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경영전략/혁신
· ISBN : 9788974428129
· 쪽수 : 672쪽
· 출판일 : 2012-04-10
책 소개
목차
발간사 4
추천사 6
추천사 8
서문 10
제 1장 건설 산업의 지속가능성 추진동인
건설 산업의 파급효과 19
지속가능한 건축 28
지속가능한 건설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혜택 31
2020년을 위한 지속가능한 환경 구축의 당위성 34
책 내용 소개 34
Mini Case 티타늄 타워: 칠레, 산티아고, 라 포르타다 43
- Discussion questions and exercises 45
- 참고문헌 46
제 2장 건설 산업의 지속가능성 역사
지속가능 운동의 등장 51
지속가능성에 대한 국제적 태동 54
지속가능 운동을 위한 다국적 움직임 67
2020년의 조직과 지배구조 81
Mini Case 유나이티드 내이션스 오피스 콤플렉스: 케냐, 나이로비 87
- Discussion questions and exercises 90
- 참고문헌 91
제 3장 지속가능성 관련 정책 및 프로그램
소유주의 관점: 지속가능성 정책의 성공을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97
지속가능성 정책 대안들 105
프로젝트 발주자를 위한 지속가능성 프로그램의 구성요소들 116
지속가능한 건설 정책과 프로그램: 국제적 사례 130
기업의 관점: 보다 지속가능한 프로젝트를 실천할 수 있도록 건설 기업을 변화시키는 방법 143
건설 관련 기업들의 지속가능성 정책 172
Mini Case 송도 국제업무단지(IBD): 한국의 에코시티 180
공통된 주제들 201
2020년 지속가능성 정책 203
- Discussion questions and exercises 206
- 참고문헌 208
제 4장. 친환경 인증제도
건축자재 및 제품의 지속가능성 평가 218
건축물의 친환경 인증제도 233
사례연구: 듀크 에너지 센터 254
인프라시설, 지역 및 국가 프로젝트의 인증제도 264
기업의 등급제도, 보고 및 전략적 실천 270
2020년 지속가능성 측정과 평가 275
Mini Case 2012 런던올림픽 파랄림픽 경기장 프로젝트 280
- Discussion questions and exercises 287
- 참고문헌 288
제 5장 프로젝트 발주 및 설계이전단계의 지속가능성 기회와 사례
건설 환경의 생애주기: 프로젝트 이해관계자와 프로세스 그리고 기회 293
설계이전단계의 지속가능한 건설 기회요인 299
사례연구: 트리스 애틀랜타 캔디다 센터 305
Mini Case 캐나다 노바스코샤 공공 도서관 프로젝트 316
Mini Case 미국 플로리다 네이플스 프리덤 파크 프로젝트 319
Mini Case 비져네어 빌딩: 미국, 뉴옥 322
Mini Case 바데소노 호텔 327
- Discussion questions and exercises 322
- 참고문헌 333
제 6장 설계단계의 지속가능성 기회와 사례
통합설계 프로세스 337
사례연구: 트리스 애틀랜타 캔디다 센터와 뱅크 오브 아메리카 타워 375
Mini Case 인터콘티넨탈 호텔 리빙 월: 칠레, 산티아고 415
Mini Case 시드니 워터 본사: 호주, 뉴사우스웨일스주 416
- Discussion questions and exercises 418
- 참고문헌 420
제 7장 시공단계의 지속가능성 기회와 사례
시공단계의 기회요인 423
Mini Case 센터원: 대한민국, 서울 435
트리스 애틀랜타 캔디다 센터 465
사례연구: 프록시미티 호텔 프로젝트 476
Mini Case 그란 토레 코스타네라: 칠레, 산티아고 488
- Discussion questions and exercises 490
- 참고문헌 491
제 8장 운영 및 유지·관리단계의 지속가능성 기회와 사례
운영 및 유지·관리단계의 기회요인 495
사례조사: 트리스 애틀랜타 빌딩 507
사례연구: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의 에너지 효율화를 위한 리모델링 511
생애주기 종료단계에서의 지속가능성 기회요인 532
시설물 생애주기 동안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수행지침 요약 538
Mini Case 홈스테드 공군기지 소방서 540
Mini Case 원 아일랜드 이스트: 홍콩 542
- Discussion questions and exercises 544
- 참고문헌 546
제 9장 지속가능성에 관한 비즈니스 케이스
리디포크 초등학교 프로젝트의 지속가능 전략 549
초기투자비용의 난관 극복하기 560
연간 물 소비 절약 582
비즈니스 케이스를 바탕으로 한 프로젝트 계획 590
2020년을 위한 비즈니스 케이스 만들기 602
- Discussion questions and exercises 605
- 참고문헌 606
제 10장 지속가능한 건설 산업의 미래 동향
새로운 기술들 611
프로세스의 개선 619
건설 산업 전반에 걸친 보다 광범위한 지속가능성 동향 636
지속가능성의 미래 648
Mini Case 마스다르 시티: 아랍 에미레이트, 아부다비 653
- Discussion questions and exercises 659
- 참고문헌 661
친환경 건설 관련 용어집 663
책속에서
향후 미래사회에서 심화될 인구의 도시집중 현상에 대비하려면 높은 밀도의 도시 인구 전체에게 삶의 질을 담보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과거 도시를 벗어난 지역에서 생산·공급되었던 식재료와 수자원 및 에너지들이 이제는 도시 안에서 새로운 방식으로 공급되는 시기가 다가올 것이다. 미래사회의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수직농장(Vertical Farming)은 건물 내에 농사환경을 만들어 농작물을 직접 생산하는 방식으로, 외부 자재의 공급 의존도를 낮추면서 높은 운송비용을 최소화하는 장점이 있다. 유비쿼터스 시스템 등으로 인해 물리적 이동이 배제된 온라인상의 업무가 일상화된다면 대중교통시스템의 변화는 필수 불가결한 요소가 될 수도 있다.
-제 1장 ‘건설 산업의 지속가능성 추진동인’ 중에서
일본 건설 산업의 지속가능 운동은 일본의 국가적 특성에 영향을 많이 받아왔다. 일본은 인구밀도가 높은 섬나라(14만 6,000평방마일에 인구 1억 2,700만 명)로 화석연료를 비롯하여 제한적인 천연자원을 보유하고 있는 곳이다. 이러한 환경적 요인으로 인해 1970년 발생한 오일쇼크는 일본 정부가 지속가능성 분야(특히 건설 분야의 에너지 효율방안)에 관심을 갖도록 만든 계기가 되었다. 오일쇼크로 인해 일본정부는 1972년 에너지 소비를 줄이기 위한 ‘에너지의 합리적 사용에 관한 법률’을 입법화하였으며, 그 이후로도 공장, 상가, 주택 등의 에너지 소비를 규제하는 추가적인 에너지보호법을 만들었다. 이러한 규제와 함께 급격히 높아진 에너지 비용(미국의 2배)으로 인해 소비자 수요는 감소하였다.
-제 2장 ‘건설 산업의 지속가능성 역사’ 중에서
모든 지속가능성 교육훈련이 반드시 지속가능성만을 지향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많은 기업들이 기업 내 다른 교육훈련 프로그램들에 지속가능성 개념을 포함시키고자한다. 예를 들어, 안전훈련 중 위험/유해물질 관리 등과 같은 주제에 지속가능성 개념을 포함시킨다면 보다 효과적인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교육훈련을 통해 유해성이 낮은 재료의 사용을 권장할 수 있을 것이며 유해성이 낮은 재료의 사용을 유도하여 유해한 재료 사용 시 요구되었던 관리조치들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구성원들이 외부에서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기업에서 지원해주는 것 또한 하나의 교육훈련 방법이다. 일부 기업들은 보다 높은 학위를 취득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기도 하며 지속가능성에 대한 전문성을 키워주는 외부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참여를 권장하기도 한다. 지속가능한 건설과 관련한 여러 대학원 교육과정, 지속가능성 관련 MBA 프로그램 등도 개설되어 있다.
-제 3장 ‘지속가능성 관련 정책 및 프로그램’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