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간호학 > 간호학 일반
· ISBN : 9788975986673
· 쪽수 : 393쪽
· 출판일 : 2008-01-30
목차
역자서문
축 사
머 리 말
CONTRIBUTORS
감사의 말
서 문
1부 연구 배경과 맥락을 설정하기(SETTING THE CONTEXT)
제1장 인간 건강 경험의 돌봄역자서문
축사
머리말
contributors
감사의 말
서문
1부 연구 배경과 맥락을 설정하기
제1장 인간 건강 경험의 돌봄(Caring in the Human Health Experience)
제2장 의식 확장으로서의 건강:연구 분야에서 얻어지는 지식들
(Health as Expanding Consciousness:Knowledge in the Discipline)
제3장 의식 확장으로서의 뉴만 건강 이론과 윤리 및 돌봄의 접목
(Linking Newman's Theory of HEC to Ethics and Caring)
2부 돌봄의 프랙시스(CARING PRAXIS)
제4장 고난, 성장 그리고 가능성:임종간호 시 의식 확장으로서의 건강
(Suffering,Growth and Possibility:HEC in End-of-Lift Care)
제5장 수술 전 크리닉에서 환자와 간호사를 위한 치유 환경 창조하기
(Creating a Healing Environment for Staff and Patients in a Pre-surgery Clinic)
제6장 이론이 곧 실무임:하나의 본보기(The theory is the Practice:an Exemplar)
제7장 가족 건강에 대한 간호 프랙시스(The Nursing Praxis of Family Health)
제8장 패턴인지과정을 공동체들과 함께 하기
(Engaging with Communities in a Pattern Recognition Process)
제9장 균형 잡기:요양원 치매환자들의 리듬과 패턴
(Creating Balance:Rhythms and Patterns in People with Dementia Living in a Nursing Home)
제10장 임상 실무에서 돌봄 환경 만들어내기:행정 및 실무적 시각
(Creating an Environment of Care in Clinical Practice:
Administrative and Practice Perspectives)
3부 실무 연구(RESEARCH AS PRAXIS)
제11장 창조적 움직임과 성찰을 보여주는 예술:참여자와 연구자를 위한 표현 양식들
(Creative Movement and Reflective Art:Modes of Expression for Participant and Researcher)
제12장 양극성 장애를 가진 사람의 부모와 패턴 인지
(Parents of Persons with Bipolar Disorder and Pattern Recognition)
제13장 행동 연구팀 만들기:간호에 대한 프랙시스 모델
(Creating Action Research Teams:a Praxis Model of Care)
제14장 다발성 경화증을 앓는 여성들의 삶의 패턴 인지하기
(Recognizing Patterns in the Lives of Women with Multiple Sclerosis)
4부 교육(EDUCATION)
제15장 미러링 과정으로서의 프랙시스:Newman의 의식
확장으로서의 건강에 기초를 둔 정신간호 교육하기
(Praxis as a Mirroring Process:Teaching Psychiatric Nursing Grounded in Newman's Health as Expanding Consciousness)
제16장 상급 실무 간호 학생들과 함께 패턴을 지각하는 방법 익히기
(Cultivating a Way to Sense Pattern with Advanced Practice Nursing Students)
제17장 박사과정 학생의 본보기:환자-간호사 양자관계의 변환
(Doctoral Student Exemplar:Transformation of the Patient-Nurse Dyad)
5부 대화와 논평(DIALOGUE AND COMMENTARY)
제18장 수렴과 발산:간호 이론가들과의 대화:Newman,Watson, 그리고 Roy
(Dialogue of Nurse Theorists:Newman,Watson,and Roy)
제19장 뉴만 학파의 학자들과 에 관심을 가진 다른 사람들과의 대화
(Dialogue of Newman Scholars and Others interested in HEC)
제20장 HEC이 미친 영향:결론적인 생각과 향후 방향
(The Impact of HEC:Concluding Thoughts and Future Directions)
부 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