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정치외교학 > 한국정치학
· ISBN : 9788975818172
· 쪽수 : 326쪽
· 출판일 : 2020-07-1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책의 개관
제1편 노동정치 및 사회협약 이론
제1장 노동정치와 이익매개에 관한 제 이론
제2장 다원주의, 조합주의, 그리고 사회협약
제3장 새로운 형태의 조합주의: 메조 조합주의
제2편 권위주의체제 하의 노동정치와 사회협약
제4장 노동단체에 대한 국가개입 방식의 변화
제5장 권위주의체제 하의 노동정치와 이원적 노동통제: 1961∼87년
제6장 사회집단의 지도부선출과 국가개입: 한국노총과 전경련
제7장 노동단체의 이익투입방식의 변화
제3편 민주화 이후의 노동정치와 사회협약
제8장 민주화 이행기의 과도기적 사회협약
제9장 경제위기와 사회협약
제10장 민주화 이후 사회협약 실험의 비교·평가
제11장 서구 선진국의 사회협약 사례: 스웨덴의 경우
제12장 불신과 대립으로부터 신뢰와 연대의 노동정치로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 책은 우리나라에서 사회협약을 구축하기 위해 그동안 행한 시도들을 연대순으로 검토하고, 이러한 노력들이 왜 실패하였는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스웨덴모델을 중심으로 서구의 사회협약 구축사례를 소개하였다. 이러한 실증분석을 토대로 우리나라에서 사회협약을 성공적으로 구축하기 위한 방안을 제언하였다.
이 책을 통하여 환경적 맥락, 구조적 제약, 행위자들의 이해관계, 행위규칙, 전략 등 사회협약 구축과정에 개입하는 다양한 변인들을 파악할 수 있으며, 이는 우리나라 노동정치의 역동성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지식을 제공해 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