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컴퓨터/모바일 > OS/Networking > 네트워크 구축
· ISBN : 9788973543182
· 쪽수 : 880쪽
· 출판일 : 2003-05-20
책 소개
목차
제1부 네트워크 구축과 활용편
Chapter 1 네트워크 이야기
1.1 네트워크로 편해진 컴퓨터 환경
1.1.1 이젠 디스켓이 필요없네!
1.1.2 프린터도 함께 사용할 수 있네!
1.1.3 가족/친구들과 네트워크 게임을...
1.1.4 여러 컴퓨터가 인터넷 사용을 동시에
1.1.5 데이터 백업과 저장이 편리하다.
1.1.6 다른 컴퓨터의 장치를 내 맘대로
1.1.7 죽어 있는 컴퓨터에 생기를 !
1.2 네트워크의 기본 지식
1.2.1 네트워크의 종류
1.2.2 연결 형태에 따른 네트워크 분류
1.2.3 프로토콜(Protocol)
Chapter 2 네트워크 구축의 기본 지식
2.1 네트워크 장비 알아보기
2.1.1 랜카드
2.1.2 랜 케이블
2.1.3 허브(Hub)
2.2 랜카드 장착과 드라이버 설정
2.2.1 랜카드 장착
2.2.2 랜카드 드라이버 설치
2.2.3 랜카드의 작동 여부 확인
2.2.4 랜카드 드라이브 업데이트
2.3 네트워크 등록정보 설정하기
2.3.1 윈도우 98/SE/Me에서의 네트워크 등록정보 설정
2.3.2 윈도우 2000에서의 네트워크 등록정보 설정
2.3.3 윈도우 XP에서의 네트워크 등록정보 설정
2.4 케이블 및 네트워크 연결 상태 점점
2.4.1 케이블 연결
2.4.2 네트워크 연결 상태 점검
2.5 저장 장치의 공유와 활용
2.5.1 특정 드라이브나 폴더를 공유 설정하기
2.5.2 사용자 계정 설정
2.5.3 공유 자원의 활용
2.6 프린터 공유 및 활용
2.6.1 네트워크 프린터 구현에 앞서
2.6.2 프린터 서버 구성(윈도우 98/SE/Me)
2.6.3 프린터 서버 구성(윈도우 2000)
2.6.4 프린터 서버 구성(윈도우 XP)
2.6.5 네트워크 프린터 사용하기
Chapter 3 실제 네트워크 구축 사례
3.1 2대의 컴퓨터를 1:1로 연결하기
3.1.1 FX 케이블로 1:1 연결하기
3.1.2 USB 케이블로 1:1 연결하기
3.1.3 컴퓨터 1:1 LAN 연결하기
3.2 허브를 이용해 3대 이상의 컴퓨터 연결하기
3.3 공인 IP를 이용한 원격지 1:1 연결
3.3.1 집 컴퓨터의 IP 주소 알아두기
3.3.2 회사에서 집 컴퓨터로 1:1 연결하기
3.4 무선랜(Wireless LAN)의 연결
3.4.1 무선랜(Wireless LAN)의 개념
3.4.2 무선랜의 제어 방식에 대한 구분
3.4.3 무선랜의 전송 방식에 대한 구분
3.4.4 무선랜 제품과 사양
3.4.5 무선 랜카드 설치하기
3.4.6 무선랜의 구성 방법
3.4.7 무선랜의 보안
3.4.8 로밍(Roaming)
3.4.9 무선랜 안테나
3.4.10 무선랜의 구축 사례
Chapter 4 인터넷 연결 공유
4.1 인터넷 연결 공유의 기초 지식
4.1.1 인터넷 연결 공유란?
4.1.2 인터넷 연결 공유의 필요성
4.1.3 인터넷 연결 공유는 어떻게 되는가?
4.1.4 인터넷 연결 공유를 하면 무엇이 좋은가?
4.1.5 인터넷 연결 공유의 형태
4.1.6 외부에서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접근 불가
4.2 인터넷 연결 공유 구축과 설정
4.2.1 인터넷 연결 공유 PC의 역할은?
4.2.2 랜카드 추가 장착 및 주의할 점
4.2.3 인터넷 연결 PC의 네트워크 환경 설정
4.2.4 인터넷 연결 공유로 무엇이 달라지나?
4.2.5 사이게이트로 인터넷 연결 공유 설정
4.2.6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른 컴퓨터의 설정
4.2.7 인터넷 연결 공유 설정 확인
4.3 인터넷 공유와 네트워크 구축 사례
4.3.1 허브 없이 컴퓨터 두 대 연결하기
4.3.2 랜카드 없이 컴퓨터 두 대 연결하기
4.3.3 허브로 컴퓨터 2대 이상 연결하기 1
4.3.4 무선랜 컴퓨터 연결하기
4.4 네트워크의 확장
4.4.1 허브/스위치간의 네트워크 노드 확장
4.4.2 UTP 크로스 케이블로 노드 확장
4.4.3 UTP 다이렉트 케이블로 노드 확장
4.4.4 스택(Stack) 연결
Chapter 5 네트워크 유틸리티의 활용
5.1 네트워크 자원 관리
5.1.1 네트워크 감독 - 윈도우 98/SE/Me
5.1.2 컴퓨터 관리 - 윈도우 2000과 XP
5.2 pcAnywhere의 설치 및 활용
5.2.1 pcAnywhere란 어떤 프로그램인가?
5.2.2 pcAnywhere 10.51 구하기와 설치
5.2.3 pcAnywhere 실행과 종료
5.2.4 호스트 PC의 설정
5.2.5 원격지 PC에서 호스트 PC 제어하기
5.3 CyberWALL2002의 설치 및 활용
5.3.1 개인 방화벽의 필요성
5.3.2 제품 소개
5.3.3 CyberWALL 구하기와 설치
5.3.4 CyberWALL의 실행과 종료
5.3.5 CyberWALL 창 보이기 및 닫기
5.3.6 CyberWALL의 환경 설정
5.3.7 CyberWALL의 포트 설정
5.3.8 CyberWALL의 필터 설정
5.4 메신저와 파일 공유 프로그램
5.4.1 메신저 프로그램
5.4.2 파일 공유 프로그램
5.4.3 화상 채팅 전문 프로그램 im4cam
제2부 각종 서버 구축과 활용
Chapter 6 서버와 클라이언트 이야기
6.1 서버와 클라이언트
6.1.1 서버에 대한 이해와 역할
6.1.2 서버에 대한 잘못된 생각
6.2 프로그램을 이용한 서버 구축
6.2.1 FTP 서버에 대한 상식
6.2.2 FTP 서비스란 무엇인가?
6.2.3 FTP 서비스를 이용하면 좋은 점
6.2.4 E-mail 서버에 대한 상식
6.2.5 E-mail 서비스의 정의
6.2.6 인터넷 메일 시스템의 원리
6.2.7 SMTP와 POP3
6.2.8 음악 방송 서버
6.3 인터넷 연결에 따른 기초 지식
6.3.1 전용선 서비스란 무엇인가?
6.3.2 ADSL/Cable Internet 서비스란?
6.3.3 인터넷 주소 체계에 대해 알자.
6.3.4 DNS(Domain Name System)
6.3.5 메일 서버와 DNS
Chapter 7 FTP 서버 구축과 활용 1
7.1 Serv-U의 개요
7.1.1 Serv-U란 무엇인가?
7.1.2 Serv-U의 각 버전별 특징
7.2 Serv-U의 설치와 제거
7.2.1 FTP Serv-U 설치하기
7.2.2 Serv-U 제거하기
7.3 Serv-U 화면 살펴보기
7.4 Serv-U 실제 활용 편
7.4.1 FTP 서버 구축하기
7.4.2 FTP 서버 설정하기
7.4.3 도메인 설정하기
7.4.4 도메인 세팅하기
7.4.5 도메인 Activity
7.4.6 사용자 계정 세팅하기
7.4.7 그룹 설정하기
7.4.8 원격 서버 관리하기
Chapter 8 FTP 서버 구축과 활용 2
8.1 IIS 5.0의 설치하기
8.1.1 IIS 5.0 설치 여부 파악하기
8.1.2 IIS 5.0 제대로 설치하기
8.1.3 설치된 IIS 5.0 확인하기
8.2 FTP 서버 구축 및 활용
8.2.1 IIS로 FTP 서버 구축하기
8.2.2 FTP 등록정보 보기와 수정
8.2.3 FTP 사용자 계정 설정하기
8.2.4 FTP 사용자 그룹 설정하기
8.2.5 FTP 접속 상황 살피기
8.2.6 FTP 사용자의 연결 끊기
8.2.7 FTP 가상 디렉토리 연결하기
Chapter 9 FTP 클라이언트의 활용
9.1 FTP 클라이언트의 개요
9.2 Ws_FTP Pro 설치와 제거
9.2.1 Ws_FTP Pro 7.02 구하기
9.2.2 Ws_FTP Pro 7.02 설치하기
9.2.3 Ws_FTP Pro 7.6 제거하기
9.3 Ws_FTP Pro의 활용
9.3.1 Ws_FTP Pro의 실행과 종료
9.3.2 Ws_FTP Pro 실행 창 살피기
9.3.3 Ws_FTP Pro의 옵션 설정
9.3.4 Ws_FTP Pro의 활용
9.4 LeapFTP의 활용
9.4.1 LeapFTP의 환경 설정
9.4.2 FTP 사이트 접속하기
9.4.3 FTP 사이트에서 자료 올리고 받기
9.5 알FTP의 활용
9.5.1 알FTP 사용 환경 설정하기
9.5.2 FTP 사이트 접속하기
9.5.3 자료 올리기와 내려 받기
Chapter 10 웹 메일 서버 구축과 활용
10.1 웹 메일 서버 구축 전에
10.1.1 윈도우즈용 imate 5.0 구하기
10.1.2 imate 프로그램 설치하기
10.1.3 imate Service Manager 창
10.1.4 imate 프로그램의 제거
10.1.5 서버 시스템의 재설치와 이전
10.2 관리자 운영편
10.2.1 관리자로서 알아야 할 사항
10.2.2 imate 접속과 접속 종료
10.2.3 imate 관리자란?
10.2.4 사용자 관리
10.2.5 그룹 관리
10.2.6 메뉴 관리
10.2.7 환경 설정
10.2.8 사이트 홈페이지 관리
10.2.9 통계
10.2.10 about
10.2.11 게시판 관리
10.2.12 메뉴 및 게시판의 권한 설정
10.3 사용자 서비스 활용편
10.3.1 imate 접속과 종료
10.3.2 개인 정보 관리
10.3.3 편지
10.3.4 우편함 설정
10.3.5 주소록 관리
10.3.6 일정 관리
10.3.7 게시판
10.4 EMWAC 메일 서버
10.4.1 EMWAC 메일 서버의 개요
10.4.2 EMWAC 메일 서버의 활용
Chapter 11 음악 방송 서버 구축과 활용
11.1 음악 방송 서버 구축에 앞서
11.2 음악 방송 서버 구축하기
11.2.1 Shoutcast DNAS 설치하기
11.2.2 WinAmp 설치하기
11.2.3 SHOUTcast DSP 설치하기
11.3 음악 방송 서버 환경 설정
11.3.1 SHOUTcast DNAS의 환경 설정
11.3.2 Winamp의 Plugin 환경 설정
11.4 Winamp 다루기
11.4.1 WINAMP 살펴보기
11.4.2 WINAMP 사용법
11.4.3 WINAMP 고급 환경 설정하기
11.5 실제 방송 서버 운영하기
11.5.1 방송용 노래 파일 구하기
11.5.2 음악 방송 서버 기동과 종료
11.5.3 Winamp로 자신의 음악 방송 내보내기
11.5.4 인터넷에서 Winamp로 음악 방송 듣기
11.5.5 방송을 하면서 멘트 내보내기
11.5.6 홈페이지에 Winamp 방송 링크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