반 불완전 복구
취소기반 불완전 복구
★ Scenario-30. RMAN을 이용한 복구를 수행하는 방법
9장 기타 장애복구
EXPORT와 IMPORT
EXPORT 유틸리티
기본문법
Keyword의 종류
COMMAND-LINE 방식
DIALOG 방식
EXPORT 백업모드
데이터베이스 전체모드
테이블스페이스 모드
사용자 모드
테이블 모드
EXPORT 백업 유형
COMPLETE 유형
INCREMENTAL 유형
CUMULATIVE 유형
백업유형 운영 스케줄
IMPORT 유틸리티
기본문법
Keyword의 종류
COMMAND-LINE 방식
DIALOG 방식
복구 모드
★ Scenario-31. EXPORT와 IMPORT를 이용한 테이블의 백업과 복구
Data Pump Export와 Data Pump Import 유틸리티
DBV 유틸리티
CHECKSUM과 CHECKING 파라메터
DB_BLOCK_CHECKSUM 파라메터
DB-BLOCKCHECKING 파라메터
ALERT 파일
TRACE 파일
DATA GUARD
데이터 가드의 구성
★ Scenario-32. Data Guard를 이용한 시스템 복구 방법
기본 데이터베이스의 환경설정
대기 데이터베이스의 환경설정
실시간 적용 대기 데이터베이스
대기 데이터베이스의 유형
장애복구 시간 산정방법
10장 클라이어언트와 서버의 접속
데이터베이스 접속방법
1-TIER 방법
2-TIER 방법
N-TIER 방법
SQL*NET
SQL*NET의 구조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접속
LISTENER.ORA 파일
기본문법
TNSNAMES.ORA 파일
★ Scenario-33. 클라이언트-서버 구조를 위한 환경설정
NAMING METHOD
SQLNET-ORA 파일
LOCAL NAMING-METHOD
★ Scenario-34. LOCAL-NAMING METHOD를 위한 환경설정
HOST-NAMING METHOD
★ Scenario-35. HOST-NAMING METHOD를 위한 환경설정
11장 전용서버 프로세스와 공유서버 프로세스
전용서버 프로세스
공유서버 프로세스
관련 파라메터
SQLNET.ORA와 TNSNAMES.ORA의 환경설정
서버 프로세스의 활용
전용서버 프로세스로 접속해야 하는 경우
공유서버 프로세스로 접속해야 하는 경우
접속 풀링 기능
로드 밸런싱과 FailOver
데이터베이스 링크
12장 네트워크 장애와 문제해결
네트워크 장애와 에러코드
리스너 관련 에러코드
ORA-12154: No Listener
ORA-12224 : TNS : No Listener
ORA-12500 : TNS : listener failed to start a dedicated server process
ORA-12545 : TNS : name lookup failure
클라이언트 관련 에러코드
ORA-12154 : TNS : could not service name
ORA-12198 : TNS : could not find path to destination /
ORA-12203: TNS : unable to connect to destination
ORA-12533 : TNS : illegal ADDRESS parameters
ORA-12545 : TNS : name lookup failure
문제해결을 위한 체크리스트
로그파일과 추적파일
SQLNET.LOG(로그파일)
SQLNET.TRC(추적파일)
TRCASST 유틸리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