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조선 후기 교육사 탐구

조선 후기 교육사 탐구

최광만 (지은이)
충남대학교출판문화원
1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000원 -0% 0원
950원
18,050원 >
17,100원 -10% 0원
0원
17,1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3개 12,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조선 후기 교육사 탐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조선 후기 교육사 탐구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후기(영조~순종)
· ISBN : 9788975996153
· 쪽수 : 508쪽
· 출판일 : 2017-01-25

책 소개

조선 후기는 전통교육이 근현대교육으로 이행하는 전환기이다. 조선 후기의 교육은 비단 특정 시기에 대해 느끼는 호기심의 대상으로서만이 아니라, 근현대 한국의 교육을 이해하려 할 때 관건이 되는 대상으로서도 중요성을 갖는다.

목차

서 장 19

|제1부|학 교

|제1장| 조선 후기 성균관의 학사운영
Ⅰ. 서론 33
Ⅱ. 「태학성전」의 구성과 학사운영규정 36
1. 「태학성전」의 구성 36
2. 학사운영 관련규정 37
Ⅲ. 교관과 유생 39
1. 교관 39
2. 유생 44
Ⅳ. 학사운영 47
1. 일상적 강학 47
2. 과시 52
3. 이수방식과 공정성 64
Ⅴ. 결론 68

|제2장|「태학성전」의 작성 경위와 가치
Ⅰ. 서론 73
Ⅱ. 18세기 전반 관변기록에 비추어 본 「태학성전」 76
1. 「태학성전」에 관한 관변기록 76
2. 관변기록과 현존 「태학성전」의 비교 78
Ⅲ. 「태학성전」의 작성 경위 85
1. 작성자 및 작성 시기 85
2. 「태학성전」 작성의 직접적인 계기 86
3. 「태학성전」 작성의 또 다른 이유: 과시 중심의 교육정책 95
Ⅳ. 결론 102

|제3장|조선 후기 향교의 기능
Ⅰ. 서론 107
Ⅱ. 「학교등록」의 체제 110
1. 대상기간 110
2. 작성방식 112
Ⅲ. 「학교등록」의 통계분석 113
1. 통계분석방식 113
2. 기본정보 115
3. 통계분석결과 121
Ⅳ. 결론 157

|제4장|유수원의 교육개혁론
Ⅰ. 서론 163
Ⅱ. 교육개혁론의 내용 166
1. 문제의식 166
2. 교육개혁 방안 170
Ⅲ. 교육개혁론의 성격 179
1. 국가교육체제의 강화 179
2. 명제도의 벤치마킹 183
3. 과거제도의 중시 189
4. 불완전한 개혁안 191
Ⅳ. 결론 194

|제5장| 조선 후기 과시의 강화와 의미
Ⅰ. 서론 199
Ⅱ. 과시의 재구조화 201
1. 조선 후기 교육의 몇 가지 조짐 201
2. 과시의 재구조화 과정 209
Ⅲ. 과시의 법제화 216
1. 「태학성전」과 과시규정의 명문화 216
2. 「속대전」과 과시의 법제화 223
Ⅳ. 결론 232

|제6장| 조선 후기 방외유생
Ⅰ. 서론 237
Ⅱ. 방외유생과 외방유생 240
1. 조선 전기의 사례 240
2. 조선 후기의 사례 246
Ⅲ. 방외유생과 성균관 248
1. 「태학성전」의 방외유생 규정 248
2. 방외유생의 성균관에서의 또 다른 활동 사례 250
Ⅳ. 방외유생과 재경유생 256
1. 재경유생 256
2. 방외유생 상소 262
Ⅴ. 결론 267

|제2부|학 습

|제7장| 창계 임영의 학습생애사
Ⅰ. 서론 273
Ⅱ. 유소년기(출생-17세) 276
1. 학습의 진행과정 276
2. 유소년기 학습의 성격: 위기지학의 기반 마련 281
Ⅲ. 청년기(18-31세) 286
1. 학습의 진행과정 286
2. 청년기 학습의 성격: 본격적인 위기지학 294
Ⅳ. 중장년기(32-48세) 302
1. 학습의 진행과정 302
2. 중장년기 학습의 성격: 위기지학의 확대 305
Ⅴ. 결론 309

|제8장| 종사강학: 황후간의 금양종사
Ⅰ. 서론 313
Ⅱ. 금양종사강학의 배경 316
1. 갈암학파의 등장 316
2. 위기지학과 과업공부의 분리 318
3. 지방문화 순화의 의지 323
Ⅲ. 금양종사강학의 강학과정 325
1. 강학일정 개요 325
2. 강학과정분석 328
Ⅳ. 금양종사강학의 성격 335
1. 위기지학의 입문과정 335
2. 학습자 위주의 전인격적 강학 337
3. 퇴계학의 계승 340
Ⅴ. 결론 341

|제9장| 서신강학: 윤기의 「소학문목」
Ⅰ. 서론 345
Ⅱ. 「소학문목」의 배경 348
1. 이익 문하 입문 348
2. 소과응시 351
3. 성호학당의 「소학」 연구 353
Ⅲ. 「소학문목」의 분석 356
1. 성호학당의 문목사례 356
2. 질문 분석 359
3. 답변 분석 367
Ⅵ. 「소학문목」 사례의 의미 374
1. 개인사적 의미 374
2. 강학방식으로서의 의미 377
Ⅴ. 결론 381

|제10장| 강회1: 유치명의 호계강회
Ⅰ. 서론 385
Ⅱ. 호계강회의 개황 388
1. 호계강회의 개설 배경 388
2. 강회 진행 과정 391
Ⅲ. 호계강회의 강학유형 395
1. 「호계강록」의 담론 분포 395
2. 담론 분석 398
3. 강학유형 410
Ⅳ. 호계강회의 강학정신 413
1. 대산학 계승의 사명감 413
2. 절제와 소통의 토론정신 415
3. 치열한 논변의식 420
Ⅴ. 결론 424

|제11장| 강회2: 이한응의 계재강회
Ⅰ. 서론 429
Ⅱ. 계재강회의 개황 431
1. 강회의 개설 배경 431
2. 강회의 진행 과정 433
3. 강회의 참여인원 438
Ⅲ. 「계재강의」의 담론분석 441
1. 담론분석 방법 441
2. 담론분석 442
3. 강학정신 457
Ⅳ. 결론 461

|제12장| 호계강회 사례와 서원연구
Ⅰ. 서론 465
Ⅱ. 호계강회(1856년)의 특징 468
1. 호계강회의 개요 468
2. 개설과정의 특징: 특별개설 469
3. 진행방식의 특징: 전형적인 학술토론 471
4. 개설목적의 특징: 위기지학 중심 477
Ⅲ. 호계강회의 시사점 481
1. 서원강회의 개념 재고와 유형화의 필요성 481
2. 사례 연구와 강회기록의 중요성 485
3. 강학방식에 대한 재해석 가능성 488
Ⅳ. 결론 491

참고문헌 497
색인 505

저자소개

최광만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 출생. 서울대학교와 동 대학원에서 교육사를 전공하고, 『고려시대 국자감 중심 교육체제의 형성』으로 학위를 받았다. 1999년부터 현재까지 충남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에 재직 중이다. 주요 논문에는 「조선 전기 도회의 성격」(2000), 「반계 유형원의 교육개혁론」(2004), 「17세기 공도회의 운영과 성격」(2008), 「17세기 『학교등록』 분석」(2011), 「19세기 서원 강학활동 사례 연구: 『호계강록』을 중심으로」(2012) 등이 있고, 최근에는 조선시대의 과시제도와 강학활동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 저자서문 ]
이 책은 지난 3-4년 동안 먼지 더미에 파묻혀 있던 몇 개의 파일을 끄집어내서 부분적으로 재생한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숙종 대의 성균관 규정집인 『태학성전』, 17세기 향교 관련 공문서집인 『학교등록』, 17세기 어떤 유생의 공부일기인 『일록』, 18세기 한 지방유생이 자신의 수학경험을 기록한 『종사일기』, 19세기 유생들의 세미나 기록인 『호계강록』과 『계재강의』와 같은 것들은 그 동안 우리의 무관심 속에서 곳곳에 숨어 있던 자료들이다. 필자는 이러한 자료들을 해독하면서 당시인들의 육성을 듣는 듯 했고, 그때마다 새로운 감동에 놀라워했다. 그리고 그 목소리들을 가능한 한 현대인들이 알아들을 수 있는 형태로 전환하려고 시도하게 되었다. 이러한 시도가 얼마나 성공적인지 필자는 모른다. 다만 내가 알아들은 수준에서 성실히 전하려고는 했다. 이 책을 발간하는 즈음에, 그 자료들 속에서 피어나는 예전 할아버지들의 열정과 한숨이 다시 떠오른다. 독자들도 이 글을 통해 조금이라도 그 소리들을 들을 수 있었으면 좋겠다.


최근 서당과 서원에 주목하고 과거제도를 재조명하는 시도가 연이어 이루어지고 있다. 이것은 조선 후기 교육을 보다 풍부하게 이해하는 데에 도움을 준다는 점에서 반가운 일이다. 그러나 이러한 반가움 속에서도 한 가지 아쉬움은 남는다. 조선 시대 교육제도의 중추를 이루는 관학에 관한 연구는 여전히 답보상태에 있다고 판단되기 때문이다. 사실 수많은 관한비판론과 부재론 그리고 개혁론을 접하게 되면 조선 후기 관학교육의 실태를 조명하려는 마음은 약해지기 십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관학에 관한 연구는 조선 후기 교육사 연구에서 회피하기 어려운 주제이다. 더욱이 조선의 교육정책이 관한 교육에 집중되어 있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조선 후기의 관한을 부재론의 시각에서만 단정 짓는 것은 무책임한 일이기도 하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