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우리말 ‘卑語’ ‘俗語’ ‘辱說’의 어원 연구

우리말 ‘卑語’ ‘俗語’ ‘辱說’의 어원 연구

조항범 (지은이)
충북대학교출판부(CBNUPRESS)
1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우리말 ‘卑語’ ‘俗語’ ‘辱說’의 어원 연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우리말 ‘卑語’ ‘俗語’ ‘辱說’의 어원 연구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음운론/어휘론
· ISBN : 9788972954880
· 쪽수 : 447쪽
· 출판일 : 2019-02-15

책 소개

저자가 준비 중인 ‘국어어원사전’에서 ‘비어’, ‘속어’, ‘욕설’에 해당하는 어휘(표현)만을 따로 뽑아 그 하나하나의 어원을 역사적 기술 방식에 따라 해석한 것이다.

목차

1장. ‘卑語’의 어원 13
1.1. ‘女性’ 관련어 14
가시내, 계집, 계집애, 년, 여편네(女便-), 연놈, 오맞이꾼(五---), 오무래미, 종간나, 통지기, 할망구, 화냥년
1.2. ‘男性’ 관련어 46
개구멍서방(---書房), 건달꾼/건달뱅이, 공돌이(工--), 꼽사리꾼, 놈, 놈팡이, 불상놈(-常-), 인마, 텡쇠
1.3. ‘夫婦’, ‘子息’, ‘아이’ 관련어 65
가시버시, 가시아비, 가시어미, 덤받이, 서방, 시러베아들, 조무래기, 후레자식(--子息)
1.4. ‘職業’, ‘職分’ 관련어 84
가정오랑캐(家丁---), 각설이(却說-), 딴따라, 땡추, 비뱅이, 장 돌뱅이(場---), 졸개(卒-), 타짜꾼
1.5. ‘身體 部位 異常者’ 관련어 103
검둥이, 곰보/얽보, 곱사등이, 귀머거리, 꼽추, 문둥이, 벙어리, 앉은뱅이, 옥니박이, 코머거리 1.6. ‘身體’, ‘모습’ 관련어 124
꼬락서니, 꼬랑지, 매가리, 배알, 사타구니, 이빨, 창알이
1.7. ‘出身地’, ‘異民族’ 관련어 138
강놈(江-), 갯놈, 두멧놈, 양코배기(洋---), 오랑캐, 짱꼴라, 쪽발이
1.8. ‘精神遲滯者’ 관련어 154
꺼벙이, 등신(等神), 미치광이(--狂-), 바보, 병신(病身), 아둔패기, 칠뜨기(七--), 팔푼이(八--) 1.9. ‘性格’, ‘氣質’ 관련어 174
개망나니, 게으름뱅이, 나부랭이, 얌생이꾼, 얌체, 염알이꾼(廉----), 자린고비(--考妣), 좀팽이 1.10. ‘言行’, ‘생각’, ‘마음’ 관련어 199
개나발, 비럭질, 소갈머리, 얀정, 채신(-身)
1.11. 기타 206
공갈빵(恐喝-), 보리윷

2장. ‘俗語’의 어원 213
2.1. ‘女性’ 관련어 214
갈보, 논다니, 계(-鷄)
2.2. ‘男性’ 관련어 222
고바우, 노틀, 제비/제비족(--族)
2.3. ‘身體’ 관련어 229
가슴패기, 골통, 눈깔, 가리, 모가지, 무르팍, 배지, 배퉁이, 볼때기/ 볼따구니/볼퉁이, 아가리, 우거지상(---相), 터거리, 턱주가리
2.4. ‘性格’, ‘氣質’ 관련어 253
개차반(--茶飯), 깡통(-筒), 깡패(-牌), 노가다, 돌팔이, 따까리, 또라이, 빨갱이, 얌치머리, 양아치, 쪼다
2.5. ‘對象’, ‘物件’ 관련어 290
닭똥집, 따발총(--銃), 쇠천, 짱깨집
2.6. ‘言行’ 관련어 300
갈구다, 개소리괴소리, 개판, 구라, 꼴값, 노가리, 노라리, 맞짱, 사바 사바, 엿 먹어라, 지랄, 진절머리, 칠칠맞다, 토끼다
2.7. ‘죽음’ 관련어 336
골로 가다, 뒈지다, 물고(物故)를 내다, 황천(黃泉)으로 보내다
2.8. ‘氣分’, ‘體面’, ‘態度’ 관련어 345
강짜, 김새다, 눈치코치, 뻘쭘하다, 야코, 좆나게, 쪽팔리다, 쫑코
2.9. 기타 360
개씨바리, 골백번(-百番), 씨알머리, 젬병(-餠)

3장. ‘辱說’의 어원 371
3.1. ‘性行爲’ 관련어 372
네에미/네미/니미/니기미, 네미랄(럴)/니미랄(럴)/예미랄(럴)에미랄(럴), 제미붙을, 제미/지미/지기미, 제할/제미랄/지미랄(럴), 제길할/제기랄/ 제길/제기, 씹새끼/씹새, 씨팔놈/씨팔 3.2. ‘刑罰’ 관련어 403
경을칠(黥--)/경칠(黥-), 난장맞을(亂杖-)/난장칠(亂杖-), 넨장맞을/ 넨장/녱장/옌장/넨장칠/넨장할·젠장맞을/젠장/젠장할, 오라질/우라질, 오 살할(五殺-)/오사랄(五--), 육실할(戮--)/육시랄(戮--)
3.3. 기타 424
개새끼, 떡을할, 빌어먹을/배라먹을, 염병할(染病-)

저자소개

조항범 (감수)    정보 더보기
1958년 청주 출생. 동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했다.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1988년부터 2023년까지 충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하였으며, 현재 같은 대학교 명예교수다. 주요 저서로 《국어의미론》(1993), 《국어 친족어휘의 통시적 연구》(1996), 《주해 순천김씨묘출토간찰》(1998), 《예문으로 익히는 우리말 어휘》(2003), 《좋은 글, 좋은 말을 위한 우리말 활용 사전》(2005), 《지명어원사전》(2005), 《국어 어원론》(2009), 《정말 궁금한 우리말 100가지》(2009), 《말이 인격이다》(2009), 《우리말 어원 이야기》(2016), 《우리말 ‘비어’, ‘속어’, ‘욕설’의 어원 연구》(2019), 《말과 글의 달인이 되는 법: 우리말 어원 사전》(2022)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가시내’는 ‘계집아이’를 뜻하는 경상·전라 방언이다. ‘계집아이’ 가 여자아이를 낮잡아 이르는 말이므로, ‘가시내’ 또한 특정 지역 에서 그러한 의미로 쓰이고 있다. ‘가시내’는 (1ㄱ)에서 보듯 중세 국어 ‘가?나?’로 소급한다. 중세국어에서는 ‘가?나?’에서 변한 ‘갓나?’가 일반적으로 쓰으나, 지금의 ‘가시내’는 ‘갓나?’가 아니라 ‘가?나?’로부터 변형된 것이다.
‘가시내’에 해서는 ‘嫁僧兒(가승아, 스님에게 시집갈 아이)’, ‘假사내(거짓 사내)’, ‘갓쓴애(갓을 쓴 아이)’ 설 등과 같은 여러 민간어원이 전한다. 또한 다음과 같은 다수의 어원설이 제기되어 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