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군사학 입문

군사학 입문

송영필 (지은이)
충남대학교출판문화원
1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6,000원 -0% 0원
800원
15,200원 >
14,400원 -10% 2,500원
0원
16,9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3개 15,04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군사학 입문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군사학 입문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군사학
· ISBN : 9788975994944
· 쪽수 : 339쪽
· 출판일 : 2013-11-29

책 소개

'군사학 총서' 11권. 군사분야에 대한 입문서. 저자가 이 책을 발간하게 된 동기는 군인이 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군사이론에 대하여 관심을 갖게 하고, 군사이론의 기초를 제공하기 위해서이다.

목차

Chapter 1 한국 군사학 연구방향
1. 들어가는 말 16
2. 군사학의 정의 18
3. 군사학의 연구대상 및 범위 22
4. 군사학의 연구방향 25
5. 맺음말 29

Chapter 2 전 쟁
1. 전쟁의 본질
1.1. 전쟁이란 무엇인가요? 32
1.2. 전쟁은 왜 일어나나요? 44
2. 전쟁양상의 변화
2.1. 전쟁은 어떻게 변화되어 왔나요? 48
2.2. 전쟁에도 종류가 있나요? 77
3. 전쟁과 도덕
3.1. 전쟁을 막을 방법은 없나요? 81
3.2. 전쟁에도 법이 필요한가요? 85
3.3. 전쟁법을 지키지 않으면 처벌을 받나요? 88

Chapter 3 군사제도
1. 군대조직
1.1. 군대가 꼭 필요한가요? 94
1.2. 군대 편성은 어떻게 발전했나요? 98
1.3. 육·해·공군, 해병대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102
1.4. 병과는 어떻게 발전되어 왔나요? 111
1.5. 우리 군(軍)조직은 어떻게 편성되어 있나요? 116
2. 군사제도
2.1. 시대별 군사제도는 어떻게 발달되어 왔나요? 119
2.2. 참모제도가 무엇이며 왜 필요한가요? 122
2.3. 병역제도와 동원제도는 왜 생겨났나요? 127
2.4. 전쟁이 나면 그 많은 부대를 어떻게 통제하나요? 134

Chapter 4 군사력 건설
1. 군사력 건설 기본개념
1.1. 전쟁준비는 왜 하나요? 140
1.2. 전쟁준비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146
1.3. 국방기획관리체계란 무엇인가요? 150
1.4. 전투발전체계란 무엇인가요? 155
2. 전투발전 7대 분야
2.1. 교리 162
2.2. 구조 및 편성 167
2.3. 무기·장비·물자 172
2.4. 교육훈련 176
2.5. 인적자원 181
2.6. 시설 186
2.7. 간부계발 191

Chapter 5 군사력 운용
1. 용병술
1.1. 전쟁에 승리하기 위한 체계적인 방법(용병술)이 있나요? 198
1.2. 용병술은 어떻게 만들어졌나요? 200
1.3. 용병술 상호간에는 어떠한 관계(용병술체계)가 있나요? 204
1.4. 우리나라는 용병술을 어떻게 적용하고 있나요? 207
2. 군사전략
2.1. 군사전략이란 무엇인가요? 210
2.2. 군사전략의 종류는 무엇이 있나요? 215
2.3. 우리나라의 군사전략은 무엇인가요? 222
3. 작전술
3.1. 작전술이란 무엇인가? 225
3.2. 작전술의 필요성과 역할은 무엇인가요? 228
3.3. 우리나라는 작전술을 어떻게 적용하고 있나요? 231
4. 전 술
4.1. 전술이란 무엇인가요? 233
4.2. 전술도 진화를 하나요? 236
4.3. 방어전술은 무엇인가요? 239
4.4. 공격전술은 무엇인가요? 242

Chapter 6 전투수행
1. 전술의 본질
1.1. 전술이 과학과 예술이라구요? 248
1.2. 전투를 성립시키는 요소가 있나요? 250
1.3. 전투에 적용되는 원리가 있나요? 256
1.4. 전투는 어떤 특성이 있나요? 266
2. 전투수행방법
2.1. 전투수행방법이 무엇인가요? 271
2.2. 대표적인 전투수행방법은 무엇이 있나요? 274
2.3 우리군의 대표적인 전투수행방법은 무엇인가요? 297
3. 전투수행절차
3.1. 전투수행절차란 무엇인가요? 305
3.2. 전투는 어떻게 수행되나요? 308
3.3. 전술제대의 역할은 무엇인가요? 313
3.4. 지휘관과 참모의 역할은 무엇인가요? 317

참고문헌 326
찾아보기 329

저자소개

송영필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9년 경기 포천 출생. 1982년 육군사관학교를 졸업(38기) 후 수색대대, 특공연대, 특전사 등 주로 특수전 부대에서 22년간 근무하였으며, 또한 육군대학에서 교관/교수부장/총(학)장과 전투지휘훈련단장 등 주로 군사학을 교육하는 학교기관에서 10년간 근무하였다. 2007년 아프간 탈레반의 한국인 목사 등 인질 피납시 구출 작전 지휘관으로 파병. 전역 후에는 대덕대학교 교수로 10년간 재직하면서 군사학부장, 교무처장, 부총장을 역임. 현재는 합동군사대학교 명예교수, 군사문제연구원 군사연구위원(비상임), 한국자유총연맹 전문교수(비상임)로 활동. 저서로는 《보병연대》, 《보병사단》등 군사 야전교범 다수와 《군사학 입문》, 《전술과 전쟁》, 《디지털 전장 리더십》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우리나라의 군사학 연구는 그 역사도 일천하거니와 연구 성과도 아직은 초보 수준에 머물러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렇게 보는 첫 번째 이유는 군사학이 학문으로써의 독립성을 확보하지 못했다는 점 때문이다. 군사학의 연구대상, 범위, 이론체계 등이 타학문과 차별화되어야 하지만 현재는 많은 분야에서 정치학, 역사학 등 타 학문과 중복되고 있다. 둘째는 군사학 연구자들의 연구분야가 극히 특정분야에 편중되어 있기 때문이다. 군사학은 크게 보아 전쟁의 본질과 성격, 전쟁에서 승리하는 방법, 전쟁을 준비하는 것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군사학 연구는 대부분 전쟁의 본질과 성격 규명에 치우쳐 있는 경향이 있다. 셋째는 군사학 연구가 과거에 치우쳐 현실을 등한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학문으로써 과거의 사례를 기초로 한 이론의 개발과 발전도 중요하지만 그 이론을 기초로 현실을 분석하여 비판하기도 하고 대안도 제시하여야 한다. 즉, 군사학이 현재와 예상되는 미래의 군사문제에 있어서 발전적인 대안을 제시하여 국가와 군 발전에 기여할 수 있어야 하는데, 작금의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