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과교육론 > 영어교육 전공
· ISBN : 9788976419194
· 쪽수 : 284쪽
· 출판일 : 2016-12-09
책 소개
목차
Ⅰ. 서론
Ⅱ. 제1언어 습득 이론
1. 행동주의적 접근법(Behavioristic Approach)
2. 생득적 접근법 (Nativist Approach)
3. 기능적 접근법(Functional Approach)
4. 언어 능력과 언어 수행(Competence and Performance)
5. 이해와 표출(Comprehension and Production)
6. 자연성과 후천성(Nature and Nurture)
7. 언어와 사고(Language and Thought)
Ⅲ. 제2언어 습득 이론
1. 제2언어 습득 가설
2. 제2언어 습득에 있어서의 원인이 되는 변수
3. 의사소통능력 모형
4. CALP와 BICS
IV. 영어교수법의 발달
1. 문법·번역 교수법(Grammar-Translation)
2. 직접 교수법(Direct Method)
3. 청화식 교수법(Audiolingual Method)
4. 침묵교수법(Silent Way)
5. 암시교수법(Desuggestopedia)
6. 의사소통 공동체 언어학습(Community Language Learning)
7. 전신반응 교수법(Total Physical Response)
8. 의사소통 언어수업(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V. 현대 영어 교수법의 경향
1. 영어교수법의 주요 원리
2. 교과 과정과 교재 개발
3. 현대 영어교수법의 이론적 배경
4. 현대 영어교수법의 경향
VI. 읽기·쓰기·말하기·듣기 지도
1. 다양한 연령 집단에 따른 교수법
2. 다양한 언어 능숙도에 따른 교수법
3. 언어 4기능의 지도법
4. 컴퓨터를 활용한 영어 지도
5. 상호교섭적 언어교육
6 집단학습을 통한 상호 교섭
7. 언어 4기술의 통합
VII. 영어평가론
1. 언어 평가의 구비요건
2. 영어평가의 구성
3. 교육적 가치
4. 대학 수준의 영어평가
5. 교실의 평가원리
6. 영어 평가를 위한 교재
VIII. 통합적 영어 교육의 재조명
1. 영어습득과 자발적다독법
2. 자발적 다독의 역할과 적용 방안
3. 자발적 다독 프로그램과 통합적 읽기 교육
4. 자발적 다독법을 통한 통합적 영어교육
IX. 영어 교육의 흐름과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