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임상의학 > 가정의학
· ISBN : 9788975993626
· 쪽수 : 284쪽
· 출판일 : 2010-09-06
목차
제 Ⅰ 부 가정의학
제 1 장 가정의학의 배경
1. 세분화된 현대 의료
1) 의료 체계의 효율성
2) 형평성, 접근성
3) 인간 중심의 진료
2. 일차 진료
3. 한국의 가정의학
제 2 장 가정의학 진료의 주요 특성
1. Comprehensive care
1) 포괄적인 진료범위
2) 건강문제에 대한 포괄적인 접근
2. Continuous care
1) 질병이 있을 때의 지속적 진료
2) 질병이 없을 때의 지속적 진료
3. Coordinated care
1) 의뢰의
2) 자문의
4. Gatekeeper
5. Accessibility
제 Ⅱ 부 가족 중심 진료
제 3 장 가족 기능 평가
1. 포괄적 진료와 가족 중심 진료
2. 가족을 보는 네 가지 눈
1) 가족의 구조
2) 가족의 생활 주기
3) 가족이 힘든 일을 해결하는 방식(자원)
4) 가족의 적응력과 결속력 체계
제 4 장 구조 전략적 가족 상담의 개념
1. 결합(Joining)
1) 유지(Maintenance)
2) 모방(Mimesis)
3) 추적(Tracking)
4) 코우칭(Coaching)
2. 평가(Assessment)
1) 실연(實演, Enactment)
2) 초점(Focus)
3. 재조직(Restructuring)
1) 경계(Boundary)
2) 역균형(Unbalance)
3) 상호보완(Complementarity)
4. 현실감(Reality)
1) 직설적 구성(Direct construction)
2) 역설적 구성(Paradoxical construction)
3) 혼합 구성(Alternative construction)
4) 장점(Strength)
제 5 장 우리 실정에 맞는 가족 중심 진료
1. 한국에서 가족 중심 진료가 중요한 이유
2. 가족 중심 진료의 훈련 수준
3. 가족 중심 진료의 훈련 형태
1) 일상 진료에서 가족 중심 질문 이용
2) 위험 신호기 환자에 대한 추론 및 중재
3) 가족회의
제 6 장 수련 과정에서 가족 중심 진료 훈련
1. 지도 전문의 외래 참관
2. 외래 환자 차트 Review
3. 입원 환자 가족 회의
4. Case Conference 의국 집담회
제 Ⅲ 부 의학 면담
제 7 장 일반적 의사소통
1. 의사소통 학습의 중요성
2. 의사소통의 방법
1) 언어
2) 부 언어(Para-language)
3) 신체 언어 또는 비언어(Body language)
3. 가능한 피해야 할 표현
1) 직선적 또는 폐쇄형 질문
2) ‘왜’로 시작되는 질문
3) 편견(답)이 섞인 암시적 질문
4) 예고 없이 또는 지나치게 빨리 화제 바꾸기
5) 눈 맞추지 않기
6) 되먹임 주지 않기
7) 너무 이른 충고, 안심시키기
8) 비참하게 만드는 질문
9) “당신은 나쁘군요.” 표현
10) 말꼬리 잡기
11) 불쾌함을 나타내는 비언어적 표현
12) 복수 질문
4. 바람직한 의사소통 기법
1) 개방형 질문
2) 탐구형 반응
3) 명료화 또는 해석
4) 확인(요약)
5) 감정적 반응 및 공감
6) 솔직한 표현
7) 촉진(Facilitation)
8) 긍정적인 강화
9) 침묵
10) 목록을 이용한 질문
11) 예고 후 화제 바꾸기
12) 경험 말하기
13) 추가 질문
제 8 장 의학 면담
1. 의학 면담 과정
1) 면담 시작
2) 병력 청취 및 신체 검사
3) 끝맺음
2. 의학 면담의 네 가지 기능
1) 의사-환자 관계 형성
2) 문제 평가
3) 문제 관리
4) 정신 치료
3. BATHE 면담
1) B(background: “What is going on in your life?”)
2) A(affect, feeling state: “How do you feel about that?”,“What's your mood?”)
3) T(trouble: “What about the situation troubles you the most?”)
4) H(handling: “How are you handling that?”)
5) E(empathy: “That must be very difficult for you.”)
4. 의학 면담 시 흔히 생기는 문제
1) 환자의 침묵
2) 환자가 말이 많음
3) 환자가 화를 냄
4) 환자가 눈물을 보임
5) 성적으로 매력적이거나 유혹함
제 9 장 환자 교육
1. 환자 교육의 중요성
2. 환자 교육의 원칙, 시기, 방법
1) 환자 교육 원칙
2) 환자 교육 시기
3) 환자 교육 방법
3. 순응도
1) 순응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 순응도 평가
3) 낮은 순응도의 예방 및 교정
제 10 장 노인 환자의 면담 및 진찰
1. 기초 지식
1) 노인의학 개요
2) 노인의 신체적 특성
3) 노인 질환의 임상 특성
4) 노인 학대(Elder abuse)
2. 노인 환자의 면담 및 진찰
1) 노인 면담 및 진찰의 주의점
2) 포괄적 평가(Comprehensive geriatric assessment, CGA)
제 Ⅳ 부 건강 증진
제 11 장 건강 증진 개요
1. 건강 증진의 개념 및 배경
2. 행동 변화 모델과 동기 부여 상담
3. 5A's 접근법
1) Ask(묻기)
2) Assess(평가하기)
3) Advice(조언하기)
4) Assist(처방하기)
5) Arrange(의뢰하기)
제 12 장 음주
1. 기초 지식
1) 알코올의 대사 및 약리 작용
2) 건강에 미치는 음주의 효과
2. 음주 환자에 대한 5A's 접근 상담
1) 음주 습관을 조사하여 ‘위험 음주’(과음 또는 폭음)에 해당하는지 평가한다(Ask about alcohol use)
2) 위험 음주이면 ‘알코올 사용 장애’(알코올 남용 또는 알코올 의존)의 진단 기준에 해당되는지 평가한다(Assess for alcohol usedisorders)
3) 의학적 충고 및 도움(Advise and Assist)
4) 추적 관리(At follow-up)
3. 알코올 사용 장애의 치료
1) 환자 상담
2) 가족 상담
3) 약물 치료
4) 지지망 형성
4. 음주 상담 실기 가이드
1) 음주문제 환자에 대한 접근 요약
2) 음주 상태에 따라 덧붙일 질문
3) 음주 환자 증례의 사이 시험
제 13 장 비만
1. 기초 지식
1) 체중 조절 및 증가
2) 한국인에서 비만의 기준
3) 비만과 관련된 질환 (표 13-4)
2. 비만 환자에 대한 5A's 접근 상담
1) Ask & Assess
2) Advice
3) Assist & Arrange
3. 비만의 치료
1) 식사요법
2) 신체활동(운동)
3) 인지행동치료
4) 약물치료
제 14 장 흡연
1. 기초 지식
1) 우리나라의 흡연 실태
2) 흡연의 해독
3) 간접 흡연
4) Nicotine 중독
2. 흡연 환자에 대한 5A's 접근 상담
1) Ask & Assess
2) Advice, Assist, Arrange
3. 금연의 효과
제 15 장 주요 선별 검사
1. 개요
1) 선별 검사의 의미
2) 선별 검사의 효능
3) 조기 발견의 효과
2. 암
1) 위암
2) 간암
3) 유방암
4) 대장암
5) 자궁경부암
6) 폐암
7) 식도암
8) 방광암
9) 전립샘암
10) 난소암
11) 췌장암
12) 갑상샘암
3. 심뇌혈관질환
1) 뇌졸중
2) 고혈압
3) 관상 동맥 질환
4. 바이러스 간염
1) A형 간염
2) B형 간염
3) C형 간염
5. 대사성 질환
1) 당뇨병
2) 비만
3) 이상 지질혈증
4) 골다공증
제 Ⅴ 부 일차 진료 의사의 평생 학습
제 16 장 평생 학습(life-long self-learning)의 중요성
제 17 장 학습 주제(learning issue) 해결 방법
1. 근거 중심 의학의 5단계
1) 질문 만들기
2) 문헌 검색하기
3) 근거의 타당성 평가
4) 연구 결과의 종합과 적용
5) 평가와 피드백
2. 근거 중심 의학의 응용
1) 임상 진료지침(Guideline)
2) 체계적 고찰(Systematic review)
3) 코크란 데이터베이스
3. 근거 중심 의학의 과제
부 록
1. 가족 면담 기록지
2. 의학 면담 관찰 목록
3. 의사 고시 실기 시험 채점 항목 예
충남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가정의학교실 현황
주요 연혁
의국원 현황
진료시간표
의국을 거쳐 간 교수님
전임의 배출 현황
전문의 배출 현황
세계가정의학회(WCNCA) 전공의 논문 발표 현황
찾아보기
영문 찾아보기
국문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