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88976444899
· 쪽수 : 267쪽
· 출판일 : 2014-08-10
목차
제1장 재난의 의의와 이해
제1절 위험사회와 재난
제2절 재난관리론의 구성과 내용
제2장 재난관리의 의의와 이해
제1절 재난의 개념 및 재난관리의 의의
제2절 재난관리의 단계별 정의와 내용
제3절 재난관리의 방식: 분산관리와 통합관리
제4절 재난관리의 연혁
제5절 재난관리 논의의 토착화
제3장 재난의 유형
제1절 실정법상의 재난 분류: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제3조
제2절 학자들의 재난 분류
제4장 재난관리 단계의 활동
제1절 예방활동 단계
제2절 대비활동 단계
제3절 대응활동 단계
제4절 복구활동 단계
제5장 우리나라의 재난관리 Ⅰ: 안전관리기구 및 기능
제1절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개요
제2절 안전관리기구 및 기능
제3절 안전관리계획
제6장 우리나라의 재난관리 Ⅱ: 재난관리 활동
제1절 재난의 예방
제2절 재난의 대비
제3절 재난의 대응
제4절 재난의 복구
제5절 안전문화 진흥
제6절 보칙 및 벌칙
제7장 한국의 재난관리 체계
제1절 재난관리 체계의 연원
제2절 중앙정부 상설 재난관리 체계
제2절 광역자치단체 상설 재난관리 체계
제3절 국가 비상설 재난관리 체계
제8장 외국의 재난관리 체계
제1절 미국의 재난관리 체계
제2절 일본의 재난관리 체계
제3절 독일의 재난관리 체계
제4절 영국의 재난관리 체계
제9장 재난관리의 미래와 발전 방향
제1절 재난의 특성
제2절 재난관리 이론
제3절 재난관리의 발전 방향
참고문헌
찾아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