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사/교육철학
· ISBN : 9788975994616
· 쪽수 : 388쪽
· 출판일 : 2013-01-25
목차
제1부 조선 전기의 교육
제1장 고려 말 성리학의 수용과 조선 초의 영향
1.서론
2.충렬왕 시기 학교교육 상황과 개혁정책의 기조
1)학교교육 상황
2)고려 중기의 관학 진흥 정책
3.고려 말 학교제도의 변화
1)변화의 조짐
2)성리학적 학교제도의 구축
3)성리학적 학교제도의 확대
4.고려 말 성리학의 성격과 조선 초의 영향
1)공민왕 이전의 성리학
2)공민왕 이후의 성리학과 조선 초의 영향
5. 결론
제2장 조선 전기 도회의 성격
1.서론
2.도회의 제도화 과정
1)기원과 복설
2)도회 제도의 운영
3.도회의 제도적 성격
1)교육제도 상의 위치
2)도회의 양면성
4.결론
제3장 유학교에서의 소학의 위상
1.서론
2.‘사’의 학습으로서의 소학
3.‘사’의 학습의 이면
4. 결론
제4장 『성학십도』의 교육학적 조명
1.서론
2.『성학십도』의 구조
1)『성학십도』의 이중적 구조
2)제1구조: 上五- 下五의 構造
3)제2구조: 上二-小學 大學-下六의 構造
3.『성학십도』의 교육학적 구조
1)小學 大學
2)上二
3)下六 4.결론
제5장 고붕 기대승의 학습생애사
1.서론
2.학습단계의 구분
3.학습생애사
1)기초학습단계
2)소과준비단계
3)대과준비단계
4.결론
제6장 16-17세기 충남지역 교육권역의 변화
1.서론
2.15-16세기 전반 충남지역의 교육권역
1)충남지역의 향교 설립 상황
2)충남지역의 교육상황
3.16세기 후반-17세기 서원설립과 교육권역의 변화
1)16세기 후반 충남지역의 서원 설립
2)17세기 충남지역 교육권역의 변화
4.결론
제2부 조선 후기의 교육
제7장 17세기 지방교육 정책
1.서론
2.17세기 교육정책의 기본 방향
1)교육정책의 기본 틀 수립
2)정책이념 논란
3.향교진흥정책
1)교관제도의 정비
2)공도회의 복설 및 강화
4.결론
제8장 17세기 공도회의 운영과 성격
1.서론
2.공도회의 운영
1)공도회의 복설
2)공도회 운영 방식
3)사학합제와 공도회
3.공도회의 성격변화
1)비정기적 권한책
2)사실상의 소과 초시
4.결론
제9장 반계 유형원의 교육개혁론
1.서론
2.교육개혁안
1)교육개혁안의 모델
2)교육에 대한 관점
3)교육개혁의 원칙
3.실행전략
1)반계수록의 저술 동기
2)단계적 접근
3)반발에 대한 대응
4.결론
제10장 반계 유형원의 교육사관
1.서론
2.「교선교설」의 체제
1)평성체제
2)편성체제의 재해석
3.시기 구분과 기술
1)한대
2)위 진 시대
3)수 당 이후
4.제도변화에 대한 설명
5.결론
제11장 조선 후기의 청금록
1.서론
2.청금록의 용례
1)성균관 사학과 청금록
2)향교 서원과 청금록
3.조선 후기 향교의 청금록에 대한 또 다른 해석
1)기존 해석에 대한 분석
2)향교교육정상화정책에 비추어 본 해석
4.결론
제12장 한국교육의 근대화 과정
1.서론
2.근대교육 정초기(1880-1905)
1)역사적 상황: 부국강병의 과제와 대응
2)교육정책의 전개
3)교육의 실제
3.식민지형근대교육 수립기(1905-1945)
1)역사적 상황: 자주독립의 과제와 대응
2)교육정책의 전개
3)교육의 실제
4.민주적 교육제도 기반 구축기(1945-1948)
1)역사적 상황:건국-통일의 과제와 대응
2)교육정책의 전개
3)교육의 실제
5.결론
저자소개
책속에서
퇴계는 <소학도>와 <대학도>를 몸통으로 제시한 후에, 나머지 8개 도설을 이와 연결시켜 읽어야 한다고 말한다. 이 가운데 , <태극도>와 <서명도>는 그 머리에 해당되는 부분으로서, 앞에서 살펴 본 두설의 표준이자 본원이 되는 부분이라고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