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우주/해양/조선 기타공학
· ISBN : 9788976447661
· 쪽수 : 449쪽
· 출판일 : 2020-08-17
목차
제4판 머리말/3
초판 머리말/5
PART 1 소방행정학이란 무엇인가?
Chapter01 소방과 소방행정
제1절 소방의 의의 23
제2절 소방행정의 의의와 특성 25
1. 소방행정의 개념/25
2. 소방행정의 이념과 특성/26
제3절 소방행정과 환경의 관계 29
제4절 소방행정의 학문적 접근 31
Chapter02 소방행정의 범위와 내용
PART 2 소방정책론
Chapter01 소방정책 정립에 대한 논의
제1절 소방정책 정립의 필요성과 의미 39
1. 소방정책 정립의 필요성/39
2. 소방정책 정립의 의미/40
제2절 소방정책 구성에 대한 논의와 방향 41
1. 소방정책 구성에 대한 논의/41
2. 소방정책 구성의 방향/43
Chapter02 소방정책의 개념과 유형
제1절 소방정책의 개념과 특성 45
1. 소방정책의 개념/45
2. 소방정책의 특성/47
제2절 소방정책의 유형 49
1. 화재 진압정책/51
2. 화재 예방 및 경계정책/51
3. 구조 및 구급정책/52
4. 재난관리정책/52
5. 국민생활 안전정책/53
Chapter03 우리나라 소방정책의 발전 과정
제1절 시작기: 조선 및 일제 시대의 소방정책 54
제2절 과도기: 미군정 시대의 소방정책 56
제3절 초창기: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의 소방정책 57
제4절 발전기: 광역자치 소방행정 체제로서 소방정책 58
제5절 성숙기: 소방방재청과 국민안전처 시대의 소방정책 58
제6절 재도약기: 소방청 신설 및 소방공무원 국가직화 60
Chapter04 소방정책 과정
제1절 소방정책 형성과 참여자 62
1. 소방정책 형성의 개념과 소방정책의 변화/63
2. 안전문제와 소방정책 의제/64
3. 소방정책 형성의 참여 주체/65
제2절 소방정책 결정이론 70
1. 소방정책 결정의 개념과 필요성/71
2. 소방정책 결정 과정/72
3. 소방정책 결정이론/73
제3절 소방정책 집행 79
1. 소방정책 집행의 개념과 필요성/80
2. 소방정책 집행의 절차/81
3. 소방정책 집행의 성공 요인과 순응 및 불응/82
제4절 소방정책 평가와 종결 84
1. 소방정책 평가의 개념과 필요성/85
2. 소방정책 평가의 목적과 유형/87
3. 소방정책 평가의 과정/88
Chapter05 화재 진압과 화재 예방 및 경계정책
제1절 화재 진압정책 및 화재조사 90
1. 화재 진압정책/90
2. 화재조사/93
제2절 화재 예방 및 경계정책 94
1. 화재 예방정책/94
2. 화재 경계정책/95
Chapter06 구조 및 구급정책
제1절 구조정책 97
제2절 구급정책 98
Chapter07 대국민 재난안전정책
제1절 재난관리정책 99
제2절 국민생활 안전정책 100
PART 3 소방조직론
Chapter01 조직의 정의
제1절 조직의 의의 105
제2절 조직의 목표 106
제3절 조직의 중요성 107
제4절 조직의 유형 108
1. 에치오니의 분류/108 2. 블라우와 스콧의 분류/109
3. 리커트의 분류/109 4. 파슨스의 분류/110
5. 베니스의 분류/111
Chapter02 조직이론의 발달 과정
제1절 고전적 조직이론 112
1. 과학적 관리론/112 2. 관료제론/115
3. 조직원리론/116
제2절 인간관계론 117
1. 호손실험/117 2. 특 징/118
3. 평가 및 한계/119
제3절 행정행태론 120
1. 행태론/120 2. 행정행태론/121
제4절 체계이론 122
1. 체계의 종류/122 2. 개방 체계의 개념/123
3. 체계의 요소/123 4. 특 징/124
5. 평가 및 한계점/125
Chapter03 소방조직 체계
제1절 조직구조 126
1. 조직구조의 변수/126
2. 조직 규모와 조직구조의 관계/128
3. 기술과 조직구조의 관계/128
4. 환경과 조직구조의 관계/129
제2절 우리나라 소방조직의 변천 과정 130
1. 삼국 시대/131
2. 통일신라 시대/131
3. 고려 시대/131
4. 조선 시대/132
5. 일제 시대/133
6. 미군정 시대(1945~1948년)/133
7.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1948~1970년)/133
8. 발전기(1970~1992년)/134
9. 광역자치 시대(1992~2004년)/134
10. 소방방재청(2004~2014년)/135
11. 국민안전처 중앙소방본부(2014~2017년)/135
12. 소방청(2017년~현재)/136
제3절 소방조직의 특성과 환경 138
1. 소방조직의 의의/138
2. 소방조직의 학습 필요성/138
3. 소방조직 환경의 변화/140
4. 소방조직의 특수성 고찰/143
제4절 우리나라 소방조직 체계 149
1. 국가 소방조직 체계/151
2. 국가 소방조직 체계-광역자치단체 소방조직 체계/155
3. 민간 소방조직/175
Chapter04 조직 내의 리더십
제1절 리더십의 개념 178
제2절 리더십의 이론 179
1. 자질이론/179
2. 행태이론/180
3. 상황이론/184
Chapter05 의사전달
제1절 의사전달의 의의 192
1. 의사전달의 개념/192
2. 의사전달의 기능/193
제2절 의사전달의 유형 194
1. 공식적 의사전달/194
2. 비공식적 의사전달/197
제3절 의사전달의 개선 방향 201
1. 개방성/201 2. 신뢰성/201
3. 계층제의 완화/201 4. 참여의 권장/201
PART 4 소방인사론
Chapter01 소방인사행정의 의의
제1절 소방인사행정의 개념 및 중요성 205
제2절 소방인사행정의 환경 206
제3절 소방인사행정의 이념과 목표 208
1. 인사행정이 추구하는 이념/208
2. 인사행정의 목표/211
Chapter02 소방인사행정의 변천과 발전 과정
제1절 인사행정 제도의 발전 과정 212
1. 실적주의제와 직업공무원제/212
2. 공직의 분류 제도: 계급제와 직위분류제/220
제2절 우리나라 소방인사행정의 발전 과정 236
1. 조선 시대/236
2. 일제 시대/237
3. 미군정 시대/239
4.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239
5. 민방위 체제의 소방행정/240
6. 국가재난관리 전담조직 체제의 소방행정/241
7. 종 합/242
제3절 소방인사기관 243
1. 의 의/243
2. 소방인사기관의 조직적 특성/245
3. 소방인사기관의 기능/246
Chapter03 소방인사행정의 과정
제1절 소방인력기획 247
제2절 소방공무원의 모집과 선발 248
1. 소방공무원의 임용 및 채용/248
2. 소방공무원의 모집/252
3. 소방공무원의 선발/255
제3절 소방공무원의 교육훈련 264
1. 소방 교육훈련의 의의/264
2. 교육훈련의 요소/265
3. 교육훈련의 형태/265
4. 교육훈련의 과정/267
5. 소방교육훈련기관 및 교육 과정/268
제4절 소방공무원의 인사 이동과 경력 발전 269
1. 인사 이동과 경력 발전의 의의/269
2. 승 진/270
3. 강 임/273
4. 배치전환/273
5. 경력 발전/274
제5절 소방공무원의 평정 제도 275
1. 근무성적평정의 의의와 목적/275
2. 근무성적평정의 방법/276
3. 근무성적평정 체제/278
제6절 소방공무원의 보수 및 연금 284
1. 소방공무원의 보수 제도/284
2. 소방공무원의 연금 제도/287
Chapter04 소방공무원의 동기부여
제1절 동기부여 일반론 289
1. 동기부여의 의의/289
2. 동기부여이론/290
제2절 소방공무원 사기의 영향 요인과 증진 방안 292
제3절 소방공무원의 스트레스 관리 292
Chapter05 소방공무원의 행동규범 및 권익 보장
제1절 소방공무원 행동의 가치 기준 295
제2절 소방공무원의 행동규범 295
1. 소방공무원 윤리의 의의 및 특징/295
2. 소방공무원 윤리의 강화 전략/296
제3절 소방공무원의 징계 제도 297
1. 징계의 개념/297 2. 징계 사유/297
3. 징계의 종류와 효력/298 4. 징계위원회/298
제4절 소방공무원의 권익 보호 299
1. 기본권의 제한과 보호의 필요성/299
2. 소방공무원의 권익 보호 제도/300
PART 5 소방재정론
Chapter01 소방재정의 의의와 성격
제1절 소방재정의 의의 305
1. 소방재정의 개념/305
2. 소방재정의 범위/306
3. 소방 서비스의 특징과 소방재정/307
제2절 소방재정의 성격 308
1. 정부 예산으로서 소방 예산/308
2. 지방재정으로서 소방재정/311
3. 중앙정부의 소방재정 지원/312
4. 소방 수요와 소방재정/313
Chapter02 소방재정과 주요 이론
제1절 정부 예산 연구의 전개 과정 315
제2절 소방재정과 주요 이론 317
1. 소방 예산의 주요 이론/317
2. 소방재정 이론의 필요성/325
Chapter03 지방재정과 소방재원
제1절 소방재원의 유형 327
1. 소방재원의 원천/327
2. 소방재원의 유형/328
제2절 지방재정의 구조 329
1. 지방재정의 의의/329
2. 지방재정과 예산 원칙/331
3. 지방재정의 구성/332
4. 지방정부 예산/343
Chapter04 우리나라 소방재정 운용 현황
제1절 소방재원 총 규모 346
제2절 소방재원별 규모 348
1. 지역자원시설세/348
2. 중앙정부의 이전재원/351
제3절 소방비 지출 현황 353
1. 경상적 경비 지출/353
2. 사업비 지출/356
Chapter05 해외 각국의 소방재정
제1절 일본의 소방재정 359
1. 소방재정 수요 증가/359
2. 소방재정 부담의 책임/360
3. 재정 규모/361
4. 재정 유형/361
제2절 미국의 소방재정 364
1. 연방정부의 소방재정/365
2. 지방정부의 소방재정/366
제3절 한국에의 시사점 369
PART 6 소방사무론
Chapter01 지방자치단체 사무
제1절 지방자치단체의 개념과 종류 375
1. 지방자치단체의 개념/375
2. 지방자치단체의 종류/375
제2절 지방자치단체 사무의 의의 및 사무의 종류 377
1. 의 의/377 2. 사무의 종류/377
제3절 지방자치단체 사무 배분 383
1. 사무 배분의 의의/383
2. 우리나라 사무 배분 현황/384
Chapter02 소방사무
제1절 소방사무의 의의 386
1. 소방사무의 개념/386
2. 소방사무의 특성/387
3. 소방사무의 유형/389
4. 소방사무의 책임소재/391
제2절 개별법상 소방사무 392
1. 정부조직법상 소방사무/392
2. 지방자치법상 소방사무/392
3. 소방관계법상 소방사무/394
제3절 소방사무의 배분 395
1. 공동사무/396
2. 소방관계법/397
3.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401
제4절 소방사무의 재배분 401
1. 소방사무의 환경 변화/401
2. 소방사무 재배분에 관한 논의/403
PART 7 소방의 미래와 발전 방안
Chapter01 미래 환경 변화와 소방행정
Chapter02 소방행정의 문제점 및 과제
제1절 소방정책의 문제점 및 과제 414
1. 예방 중심의 소방정책 마련/414
2. 현장 중심의 소방정책 구현/415
3. 소방안전문화의 정착과 소방방재 네트워크 구축/416
제2절 소방조직의 문제점 및 과제 417
1. 소방조직 인력의 전문성 제고 및 장비의 확충/417
2. 전문 소방교육 및 근무 의욕 고취/419
3. 잦은 소방조직 체계 개편의 지양/419
제3절 소방인사의 문제점 및 과제 420
1. 소방인사행정의 후진성/420
2. 국가와 지방 소방의 연계성 미흡/420
3. 소방공무원 인력관리 체계의 개선/421
제4절 소방재정의 문제점 및 과제 421
1. 소방 예산의 부족/421
2. 합리적인 재원 확충 및 예산 운용계획 수립 필요/422
3. 소방조직 예산은 예방 위주로 편성/423
제5절 소방사무의 문제점 및 과제 424
Chapter03 소방행정의 발전 방향
제1절 합리적인 소방 체제의 개편 427
제2절 소방정책의 다변화 428
제3절 학습 지향적 소방조직구조의 재설계 및 소방 인력의 전문화 429
제4절 민간 소방산업 육성을 통한 인프라 확산 430
참고문헌/433
찾아보기/4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