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철학
· ISBN : 9788973164141
· 쪽수 : 258쪽
· 출판일 : 2012-02-14
책 소개
목차
제1장 요가와 선(禪)의 세계
1. 요가(Yoga)란 무엇인가 1
1) 요가의 개념 4
2) 요가의 기원 6
3) 요가의 목적 8
2. 선(禪)이란 무엇인가 12
1) 선(禪)의 개념 16
2) 선(禪)의 기원 20
3) 선(禪)의 목적 22
4) 선(禪)의 전개 27
① 불타의 선(禪) 27
② 부파불교의 선정(禪定) 30
③ 대승불교의 선정(禪定) 32
④ 중국의 선(禪) 35
⑤ 한국의 선(禪) 37
제2장 요가사상의 전개
1. <우파니샤드(Upani?ad)> 41
2. <바가바드기타(Bhagavad-g?t?)> 50
3. <요가-수트라(Yoga-s?tra)> 54
제3장 인도불교의 선(禪)
1. 초기불교 경전에 나타난 선(禪) 59
1) <담마파다(Dhammapada, 法句經)> 60
2) <칸다라카경(Kandalaka-sutta)> 61
3) <대념처경(Mah?satipa??h?na-sutta)> 67
4) <사마디경(Sam?dhi-sutta)> 84
5) <성구경(聖求經, Ariyapariyesana-sutta)> 86
6) <마하사짜카경(Mah?saccaka-sutta)> 88
7) <대반열반경(大般涅槃經, Mah?-parinibb?na-sutta)> 89
8) <무상경(無常經)> 91
2. 대승불교 경론(經論)에 나타난 선(禪) 94
1) <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密經)> 95
2)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96
3)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 98
4) <유마힐소설경(維摩詰所說經)> 103
5) <해심밀경(解深密經)> 118
6) <입능가경(入楞伽經)> 133
7)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 138
제4장 중국과 한국의 선(禪)
1. 중국의 선(禪) 147
1) <이입사행론(理入四行論)>:보리달마(菩提達磨) 147
2) <천태소지관(天台小止觀)>:천태지의(天台智?) 153
3) <신심명(信心銘)>:삼조승찬(三祖僧璨) 177
4) <육조단경(六祖壇經)>:육조혜능(六祖慧能) 188
5) <진주임제혜조선사록(鎭州臨濟慧照禪師語?)>:임제의현(臨濟義玄) 202
6) <좌선의(坐禪儀)>:자각종색(慈覺宗?) 218
7) <몽산법어(蒙山法語)>:몽산덕이(蒙山德異) 225
2. 한국의 선(禪) 230
1) <수심결(修心訣)>:보조지눌(普照知訥) 230
2) <선교결(禪敎訣)>:서산휴정(西山休靜) 246
그림목록 254
색인 25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