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88975814181
· 쪽수 : 473쪽
· 출판일 : 2011-04-22
책 소개
목차
제1편 지구환경변화와 저탄소 녹색성장
제1장 저탄소 녹색성장사회의 이해
제2장 지구환경의 변화
제3장 기후변화와 지구온난화
제2편 지구온난화와 국제사회의 협력과 대응
제1장 지구온난화와 국제협약
제2장 지구온난화와 주요국가의 대응
제3장 지구온난화와 한국의 대응
제3편 저탄소 녹색산업의 성장과 관리
제1장 녹색산업
제2장 녹색기술
제3장 녹색농업
제4장 녹색식품
제5장 녹색관광
제4편 저탄소 녹색공간의 체계적 관리
제1장 녹색국토
제2장 녹색도시
제3장 녹색건축
제4장 녹색농촌
제5편 순환형 자원시스템의 구축
제1장 수자원
제2장 녹색산림
제3장 청정해양
제4장 녹색에너지
제5장 도시광산
제6편 녹색인프라의 구축과 관리
제1장 녹색교통
제2장 녹색산업단지
제3장 생태하천
제4장 녹색정보
제7편 저탄소 녹색생활의 사회적 실천
제1장 녹색기업
제2장 녹색생활
제3장 녹색NGO
제4장 녹색거버넌스
제5장 녹색교육
저자소개
책속에서
그간 선진국들은 고탄소 이용의 자원효율성 성장국가들로 녹색성장은 전 세계적으로 아직 실현된 적이 없는 성장모델입니다. 따라서 녹색성장은 위기를 도약의 기회로 전환하는 새로운 발전 패러다임을 의미합니다. 이와 같은 세계적?국가적 차원의 저탄소 녹색성장 패러다임의 변화는 우리사회의 전분야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으로 예상되고, 국가?지역 차원에서 이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능동적으로 국가?지역발전의 새로운 기제로 활용해야 할 것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녹색성장에 대한 이론적 체계화와 분야별 녹색성장 전략 및 프로그램의 개발과 이해, 그리고 이를 실천할 수 있는 경제주체들의 역할을 정립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