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컴퓨터/모바일 > 인공지능
· ISBN : 9791194000129
· 쪽수 : 512쪽
· 출판일 : 2025-12-12
책 소개
<AI 하나로 광고·영화·애니메이션·교육 영상부터 유튜브·틱톡 숏츠까지 제작하는 시대!>
"실무형 예제 중심으로 배우는 "진짜" AI 영상 제작"
챗GPT/소라/피카/클링AI/런웨이/컴피UI 등 최신 생성형 영상 툴을 직접 활용해 완성도 높은 결과물을 만드는 전 과정을 실습할 수 있다.
"아이디어에서 대본까지, 챗GPT로 기획 자동화"
타깃과 페르소나 설정, 시놉시스 구성, 톤 앤 매너 설계, 장면별 프롬프트와 보이스오버 스크립트 제작 등 영상 기획의 전체 프로세스를 배울 수 있다.
"레퍼런스 자산 생성, 이미지·캐릭터 풀 구축"
미드저니/아트브리더/제너레이티드 포토스/프리픽/시드림 4/나노 바나나(Flash 2.5)를 활용해 캐릭터 시트, 스타일, 목업, 씬 이미지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을 다루고 있다.
"사운드가 완성도를 결정한다, 음악·효과음·보이스"
수노로 장르별 BGM과 K-POP 스타일을 제작하고, 일레븐랩스로 보이스/효과음/자막까지 일괄 제작하는 오디오 프로덕션 과정을 배울 수 있다.
"주요 비디오 모델 총정리, 툴별 강점으로 제작"
소라/런웨이/피카/구글 베오/클링AI의 주요 기능과 강점을 비교 분석하며, 참조 이미지, 시드 고정, 립싱크, 객체 추가/교체, 시퀀스 연결 등 영상 생성의 핵심 기법을 익힐 수 있다.
"장면을 이어 스토리로, 시퀀스·전환·모션 디테일"
피카/런웨이/클링AI의 고급 편집 기능을 활용해 루프, 트랜지션, 모션 트래킹, 업스케일링 등 장면 전환 기술을 실전 중심으로 다룬다.
"파이프라인 완성, 노드·편집으로 현업 적용"
부록으로 제공되는 컴피UI 설치부터 LTXV, AnimateDiff 노드 워크플로우를 익히고, 캡컷 AI 영상 편집 툴로 최종본을 완성하는 과정을 통해 실무에 적용 가능한 전체 제작 흐름을 배울 수 있다.
<이 책, 이런 분께 추천합니다>
① AI 영상 제작을 처음 시작하는 예비 창작자
영상 제작 경험이 없더라도, 챗GPT와 Sora, Runway, Pika, Kling, Midjourney 등 주요 생성형 AI 툴의 기본 원리와 실전 적용법을 단계별로 배울 수 있다.
② 실무에 AI를 도입하려는 영상 제작자·콘텐츠 크리에이터
촬영·편집 없이 기획부터 결과물까지 자동화하는 최신 AI 워크플로우를 익히며, 업무 효율을 높이고 독창적인 스타일의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③ 마케팅·브랜딩 담당자 및 기업 홍보 담당자
비용과 시간을 절약하면서 광고·SNS·홍보 영상을 직접 제작할 수 있으며, AI 영상과 음성, 자막을 연동한 브랜드 콘텐츠 제작법을 배울 수 있다.
④ AI·미디어 기술의 융합에 관심 있는 학생 및 연구자
AI 영상 생성의 핵심 원리, 모델 비교, 시퀀스 편집 등 실제 연구와 논문, 프로젝트 설계에 도움이 되는 실무형 지식을 얻을 수 있다.
⑤ 예술·디자인 전공자 및 미디어 아티스트
텍스트 기반 프롬프트로 감성적 영상, 애니메이션, 뮤직비디오를 구현하며 AI를 예술적 표현 도구로 확장하는 창작 경험을 배울 수 있다.
⑥ AI 교육을 기획하는 교사·에듀테크 실무자
AI 영상·이미지·음성 제작의 전 과정을 수업 커리큘럼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학생들과 함께 실습할 수 있는 구체적인 예시와 교재형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목차
프롤로그
학습자료
PART 01 들어가기
01 지금은 AI 영상 콘텐츠 시대
생성형 AI 영상의 등장 배경과 흐름
- 오픈AI가 공개한 소라(Sora)
- 런웨이 젠(Runway Gen)의 진화
- 할리우드 작가/배우 파업 사태
- "Pepperoni Hug Spot" 패러디 광고
- 영화와 애니메이션도 AI로 재구성되는 시대
AI, 인간 크리에이터와 협업하다
- 프롬프트 설계는 인간의 기획력에서 시작한다
- AI는 빠른 시각화 파트너이며, 인간은 최종 결정자이다
- 공동 제작 실험 사례: AI와 사람이 함께 만든 영상들
팁: 프롬프트란?
- 감정과 맥락은 인간만이 설계 가능한 영역이다
- 제작 현장이 AI 도입으로 큰 변화가 일고 있다
- 협업을 위한 역할 분담: AI가 잘하는 것 vs 인간이 잘하는 것
- 협업을 위한 역할 분담: AI가 잘하는 것 vs 인간이 잘하는 것
숏폼부터 롱폼까지 확장하는 AI 영상
- 숏폼(Short form): 15초~1분 이내
- 미드폼(Mid form): 약 1~5분
- 롱폼(Long form): 5분 이상
콘텐츠 소비 방식의 변화
- 스크롤형 소비와 숏폼 알고리즘의 정교화
팁: 인터랙티브(interactive)란?
02 생성 AI 툴 알아보기
생성형 AI 영상 제작 툴 알아보기
- 챗GPT의 오픈AI가 개발한 소라(Sora)
- 디자이너와 영상 크리에이터를 위한 올인원 AI, 런웨이(Runway)
- 감정과 움직임을 만드는 AI 숏폼, 피카(Pika)
- 노드 기반의 커스텀 AI 영상 제작 툴, 컴피유아이(ComfyUI)
팁: 노드 방식(Node-based)이란?
- 감성적 고품질 시네마틱 영상 생성에 특화된 구글 베오(Veo)
- 창작의 한계에 도전하는 차세대 모델, 클링AI(KlingAI)
생성형 AI 이미지 생성 툴 알아보기
- 창의적인 AI 아트워크를 생성하는 미드저니(Midjourney)
- 창의적 조합과 진화로 캐릭터를 생성하는 아트브리더(Artbreeder)
- 사실적인 AI 인물 생성을 위한 제너레이티 포토스(Generated Photos)
- 초고속/고정밀 이미지 생성을 구현한 나노 바나나(2.5 Flash)
- 디자인 자원을 통합 제공하는 AI 플랫폼, 프리픽(Freepik)
PART 02 시작하기
03 챗GPT의 활용(기획부터 대본까지)
영상 제작을 위한 챗GPT 워크플로우
챗GPT로 독창적인 아이디어 발굴하기
- 제작 목적에 맞는 아이디어 생성하기
- AI와 협업하는 브레인스토밍 기법
- 무드보드/스타일 키워드 추출하기
챗GPT로 콘셉트 기획하기
- 핵심 메시지 정의하기
- 타깃 시청자 분석 및 페르소나 설정하기
- AI가 제안하는 콘셉트 아트/비주얼 방향 설정하기
시놉시스 구성하기
- 한 줄 요약(Logline) 만들기
- 기승전결 구조 설계 만들기
- 숏츠 vs 장편 시놉시스 차별화 만들기
시나리오 작성하기
- 장면별 흐름 구성하기
- 대사/내레이션/자막 스크립트 작성하기
- AI 쇼핑 호스트/강사 캐릭터의 스크립트 예시
대본 정리 및 영상 톤 설정하기
- 광고 대본/강의 대본/유튜브 대본 유형 비교하기
- 톤 앤 매너(Tone & Manner) 설계하기
- 콘텐츠 목적별 대본 최적화하기
장면별 이미지 프롬프트 생성하기
- 미드저니/런웨이/피카/클링AI 등 영상 툴과 연계하기
- 장면별 프롬프트 작성법(장소/인물/분위기/카메라 앵글 포함)
- 네거티브 프롬프트 활용법
오디오(사운드) 프롬프트 생성하기
- 보이스오버(Voice-over) 스크립트 제작하기
- 감정/톤/속도 지정하기
- 배경음악/효과음 프롬프트 작성하기
통합 기획서 완성하기
- 챗GPT가 작성한 자료들을 하나로 묶는 방법
- 팀/클라이언트와 공유할 수 있는 기획서 포맷
- 실제 프로젝트 적용 사례
- 활용법 1: JSON 코드로 8초 광고 영상 만들기(에어팟 광고 제작)
- 활용법 2: JSON 코드로 30초 광고 영상 만들기(수제 피자 가게 광고 제작)
팁: 생성형 AI에서 JSON(제이슨)을 사용하는 이유
04 참조 소스 만들기: 캐릭터 생성하기
영상 제작을 위한 참조 소스(이미지) 생성 AI 툴
아트브리더로 나만의 캐릭터 만들기: 미드저니와 협업
- 아트브리더로 기본 캐릭터(아바타) 만들기
- 캐릭터(얼굴) 초안 만들기
- 캐릭터(얼굴) 초안 세련되게 가공하기
제너레이티드 포토스로 모델 만들기: 영상 생성 AI와 협업
- 제너레이티드 포토스로 피자 가게 모델 만들기
- 모델(여성) 얼굴 만들기
- 모델(여성) 신체(스타일/포즈) 만들기
팁: 사용자가 원하는 포즈로 이미지 생성하기
05 참조 소스 만들기: 이미지 생성하기
미드저니(MidJourney) 기본 사용법
- 이미지를 생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들
- 텍스트(프롬프트)로 이미지 생성하기
- 세로(9:16) 숏폼 이미지로 수정(생성)하기
팁: Edit(편집) 창에서 할 수 있는 요소(객체) 대체 작업들
팁: 프롬프트 작성 시 중요한 것
프레이밍 워드(Framing words)
- 참조 이미지(스타일)를 활용한 이미지 생성
미드저니 고급 사용법: 일관된 이미지 생성법
- 스타일 튜너로 맞춤형 이미지 생성하기
팁: 다양한 스타일 튜너 활용법
- 개인화(퍼스널라이즈) 스타일 코드(P)로 이미지 생성하기
- 무드보드(Moodboard)로 개인화 스타일 이미지 관리하기
팁: 챗GPT 확장 도구로 미드저니 프롬프트 생성하기
팁: 무드보드 이름 변경하기
캐릭터/모델 스타일 업그레이드하기
- 아트브리더에서 만든 캐릭터 스타일 변경하기
- 애니메이션 장면 연결을 위한 참조 이미지 만들기
- 장면(이미지)의 특정 부분 수정하기
- 제너레이티드 포토스에서 만든 모델 스타일 변경하기
미드저니에서 동영상 만들기
- 한 장의 이미지로 동영상 만들기
- 시네마틱 의류 광고 영상 만들기
- 컬러라이저로 흑백사진을 컬러 영상으로 만들기
프리픽으로 목업 이미지 및 캐릭터 시트 만들기
- 배경 투명하게 하기: 불필요한 요소(워터마크/글자 등) 지우기
- 목업 이미지 생성하기
- 유튜브 채널용 아이콘 만들기
- 스케치로 실사 이미지 만들기
- 캐릭터 시트 생성하기: 시드림 4 모델의 활용
- 애니메이션 장면을 만들기: 시드림 4 모델의 활용
- K팝 뮤직 비디오 만들기: 시드림 4 모델의 활용
나노 바나나(2.5 Flash)로 무한대 이미지 생성하기
- 배경 스타일 바꾸기: 패션 보그지 스타일 생성하기
- 모델(캐릭터) 스타일 바꾸기: 의상/신발/액세서리 착용하기
- 모델(캐릭터) 스타일 바꾸기: 두 모델의 스타일 맞바꾸기
팁: 프롬프트 수정하여 재생성하기
- 특정 오브젝트 색상 바꾸기: 흑백 사진을 컬러로 바꾸기
- 이미지 속 요소(객체) 제거하기/채워넣기
- 이미지 속 캐릭터 포즈 설정하기
- 이미지 속 텍스트 변경하기
- 제품 라벨 바꾸기/붙이기
- 인테리어 바꾸기: 액자 속 그림/벽지/소파 색상 변경하기
- 모델이 들고 있는 제품 바꾸기
- 3D 건축 도면 만들기: 아이소메트릭 이미지 생성하기
팁: 제품과 인물의 배치를 정확하게 전달하기
- 나만의 캐릭터를 피규어로 만들기
- 기업 로고 만들기: 피자 가게 로고 생성 및 라벨 붙이기
- 이미지 비율(크기) 변형하기: 여백에 장면 채우기
팁: 하얀색 배경(여백)이 있는 이미지 만들기
- 유튜브 썸네일 만들기
- 배너 광고 이미지 만들기
팁: 나노 바나나 무료로 사용하기
06 AI 배경음악/효과음/음성 만들기
수노(Suno) AI로 K팝 & 배경음악 만들기
- 수노로 초간단 작곡하기: 곡 자동 생성하기
- 수노로 초간단 작곡하기: 사용자(수제 피자 가게) 장르 생성하기
- 수노로 초간단 작곡하기: 심플 모드로 곡 연장하기
- 수노로 초간단 작곡하기: 심플 모드로 커버 곡 만들기
팁: 보컬/반주(악기) 추가 및 스타일 설정하기
- 수노로 K-팝 아이돌 노래 만들기
- 스타일 탐색기로 작곡하기: Explore(익스플로러) 활용
팁: 수노 유료 구독 해지하기
일레븐랩스(ElevenLabs)로 보이스/효과음 만들기
- 일레븐랩스로 효과음(Sound Effects) 만들기
- 일레븐랩스로 음성 디자인하기: 프롬프트로 음성 생성하기
- 일레븐랩스로 사용자(또는 타인의) 음성 등록하기
- 사용자(배우 한석규) 음성으로 영상(오디오)북 만들기
- 캡션(자막) 만들기
- 일레븐랩스로 음성 변형하기: 사용자 음성
팁: 일레븐랩스로 사용자 음성 복제하기
- 텍스트로 음성 만들기: Text to Speech 활용
팁: 믹스보드(Mixboard)로 다중 요소를 하나로 합성하기
PART 03 동영상 생성
07 소라 2(Sora 2) 활용하기
- 소라 2 시작하기: 초대 코드 받기
- 소라 2에서 동영상 생성하기: 텍스트로 동영상 생성
- 소라 2에서 동영상 생성하기: 카메오가 등장하는 동영상 생성
- 소라 2에서 동영상 생성하기: 참조 이미지로 동영상 생성
- 소라 2에서 동영상 생성하기: 타인의 작품 리믹스하기
예제: 아이스크림 광고 영상 만들기
예제: 썬크림 광고 영상 만들기
팁: 영상에 삽입된 워터마크 제거하기
08 런웨이의 젠(Gen) 활용하기
런웨이(Runway) 기본 사용법
- 런웨이 메뉴 살펴보기
팁: 런웨이 작업 화면 밝기 설정하기
런웨이(Runway) 고급 사용법
- 나만의 이미지 스타일 만들기: 참조 이미지와 스타일 활용
- 참조(References) 이미지로 스타일 만들기
- 스타일(Styles) 에셋으로 이미지 생성하기
- 스케치 씬(Sketch a scene)으로 이미지 생성하기
- 모델 일관성 유지하기: 시드(Seed) 활용법
- 외형(얼굴)이 같은 이미지 반복 생성하기
- 동작(춤/표정/말)하는 캐릭터 만들기: Act-Two의 활용
- 시작 효과(VFX) 장면 만들기: 알레프(Aleph)의 활용
- 밤하늘에 별똥이 떨어지는 장면 만들기
- 할로윈 호러 장면 만들기
팁: 첨부 동영상 길이 편집하기
- 폭우가 내리는 익스트림 스포츠 장면 만들기
- 달리는 KTX 설국 열차 장면 만들기
그밖에 유용한 런웨이 AI 도구 활용법
- 런웨이 액션 도구 사용하기: 미디어 고급화하기
- 캐릭터(인물) 립싱크하기
팁: 무료 립싱크(더빙) 파일 생성 도구
- 동영상(장면) 길이 늘리기: Edit Video의 활용
- 장면의 속도/떨림/역재생 설정하기: Retime video의 활용
- 영상의 가로/세로 비율 확장하기: 숏폼 영상 제작
- 특정 장면을 새로운 참조 이미지로 만들기
- 영상 해상도 높이기: 업스케일의 활용
- 런웨이 독립 도구 사용하기: 고급 편집 도구의 활용
- Remove Background로 배경 제거 및 합성하기
- 장면과 장면 사이에 새로운 장면 만들기: 몰핑 기법
- 영상 속 빌런(불필요한 요소) 제거하기: Inpainting의 활용
- 초고속 카메라 효과 표현하기: Super Slow Motion의 활용
- 영상 속 음성을 텍스트로 만들기: Transcript의 활용
- 장면 속 특정 요소(캐릭터) 따라가기: Motion Tracking의 활용
- 모션(애니메이션) 자막 만들기: 키프레임의 이해
팁: 키프레임(Keyframe)이란?
- 이미지 해상도 끌어 올리기: 업스케일링 이미지의 활용
팁: 편집 트랙 추가/삭제
09 피카(Pika) AI 활용하기
피카(Pika) 기본 사용법
팁: 유료 계정 해지하기
- 텍스트로 동영상 생성하기: Text to Image의 활용
팁: 부정 프롬프트(Negative Prompt)란?
- 피카 이펙트로 원클릭 영상 만들기: SF 영화 속 여전사로 변신
- 연속되는 장면 만들기: Pikaframes의 활용
- 즐겨 사용되는 부정 프롬프트
팁: 반복되는 루프(Loop) 장면 만들기
- 장면 전환에 사용되는 용어(키워드)
- 여러 장면(이미지)을 시퀀스로 연결하기: Pikascenes의 활용
- 이미지 프롬프트(Image to Prompt)로 장면 시퀀스 연결하기
팁: 피카에서 동영상 시드 값 확인하는 방법
- 영상에 새로운 요소(객체) 등장시키기: Pikadditions의 활용
- 도심 한복판에 나타나 하늘을 나는 드래곤: 가상현실 효과
- 미래 도시의 횡단보도를 걷는 만화 캐릭터: 일상에 끼어든 AI 만화 캐릭터
- Pikaswaps로 영상 속 요소(캐릭터/얼굴) 교체하기: 딥페이크 기법
- 오토바이를 타고 달리는 동물 캐릭터 장면 만들기
- 액션 무비 속 여주 얼굴 바꾸기: 딥페이크 기법
- 영상 속 요소(객체) 변형하기: Pikatwists의 활용
10 플로우의 베오(Veo) 활용하기
제미나이(제미니)를 활용한 베오(Veo) 모델 사용법
팁: 제미나이 정기 결제 해지하기
- 한국어 립싱크하기
플로우를 활용한 베오(Veo) 모델 고급 사용법
- 텍스트로 동영상 생성하기: 간단한 밀크 음료 광고 장면 만들기
- 사진으로 동영상 생성하기: 세상에 하나뿐인 패션쇼 장면 만들기
- 에셋으로 동영상 생성하기
- 3개의 에셋으로 연속되는 장면 만들기: 람보르기니 우라칸의 질주
- 장면 빌더로 장면 편집하기
11 클링AI(KlingAI) 활용하기
클링AI 사용법: 다양한 이미지 생성하기
- 클링AI로 이미지 생성하기: 텍스트 생성 이미지의 활용
- 클링AI의 "텍스트 생성 이미지"로 이미지 생성하기
팁: 클링AI 유료 멤버십 해지하기
- 클링AI로 이미지 생성하기: 원 이미지 참고의 활용
- 단일 이미지 참고로 일관된 이미지(캐릭터) 생성하기
팁: 딥싱크로 외부 이미지 프롬프트 윤색하기
- 다수 이미지 참고로 합성된 이미지 생성하기
- 클링AI로 이미지 생성하기: 스타일 리스케일의 활용
클링AI 사용법: 고품질 동영상 생성하기
- 클링AI로 동영상 생성하기: 텍스트 생성 비디오의 활용
- 클링AI로 동영상 생성하기: 이미지로 비디오 생성하기의 활용
- 프레임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장면 만들기
- 프레임으로 타이틀 애니메이션 만들기
- 다수 이미지 참고로 영상 합성하기
- 클링AI로 동영상 생성하기: 멀티모달 편집하기의 활용
- 동영상 속 엘리먼트(객체) 교체하기
- 동영상에 새로운 엘리먼트(객체) 추가하기
- 동영상 속 특정 엘리먼트(객체) 제거하기
- 클링AI로 동영상 생성하기: 특수 효과의 활용
- 클링AI로 동영상 생성하기: 립싱크 영상 만들기
- 나만의 캐릭터 만들기: 이미지 캐릭터의 활용
클링AI 사용법: 그밖에 유용한 도구 살펴보기
- 이미지 재생성/확장/지우기: 이미지 편집 기능의 활용
- 사운드 효과 생성 및 적용하기
- 텍스트로 효과음 생성하기
- 장면에 맞는 사운드 생성하기
팁: 커스텀 모형으로 사용자 모델 만들기
- 모델 의상 교체하기
- 액티브 캔버스로 이미지(동영상) 생성하기
팁: 비디오 장면 연장하기
예제: 나만의 "케데헌" 애니메이션 만들기
예제: "K-POP" 뮤직비디오 만들기
부록(PDF)
12 컴피UI(ComfyUI) 설치와 활용
설치 및 기본 사용법 익히기
팁: 파이썬(Python)이란?
팁: 깃(Git)이란?
- 컴피UI 필수 파일 설치 및 실행하기
팁: 컴피UI가 설치된 주소 정확하게 아는 법
팁: cmd(명령 프롬프트)를 특정 폴더 위치로 한번에 여는 법
팁: 명령 프롬프트에서 파일 설치 시 에러 해결법
- 체크포인트 모델 설치하기
- 컴피UI에서 이미지 생성하기: 기본 모델 활용
- 프롬프트 작성 및 노드 연결하기
- 컴피UI에서 이미지 생성하기: 고품질 모델 활용
- 이미지 품질 향상시키기
- 샘플러(Sampler)와 스텝(Steps) 설정으로 이미지 품질 향상시키기
- 기형적으로 표현된 인체(눈, 코, 입, 손발가락 등) 개선하기
- 로라(LoRA)와 VAE로 이미지 품질 향상기키기
고급 사용법: 컨트롤넷과 동영상 제작
- 컨트롤넷(ControlNet) 활용하기
- 오픈포즈(OpenPose)로 완벽한 포즈 표현하기
- 컴피UI 매니저를 활용한 노드 및 모델 설치하기
- OpenPose Pose로 포즈 시각화하기: 포즈 스켈레톤 추출하기
- 라인아트(lineart)로 3D 건축물 표현하기
동영상 생성하기: 비디오 모델 사용법
- LTXV 모델로 동영상 만들기: 텍스트 투 비디오
- LTXV 모델로 동영상 만들기: 이미지 투 비디오
팁: 동영상 속 사람의 신체가 왜곡될 때
- LTXV 모델로 동영상 만들기: 다중 프레임 제어
- 그밖에 주요 비디오 생성 모델
- Wan2.2 / Wan2.1 / Wan Video 시리즈
- Hunyuan Video (혼위안 비디오)
- SVD (Stable Video Diffusion)
- Cosmos
- AnimateDiff
PART 04 영상 편집
13 캡컷 AI를 활용한 영상 편집 618~700페이지
저자소개
책속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