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88976444905
· 쪽수 : 315쪽
· 출판일 : 2014-07-15
목차
제1편 공공조직 행태의 이해
제1장 공공조직 구성원의 행태 15
제1절 공공조직이란? 15
제2절 공공조직 구성원이란? 18
제2장 공공조직행태론의 구성 22
제1절 공공조직 행태의 형성과 발전 22
제2절 공공조직행태론의 주요 연구와 구성 23
제3장 조직행태론의 개관 30
제1절 조직행태론이란? 30
제2절 조직행태론의 특징 32
제3절 조직행태론의 주된 종속변수 34
제4절 조직 행태의 기본 모형 38
제2편 개인 수준의 공공조직행태론
제4장 성격과 가치관 41
제1절 성격 41
1. 성격의 정의와 결정 요인/41
2. 성격에 관한 이론들/44
3. MBTI 성격 유형/48
4. 5요인 모형(FFM)/50
제2절 가치관 52
1. 가치관의 정의/52
2. 가치관과 태도/54
3. 가치관의 유형/55
4. 갈등과 가치관/58
제5장 지각과 학습 60
제1절 지각 60
1. 지각의 의의/60
2. 지각 과정/61
3. 지각의 영향 요인/61
4. 지각의 메커니즘/62
5. 지각의 오류/63
6. 지각과 판단의 정확성/65
7. 지각 해석의 오류를 감소시키는 방안/66
제2절 학습 67
1. 학습의 정의/67
2. 학습의 필요 요건/68
3. 학습이론/69
4. 학습과 행동 수정/72
5. 학습 방법의 종류와 효과/74
제6장 스트레스와 감정관리 77
제1절 스트레스의 본질 78
1. 스트레스의 개념/78
2. 스트레스의 연구 관점/79
3. 스트레스에 대한 일반 인식/79
제2절 스트레스 요인과 결과 80
1. 스트레스 요인/80
2. 스트레스의 결과/81
3. 스트레스의 최적 수준/82
제3절 감정유해성의 의미 83
1. 조직생활의 감정관리/83
2. 감정유해성의 개념/84
제4절 감정유해성의 발생 원인 85
제5절 관리 방안 88
1. 개별 구성원 수준/89
2. 관리자 및 리더 수준/90
3. 조직문화 수준/93
제7장 조직몰입 98
제1절 조직몰입의 개념과 관련된 정리되지 않은 논쟁들 98
1. 조직몰입에 대한 개념과 이해/98
2. 조직몰입의 선행변수와 결과변수들/99
3. 조직몰입의 다차원적 측면/100
제2절 조직신뢰와 조직몰입의 차이 102
1. 조직신뢰의 개념과 혁신적 행태/102
2. 조직신뢰와 조직몰입 간의 관계/103
제8장 동기부여 109
제1절 공직 동기 109
1. 개념/109
2. 공직 동기와 상관 관계를 보이는 변수들/110
제2절 머슬로의 욕구계층이론 112
1. 개념/112
2. 머슬로 이론의 한계/113
제3절 앨더퍼의 ERG 이론 114
1. 개념/114
2. 앨더퍼 이론의 한계/114
제4절 허즈버그의 욕구충족요인 이원론 115
1. 개념/115
2. 허즈버그 이론의 한계/116
제5절 맥그리거의 X, Y이론 117
1. 개념/117
2. 맥그리거의 이론의 한계/117
제6절 기대이론 118
1. 개념/118
2. 적용/119
제7절 목표설정이론 121
1. 개념/121
2. 한계 및 향후 연구 방향/121
제3편 집단 수준의 공공조직행태론
제9장 집단역학 125
제1절 왜 집단을 공부하는가? 125
제2절 집단의 정의와 유형 126
제3절 효과적 집단 129
제4절 집단 발전의 단계: 터크맨의 5단계 모형 130
1. 형성기/130
2. 격동기/131
3. 규범화 단계/131
4. 성과달성기/131
5. 해체기/132
제5절 집단의 행태적 특성 132
1. 응집성/132
2. 사회적 태만/134
제6절 집단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135
1. 투입 요소/135
2. 전환 및 산출/139
제7절 집단 의사 결정 140
제8절 팀의 이해 141
제9절 팀의 유형 143
제10장 커뮤니케이션 146
제1절 커뮤니케이션의 의의 147
1. 커뮤니케이션의 개념/147
2.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148
3. 커뮤니케이션의 기능/149
제2절 커뮤니케이션의 원칙과 과정 150
1. 커뮤니케이션의 원칙/150
2. 커뮤니케이션의 과정/152
3. 커뮤니케이션 이론 모형/153
제3절 커뮤니케이션의 유형 156
1. 공식적 커뮤니케이션/156
2. 비공식적 커뮤니케이션/158
3. 언어적?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159
제4절 커뮤니케이션의 장애과 극복 160
1. 장애의 원인/160
2. 커뮤니케이션 장애의 극복/162
제11장 리더십 167
제1절 리더십이란? 167
1. 리더십의 정의/167
2. 리더십과 관리의 차이/168
제2절 리더십의 주요 접근법: 특성이론과 행위이론 169
1. 특성이론/170
2. 행위이론/171
제3절 리더십의 주요 접근법: 상황이론 174
1. 피들러의 리더십 상황이론/175
2. 하우스의 경로-목표이론/177
3. 허시와 블랜차드의 상황적 리더십 모형/180
제4절 그래언의 리더-멤버 교환이론 182
제5절 리더십에 대한 영감적 접근법 184
1. 카리스마적 리더십/185
2. 변혁적 리더십/186
제6절 진실한 리더십 190
제4편 조직 수준의 공공조직행태론
제12장 권 력 195
제1절 권력의 기본 이해 195
제2절 권력의 과정 197
제3절 권력의 하위 개념들 198
제4절 권력의 여러 가지 관점들 198
1. 교환이론/199
2. 연결망 분석이론/200
3. 베버의 권위 권력론/202
4. 클레그의 계급이론/205
제5절 권력의 원천 206
1. 조직 내부/206
2. 조직 외부/209
제6절 권력의 분포 211
1. 수직적 분포/211
2. 수평적 분포/213
제7절 권력의 확보 전략 215
1. 객관적 기준의 선택적 사용/215
2. 외부 전문가의 영입/216
3. 무의사 결정/217
4. 연합 형성/217
5. 흡수/219
6. 위원회/220
제13장 갈 등 221
제1절 갈등의 정의와 기능 221
1. 갈등의 정의/221
2. 갈등의 순기능과 역기능/222
3. 갈등에 대한 견해/222
4. 갈등과 조직의 성과/223
제2절 갈등의 유형 225
제3절 갈등의 관리 227
제4절 갈등관리를 위한 협력적 네트워크 구축 229
제5절 협상 232
제14장 조직문화와 상징 236
제1절 조직문화의 발달 배경 237
제2절 조직문화의 이해 238
1. 개념 정의의 다양성/238
2. 문화적 항목으로서 상징/241
3. 조직문화의 수준과 층/243
제3절 조직문화의 유형 247
1. 경쟁가치모형에 의한 분류 유형/247
2. 해리슨의 분류 유형/248
3. 핸디의 분류 유형/251
제4절 조직문화 연구의 접근법 254
1. 변수(소유) 대 핵심 은유(존재)/254
2. 통합적?분화적?분절적 관점/255
3. 합리주의?기능주의?상징주의 관점/257
제5절 조직문화와 상징의 관리 258
1. 조직 리더와 상징관리/258
2. 조직문화 관리의 주요 메커니즘/259
제5편 네트워크 수준의 공공조직행태론
제15장 네트워크 행동과 공공조직 행태 265
제1절 네트워크 행동의 의의 266
1. 네트워크의 개념/266
2. 네트워크 행동의 정의/267
제2절 네트워크 행동의 주요 이론 269
1. 자원의존이론/269
2. 정책네트워크이론/270
3. 합리적 제도선택이론/271
4. 사회자본이론/272
제3절 협력적 네트워크 구축 성공 요인 273
1. 신뢰/275
2. 네트워크 규모/276
3. 목표에 대한 합의/277
4. 네트워크 역량/279
참고 문헌/284
찾아보기/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