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지식정보사회와 디지털 콘텐츠

지식정보사회와 디지털 콘텐츠

이명규 (지은이)
전남대학교출판부
1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5,300원 -10% 0원
850원
14,4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개 7,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지식정보사회와 디지털 콘텐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지식정보사회와 디지털 콘텐츠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학
· ISBN : 9788975984440
· 쪽수 : 450쪽
· 출판일 : 2004-02-25

목차

제1부 지식정보의 개념과 정보사회
제1장 지식정보의 개념과 이해 3
1.1 지식정보의 배경 3
1.2 정보와 지식 4
1.2.1 데이터 4
1.2.2 정보 4
1.2.3 지식 5
1.2.4 지식과 정보의 차이 8
1.2.5 디지털지식 10
1.2.6 정보처리 및 가공과정 11
1.3 정보의 특성, 가치와 분류 12
1.3.1 정보의 특성 12
1.3.2 정보의 가치 15
1.3.3 정보의 분류 18
1.4 지식의 종류, 속성과 특징 24
1.4.1 지식의 종류 24
1.4.2 지식의 속성과 특징 25
1.5 지식의 분류 27
1.5.1 일반적인 분류 28
1.5.2 논리적인 분류 : 사물지(事物知), 사실지(事實知), 방법지(方法知) 28
1.5.3 폴라니와 이쿠지로의 분류 : 암묵지(暗默知), 형식지(形式知) 29
1.5.4 생산자와 소비자의 측면에서 분류 : 시장지, 조직지, 제품지 32
1.5.5 지식자산의 분류 : 지식자산, 지식자본, 지적자본 32
1.5.6 지적자산의 측정과 관리 34
제2장 정보사회의 기원과 성격 43
2.1 담론 43
2.2 기술결정론과 사회적 구성론 44
2.2.1 기술결정론 44
2.2.2 사회문화 결정론 45
2.2.3 사회적 구성론 46
2.2.4 정보사회 시나리오에 대한 평가 48
2.3 마이크로코즘과 지식사회론 49
2.4 제어혁명론과 사회적 테일러리즘 53
2.4.1 베니저의 제어혁명론 53
2.4.2 제어혁명과 사회적 테일러리즘 54
제3장 지식정보사회의 발전과 특징 58
3.1 담론 58
3.2 지식정보사회의 개념 58
3.3 지식정보사회의 발전과 자원활용 60
3.3.1 원시사회(原始社會)의 발전과 자원활용 60
3.3.2 농업사회(農業社會)의 발전과 자원활용 60
3.3.3 공업사회(工業社會)의 발전과 자원활용 61
3.3.4 지식정보사회 발전과 자원활용 63
3.4 지식정보사회의 특징 70
3.4.1 생활기반의 변화와 사이버티즌 70
3.4.2 완전지식정보의 시대 71
3.4.3 통신네트워크와 전자제품의 융합 71
3.4.4 지식정보사회에서의 생산자와 소비자의 변화 72
3.4.5 지식정보사회에서의 경제적인 변화 73
3.5 지식정보사회에서의 역기능 74
3.5.1 정보통신기술의 특징 74
3.5.2 정보통신기술의 역기능 - 정보화 교육측면 75
3.5.3 정보통신기술의 역기능 - 정보통신 윤리측면 78
3.5.4 정보통신 윤리와 예절 81
제4장 정보커뮤니케이션의 이론과 실제 87
4.1 담론 87
4.2 정보커뮤니케이션의 정의 87
4.3 커뮤니케이션학과 문헌정보학 88
4.3.1 도서관과 커뮤니케이션 88
4.3.2 커뮤니케이션학과 문헌정보학 88
4.4 정보커뮤니케이션의 과정 89
4.4.1 정보커뮤니케이션의 의미전달 89
4.4.2 커뮤니케이터 및 소스 91
4.4.3 메시지 91
4.4.4 매체 92
4.4.5 수용자 92
4.4.6 효과 93
4.4.7 커뮤니케이션 상황 93
4.4.8 피드백 93
4.4.9 통신과정과 커뮤니케이션모형 93
4.5 인간커뮤니케이션/대인(對人) 커뮤니케이션 이론 95
4.5.1 대인 커뮤니케이션의 정의와 특성 95
4.5.2 대인 커뮤니케이션의 연구동향 95
4.5.3 대인 커뮤니케이션의 모형 96
4.5.4 대인 커뮤니케이션의 장애요인(障碍要因) 97
4.6. 언어적 커뮤니케이션 98
4.6.1 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의 특성 98
4.6.2 정보조사제공있어서 언어적 커뮤니케이션 98
4.7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99
4.7.1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의 정의 및 특성 99
4.7.2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의 모형 100
4.7.3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의 해석과 적용 101
4.8 정보사서를 위한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기법의 응용 101
4.8.1 자세 101
4.8.2 몸짓 102
4.8.3 얼굴표정 102
4.8.4 공간적 행위 102
4.8.5 가공적 행위 103
제5장 정보학과 계량정보학의 발전과 응용 105
5.1 담론 105
5.2 정보학의 발생, 정의 그리고 영역 105
5.2.1 정보학의 발생 105
5.2.2 정보학의 정의 106
5.2.3 정보학의 영역 107
5.3 학문적 특성-현대적의미 108
5.3.1 정보학의 기본적 구조 108
5.3.2 지식의 역할 변화 109
5.3.3 정보는 활동을 위한 지식 110
5.3.4 새로운/후기 현대과학으로서의 정보학 111
5.4 계량정보학의 정의와 발전 112
5.4.1 계량정보학의 정의 112
5.4.2 계량정보학의 발전과정 113
5.5 계량정보학의 영역과 연구경향 114
5.6 계량정보학의 응용과 실제 116
5.6.1 도서대출과 폐기 116
5.6.2 정보의 수명측정 116
5.6.3 인용분석 117
5.6.4 계량정보모형 119
5.6.5 기타 121
제2부 정보기술과 디지털콘텐츠
제6장 정보기술의 발전과 영향 129
6.1 담론 129
6.2 정보기술의 정의와 분류 129
6.2.1 정보기술의 정의 129
6.2.2 정보기술의 분류 130
6.3 정보기술의 발전과 영향 138
6.3.1 정보기술 변화의 주요방향 139
6.3.2 정보기술 변화의 특징 145
6.3.3 정보기술 변화 시사점의 활용 147
제7장 정보시스템의 기반기술 150
7.1 컴퓨터의 정의와 기술 150
7.1.1 컴퓨터의 정의 150
7.1.2 컴퓨터의 구조(하드웨어 측면에서) 150
7.1.3 소프트웨어 구성 150
7.1.4 컴퓨터의 기술의 발전 151
7.2 데이터 통신 157
7.3 데이터 파일 종류와 압축 163
7.3.1 데이터파일의 정의 163
7.3.2 데이터 압축의 정의 163
7.3.3 데이터 프로그램 종류 163
7.3.4 데이터 파일 종류 163
제8장 지식정보콘텐츠 기반 데이터베이스 164
8.1 전통적인 데이터처리방식 164
8.1.1 파일의 개념과 속성 164
8.1.2 파일처리방식 166
8.1.3 전통적인 파일처리방식의 문제점 166
8.2 데이터베이스 167
8.2.1 데이터베이스 개념 167
8.2.2 데이터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구성요건 168
8.2.3 데이터베이스의 특징 169
8.3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의 개념과 구성요소 170
8.3.1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의 개념 170
8.3.2 DBMS의 구성요소 172
8.3.3 DBMS의 요구사항 177
8.3.4 DBMS 선정시 고려사항 177
8.3.5 DBMS 기능 178
8.4 DB 구조 178
8.5 DB 설계 180
8.6 최근 데이터베이스 경향 185
8.6.1 분산 데이터베이스 185
8.6.2 객체지향 데이터베이스 186
8.6.3 객체관계 데이터베이스 187
8.6.4 이미지 데이터베이스 187
8.6.5 하이퍼텍스트 및 하이퍼미디어 데이터베이스 188
8.6.6 데이터 웨어하우징 189
8.6.7 데이터 마이닝 189
8.9 데이터베이스 관리 190
8.9.1 정보정책 190
8.9.2 데이터베이스 관리자 190
제9장 정보통신과 네트워크 191
9.1 LAN 191
9.2 WAN 194
9.3 MAN 194
9.4 최신 정보통신 활용 이유 194
9.5 최신 정보통신기술의 상호관계 194
9.5.1 동기식 광통신망 194
9.5.2 초고속정보통신망 196
9.6 클라이언트/서버시스템 203
9.7 통신 프로토콜 205
9.7.1 통신프로토콜의 정의와 중요성 205
9.7.2 통신 프로토콜의 유형 205
9.7.3 디지털 도서관에서 응용되고 있는 통신 프로토콜 205
9.7.4 X.25 프로토콜 206
9.7.5 OSI 참조모형의 구조와 기능 206
9.7.6 Z39.50 207
제10장 웹기반 정보기술과 활용 210
10.1 인터넷 210
10.1.1 인터넷의 개념과 특징 210
10.1.2 인터넷 서비스 특징과 종류 212
10.1.3 인터넷의 역사적 발전과 현황 213
10.1.4 인터넷의 작동원리 220
10.1.5 인터넷 접속방법 222
10.1.6 전자도서관에서 인터넷 서비스 응용 225
10.1.7 차세대 인터넷 225
10.2 인트라넷 235
10.2.1 인트라넷의 개념 및 출현배경 235
10.2.2 인트라넷의 구성요소와 기술 236
10.2.3 인트라넷의 장점과 성장성 237
10.2.4 인트라넷의 활용방안 및 사례 238
10.2.5 시장동향 241
10.2.6 인트라넷의 문제점 및 발전방향 242
10.3 엑스트라넷(Extranet) 244
10.3.1 엑스트라넷의 정의 244
10.3.2 엑스트라넷의 개념도와 기본구조 244
10.3.3 엑스트라넷의 장점 245
10.3.4 인터넷, 인트라넷, 엑스트라넷의 내용과 구조비교 246
10.3.5 엑스트라넷의 종류 247
10.3.6 엑스트라넷의 특징과 활용 247
제11장 웹기반 디지털 콘텐츠 기술 250
11.1 전자문서의 유형과 형식 250
11.2 인터넷 전자문서의 필수조건 250
11.3 텍스트 형식 250
11.4 이미지 형식 270
11.5 멀티미디어 형식 271
11.6 대화형 이미지 272
제3부 디지털콘텐츠와 지식관리
제12장 디지털콘텐츠 프레임워크와 지식콘텐츠 289
12.1 담론 289
12.2 디지털콘텐츠와 지식관리 290
12.3 디지털시대의 콘텐츠 변화와 산업 292
12.3.1 디지털화에 따른 사회변화 292
12.3.2 콘텐츠의 변화와 특징 293
12.3.3 디지털콘텐츠의 분류와 산업현황 295
12.4 지식관리의 중요성 300
12.5 디지털콘텐츠 프레임워크 301
12.5.1 웹 기반 콘텐츠관리 301
12.5.2 디지털콘텐츠 식별체계와 표준화 302
12.5.3 디지털콘텐츠 보호와 유통에 대한 기술적 인프라 구축 303
12.6 지식콘텐츠 모델과 지식관리지수 308
12.6.1 혁신과 확산 308
12.6.2 지식콘텐츠 의사결정과 단계적 모델 308
12.6.3 지식관리 매트릭스와 지식관리지수(KMI) 310
제13장 지식정보공유와 콘텐츠관리 316
13.1 담론 316
13.2 지식의 종류와 관리 317
13.2.1 지식의 종류 317
13.2.2 지식관리 319
13.3 지식정보콘텐츠관리와 스펙트럼 319
13.3.1 지식정보콘텐츠 319
13.3.2 지식정보 패러다임 변화 320
13.3.3 지식정보자원 스펙트럼 321
13.3.4 지식정보콘텐츠관리 321
13.4 지식정보관리방법과 유형(시스템 중심, 사람중심) 322
13.4.1 지식관리방법 322
13.4.2 지식관리유형 323
13.5 지식창조프로세스 SECI 325
13.5.1 공동화 과정 327
13.5.2 표출화 과정 327
13.5.3 연결화 과정 327
13.5.4 내면화 과정 328
13.6 실증사례 328
13.6.1 실증사례 - 지식정보콘텐츠관리 328
13.6.2 실증사례 - 지식관리 344
제14장 지식경영과 도서관 355
14.1 담론 355
14.2 공공도서관 패러다임과 지식경영 356
14.2.1 패러다임 356
14.2.2 문화와 조직 357
14.2.3 현황과 문제 360
14.2.4 지식경영 도입 363
14.3 지식경영 프레임워크 기반 지식경영모형 365
14.3.1 경영전략 365
14.3.2 인적자원 368
14.3.3 프로세싱 370
14.3.4 네트워크 377
14.3.5 통합형 지식경영모형 378
제15장 지식창조프로세스 기반 독서콘텐츠관리 383
15.1 담론 383
15.2 이론적 연구 384
15.2.1 독서의 개념과 목적 384
15.2.2 콘텐츠와 독서 385
15.2.3 독서의 방법과 유형 385
15.2.4 지식창조프로세스와 독서학습과정 389
15.3 독서콘텐츠지도(독서학습활동) 현황과 방법의 문제 392
15.3.1 독서지도자의 자질 392
15.3.2 책읽기와 도서선정 393
15.3.3 독서결과 중시 393
15.3.4 독서공간 394
15.3.5 독서자원 영역 395
15.3.6 독서방법과 철학 395
15.3.7 독서평가 396
15.4 지식창조프로세스 기반 독서콘텐츠관리 396
15.4.1 사회화형 독서콘텐츠 397
15.4.2 표출화형 독서콘텐츠 399
15.4.3 연결화형 독서콘텐츠 401
15.4.4 내면화형 독서콘텐츠 402
제16장 디지털도서관과 콘텐츠, 지적재산권 405
16.1 담론 405
16.2 디지털도서관과 디지털콘텐츠, 지적재산권의 개념 407
16.2.1 디지털도서관 407
16.2.2 디지털콘텐츠 408
16.2.3 지적재산권 409
16.3 디지털환경과 저작권 410
16.3.1 디지털도서관과 데이터베이스 410
16.3.2 도서관의 공공성과 저작권법 412
16.3.3 저작물의 디지털화 413
16.4 디지털도서관의 법적 문제점 420
16.5 저작권법과 디지털콘텐츠 유통과 보호 422
16.5.1 데이터베이스와 저작물 422
16.5.2 데이터베이스 저작물의 보호범위와 권리침해행위 423
16.5.3 디지털콘텐츠 유통과 보호 426
16.6 저작권법과 디지털콘텐츠 창작성 문제 430
16.6.1 디지털도서관과 저작권문제 430
16.6.2 현행법과 디지털콘텐츠의 창작성 430
16.6.3 디지털 형식의 저작물의 이용 431

저자소개

이명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지식정보사회와 디지털 콘텐츠>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