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전략이론이란 무엇인가

전략이론이란 무엇인가

(<손자병법>과 <전쟁론>을 중심으로, 개정보완판)

이종학 (지은이)
충남대학교출판부(CNU Press)
1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6,000원 -0% 0원
800원
15,2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전략이론이란 무엇인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전략이론이란 무엇인가 (<손자병법>과 <전쟁론>을 중심으로, 개정보완판)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군사학
· ISBN : 9788975994227
· 쪽수 : 376쪽
· 출판일 : 2012-02-10

책 소개

전략이론이란 무엇인가를 밝히면서, 원래 군사분야의 용어가 1960년대 이후 경영분야에도 활용되어 왔다는 것을 알아야 하고 군사전략뿐만 아니라, 국가전략 및 핵전략의 발전과정을 소개했다. 전략이론의 고전인 <손자병법>은 1972년 중국 산동성에서 <죽간 손자병법>이 나왔기에 그것을 삽입시켜 13편을 완역했다. 한편 클라우제비츠의 <전쟁론>은 초판본이 나왔고, 거기에서 내용이 너무 방대하기에 전술적 내용을 삭제한 초역을 했다.

목차

Ⅰ. 전략이론이란 무엇인가? / 1

Ⅱ. 손무孫武의 <손자병법孫子兵法> / 53
●〈해 설〉 / 53
제1장. 시 계始計 / 60
제2장. 작 전作戰 / 64
제3장. 모 공謀攻 / 67
제4장. 군 형軍形 / 70
제5장. 병 세兵勢 / 73
제6장. 허 실虛實 / 76
제7장. 군 쟁軍爭 / 80
제8장. 구 변九變 / 83
제9장. 행 군行軍 / 85
제10장. 지 형地形 / 90
제11장. 구 지九地 / 94
제12장. 화 공火攻 / 101
제13장. 용 간用間 / 103

Ⅲ. 클라우제비츠의 <전쟁론戰爭論> / 107
●〈해 설〉 / 107
?? 著者의 두 가지 手記 / 114
?? 著者의 序文 / 120
제1편. 전쟁의 본질에 대하여 / 122
제2편. 전쟁이론에 대하여 / 175
제3편. 전략일반戰略一般에 대하여 / 188
제4편. 전투 / 200
제5편. 전투력 / 203
제6편. 방어 / 204
제7편. 공격 / 226
제8편. 전쟁계획 / 241

Ⅳ. 조미니의 <전쟁술戰爭術> / 322
●〈해 설〉 / 322
● 전쟁술의 정의定義 / 326
1. 전쟁과 관련한 정치적 수완 / 327
2. 군사정책(Military Policy) / 335
3. 전략(Strategy) / 339

저자소개

이종학 (지은이)    정보 더보기
・ 공군사관학교(3기, 1954) 및 공군대학 졸업(1970) ・ 미국 공군통신학교 통신장교과정 수료(1958) ・ 경희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졸업(1969) ・ 충남대학교 명예 군사학 박사(2003) ・ 공군사관학교 교수부 군사학과장 ・ 공군대학 교수부 제2・3처장 ・ 국방대학원 교수 및 교수부 제3학처장 ・ 충남대학교 겸임교수 및 특임교수(2003-2018) ・ 한국군사사학회 창설(1976) 및 초대 회장 ・ 현재:서라벌군사연구소장 공군사관학교 명예교수
펼치기

책속에서

옛날부터 전략이론이란 어떻게 전쟁을 해서 승리할 것인가와 전쟁이란 무엇인가를 주제로 다루어왔다. 알렉산더 대왕, 시저, 칭기스칸, 나폴레옹 등 위대했던 장수들은 성공적인 전쟁 수행 방식에 대해 명확한 개념을 마음 속에 확실히 간직하고 있었을 것이나, 유감스럽게도 그러한 개념들은 개인적인 결론의 범위를 넘지 못했고 기록으로 거의 남기지 않았다.
필자가 규명하고자 하는 전략이론이란, 위대한 장수들의 성공적인 전쟁 수행 방식에 대한 지식의 축적이 먼저 필요하고, 다음에 그것을 학제적 연구방법(interdisciplinary approach)으로 분석·평가하여 지식의 개념적 체계의 형성을 달성함으로써 이루어지리라. 그리고 이 글에서는 전략이론, 전쟁이론, 군사이론은 동의어同義語로 간주한다는 것을 미리 밝혀 둔다. 그리하여 전략과 전략이론이란 무엇인가를 주로 <손자병법>(513 B. C.?)과 클라우제비츠의 <전쟁론>(1832)에 바탕을 두고 규명하며, 그것의 발전과정을 개관하고, 앞으로 우리가 당면할 과제에 대해 어떻게 대응해야 할 것인가를 밝혀보고자 한다.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