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소설론
· ISBN : 9788976267986
· 쪽수 : 264쪽
· 출판일 : 2002-09-10
목차
머리말
제1부 작품론
개화기 소설 <話中話>의 형식적 특징과 그 의미
1. 들어가는 말
2. 額子小說의 本質과 韓國的 敍事 傳統
3. 액자소설 <話中話>의 구조
4. 開化期 額子小說의 小說史的 意義
5. 맺는 말
<思想의 月夜>와 자전적 소설의 의미?33
1. 들어가는 말
2. <사상의 월야>의 텍스트 문제
3. <사상의 월야>와 자전적 소설
4. 맺는 말 ─ 요약 및 남는 문제
선우휘 <불꽃> 연구
1. 들어가는 말
2. 분단의 기원으로서 전쟁과 소설
3. 「불꽃」의 서사구조
4. 선우휘 초기 소설의 사상적 기반
5. 맺는말
제2부 작가 테마론
이태준 소설의 구조와 기법
1. 들어가는 말
2. 이태준에 있어서 소설 기법 논의
3. 이태준 단편소설 구조와 특질
4. 맺는말
이효석 초기 단편소설의 경향성과 서정성
1. 들어가는 말
2. 이효석 소설 유형학과 초기 단편소설의 위상
3. 초기 단편소설의 경향성과 잠재적 서정성
4. 맺는 말
金裕貞 ‘都市小說’의 양상과 그 의미
1. 들어가는 말
2. 金裕貞에 있어서 近代와 都市
3. 김유정의 도시소설의 두 양상
4. 맺는말
韓國 戰後 抒情小說 硏究
1. 들어가는 말
2. 전후 문단 상황과 서정소설
3. 오영수의 휴머니즘과 서정소설
4. 이범선의 전쟁의 상흔과 서정소설
5. 맺는 말
이범선 단편소설과 전후 서정소설
1. 들어가는 말
2. 전후 문단 상황과 이범선의 작가적 특징
3. 이범선 서정소설의 두 양상
4. 맺는 말
오영수 단편소설의 서정소설적 특징
1. 들어가는 말
2. 전후 문단 상황과 오영수의 작가적 특질
3. 오영수 서정소설의 두 양상
4. 맺는 말
제3부 문학사와 비평론
우리 시대 한국 문학과 문학사 기술
1. 들어가며
2. 한국 근현대 문학사의 전개 과정과 그 의미
3. 우리 시대 한국 현대 문학의 상황과 전망
4. 나오며
白大鎭의 自然主義 文學論 檢討
1. 들어가는 말
2. 자연주의의 개념과 전개 과정
3. 백대진 문학론의 자연주의적 양상
4. 맺는말 - 요약 및 남은 문제
1930年代 諷刺文學論 檢討
1. 들어가며
2. “풍자(諷刺)”란 무엇인가
3. 최재서 <풍자문학론>의 저변
4. 1930년대 풍자문학론의 전개
5. 맺는 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