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알기 쉬운 재무행정론

알기 쉬운 재무행정론

윤광재 (지은이)
대영문화사
2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7,000원 -0% 0원
1,350원
25,6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6개 20,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7,000원 -10% 1350원 22,950원 >

책 이미지

알기 쉬운 재무행정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알기 쉬운 재무행정론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88976449177
· 쪽수 : 375쪽
· 출판일 : 2024-01-10

목차

머리말/2

제1편
재무행정의 서설

제1장 재무행정의 기본용어 및 개념 19
제1절 재무행정 및 예산관련 용어 20
1. 재무행정관련 용어/20 2. 예산관련 용어/21
3. 예산과 가계부의 비교/23
제2절 재무행정이란? 24
1. 행정학과 재무행정학 간의 관계/24
2. 재무행정학과 재정학 및 재무관리론 간의 차이/26
제3절 재무행정의 의의 및 개념 27
1. 재무행정의 의의/27 2. 재무행정의 개념/28
3. 국민계정체계상의 공공부문 범위/30
제4절 재무행정의 기능 31
1. 재무행정의 기능: 재정의 기능/31
2. 자원배분의 조정기능/32
3. 소득의 분배기능/33
4. 경제의 안정적 성장 및 유지기능/34

제2장 재무행정의 주요 법적 근거와 재정계획 37
제1절 재무행정과 법률 간의 연계 38
1. 법적 근거의 의의/38 2. 헌법규정/39
제2절 헌법 및 기타 법률규정 43
1. 헌법의 규정/43
2. 국가재정 관계법/47
3. 정부기업예산법과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49
4. 국가회계법/52
제3절 재정계획의 의의 54
1. 재정계획의 개념 및 특징/54 2. 국가재정운용계획의 운영/55
3. 중기재정계획의 장점/59

제2편
정부예산론

제3장 예산의 개념․기능 및 원칙 65
제1절 예산의 개념과 변천 66
1. 예산의 개념/66 2. 예산개념의 변천/67
3. 예산의 정치적 성격/69
제2절 예산의 기능 71
1. 예산기능의 다양성/71 2. 예산의 정치적 기능/71
3. 예산의 법적 기능/73 4. 예산의 경제적 기능/74
5. 예산의 행정적 기능/76
제3절 예산원칙의 의의 77
1. 예산원칙의 개념 및 수정 필요성/77
2. 전통적 예산원칙/78
3. 전통적 예산원칙에 대한 수정의 필요성/82
제4절 현대적 예산원칙 84
1. 현대적 예산원칙의 의의/84 2. 행정부 계획의 원칙/85
3. 행정부 책임의 원칙/85 4. 보고의 원칙/86
5. 예산수단구비의 원칙/86 6. 다원적 절차의 원칙/86
7. 행정부 재량의 원칙/87 8. 시기신축성의 원칙/87
9. 예산기구 상호성의 원칙/88
10. 전통적 원칙과 현대적 원칙의 조화/88

제4장 예산이론의 모색과 탐색 89
제1절 세입예산과 세출예산 90
제2절 예산이론의 다양성 91
1. 세입예산: 조세부담의 원칙/91
2. 세출예산: 예산규모와 예산결정관련 논의/92
3. 정부예산의 결정이론/95
4. 예산결정이론의 평가/101
제3절 미시적 예산결정과 거시적 예산결정 101
1. 하향적 예산과정의 부각/101
2. 미시적 예산결정과 거시적 예산결정론의 등장/102
제4절 예산연구와 공공선택론 102

제5장 예산의 종류와 분류 105
제1절 예산의 종류 106
1. 일반회계예산과 특별회계예산의 존재/106
2. 기금의 설치/108
3. 수정예산과 추가경정예산/109
4. 잠정예산․가예산․준예산/111
제2절 예산의 분류 113
1. 예산의 분류개념과 목적/113
2. 세입예산과 세출예산의 과목분류/115
3. 품목별 분류/116
4. 기능별 분류/119
5. 조직별 분류/122
6. 경제성질별 분류/123

제3편
예산과정론


제6장 세입예산과 세출예산의 구성 129
제1절 예산의 구성 130
제2절 국세와 세외수입의 의의 및 규모 132
1. 조세의 의의/132 2. 세외수입의 의의/133
제3절 세출예산과 기능별지출 135
1. 세출예산의 의의 및 중요성/135
2. 세출예산의 현황 및 규모/136

제7장 예산안 편성과 심의․의결 139
제1절 예산편성의 의의 140
1. 예산편성의 개념/140 2. 예산편성의 중요성/141
제2절 예산편성의 절차 141
1. 예산편성절차의 개요/141
2. 중기사업계획서의 작성 및 제출/143
3. 예산안편성지침 작성 및 기준시달/143
4. 예산사정 및 예산안편성/144
5. 예산안의 입법부 제출/145
제3절 예산심의의 의의 146
1. 예산심의의 개념/146 2. 예산심의의 기능/147
제4절 예산심의의 제도 148
1. 예산심의제도의 특성/148
2. 대통령중심제와 내각책임제/148
3. 단원제와 양원제의 경우/149
4. 위원회제도/150
5. 예산불성립 시의 예산운영/151
제5절 예산심의의 절차 151
1. 대통령의 시정연설/151
2. 상임위원회의 예비심사/152
3. 예산결산특별위원회의 종합심사/153
4. 본회의 의결/154

제8장 예산집행과 결산 157
제1절 예산집행의 의의 158
1. 예산집행의 개념/158 2. 예산집행 목표의 배타성/158
3. 예산집행의 원칙/164
제2절 예산집행의 절차 165
1. 예산의 배정/165 2. 자금의 배정/166
3. 예산의 재배정/166 4. 지출사무/167
제3절 결산의 의의 167
1. 결산의 의의와 목적/167 2. 결산제도/168
제4절 회계검사란? 173
1. 회계검사의 의미 및 목적/173
2. 전통적 회계검사와 새로운 경향/174
3. 회계검사의 유형/176
제5절 회계검사기관의 특성 178
1. 유형론/178
2. 우리나라의 감사원/179

제4편
예산개혁론


제9장 예산개혁 185
제1절 예산개혁의 역사적 배경 186
1. 예산편성의 권한여부/186 2. 예산개혁의 역사/186
3. 예산개혁의 시작/187
제2절 초기의 다양한 예산제도 189
1. 일괄총액예산 및 목표예산/189
2. 품목별예산제도/190
제3절 성과주의예산제도 192
1. 성과주의예산의 개념 및 시작/192
2. 기능의 목표와 목표달성을 위한 대안/194
3. 업무단위 및 측정/194
4. 성과주의예산의 사례(I)/195
5. 성과주의예산의 경험 및 시사점/198
제4절 계획예산제도 201
1. 계획예산의 의의/201 2. 계획예산의 사례/203
3. 계획예산의 시사점/205
제5절 목표에 의한 관리제도 206
1. 목표관리제의 개념 및 특징/206
2. 목표에 의한 관리제도의 장점/207
3. 목표에 의한 관리제도의 사례/207
4. 목표에 의한 관리의 시사점/209
제6절 영기준예산제도 210
1. 영기준예산의 도입 및 개념/210
2. 영기준예산 적용상의 어려움/211
3. 영기준예산의 사례/211
4. 영기준예산이 남긴 시사점/213
제7절 예산개혁의 공통적 시사점 215
1. 기본사항/215
2. 예산회계정보시스템의 필요/215
3. 품목별예산의 우월성/216
4. 정치적 과정으로서의 예산/216
5. 기업예산제도의 실패/216
6. 최고지도자의 의지와 국민의 관심/217
7. 예산이론의 필요/217
8. 이론․실무에 대한 균형감각 필요/217
제10장 우리나라의 예산개혁 219
제1절 예산개혁의 전개 220
1. 전통적인 예산제도의 문제/220
2. 예산편성과정의 문제와 지출한도의 비결정/220
3. 장기적 전략의 부재와 복잡한 재정체계/221
제2절 새로운 3+1 예산제도의 도입 222
1. 예산제도의 개혁작업/222
2. 구체적인 개혁의 내용/224

제11장 재정성과관리제도 231
제1절 성과관리제도란? 232
1. 성과관리제도의 의의/232 2. 성과관리제도의 연혁/233
제2절 재정성과관리제도의 내용 235
1. 재정성과목표관리제도/235 2. 재정사업성과관리제도/236
3. 재정사업자율평가제도/237 4. 재정사업심층평가제도/239
5. 기타 부가제도/241

제12장 정부회계의 특성 243
제1절 재정과 정부회계와의 관계 244
1. 재정의 정의/244
2. 재정절차 및 재정의 순환/245
3. 정부회계의 의의 및 특징/245
4. 정부회계와 기업회계의 비교/246
제2절 우리나라 정부회계의 변천 247
1. 새로운 회계제도의 도입/247 2. 정부회계의 기준/249
3. 정부회계의 형식/251 4. 정부회계의 재무제표/254

제5편
정부예산 실체와 공기업

제13장 우리나라의 정부예산 실체 263
제1절 정부예산의 규모변화 추이 264
1. 정부예산의 지속적 증가/264 2. 분야별 예산규모/265
제2절 예산원칙과 다양한 예산제도의 활용 266
1. 국가재정법상의 원칙/266 2. 총액계상사업제도/267
3. 프로그램예산제도/268 4. 성인지예산제도/270
5. 조세지출예산제도/272 6. 국민참여예산제도/273
7. 예비타당성조사제도/275 8. 온실가스감축인지예산제도/276
제3절 국가채무의 의의 및 추이변화 278
1. 국가채무와 국가부채의 구분/278
2. 국가채무의 구성 및 추이변화/281
3. GDP 대비 국가채무 및 부채의 추이변화/283
4. 국가채무의 관리/286

제14장 통합재정의 도입 및 중요성 289
제1절 총수입․총지출과 통합재정의 개념 290
1. 총수입과 총지출의 개념/290
2. 통합재정의 도입배경 및 개념/292
3. 우리나라에서의 활용/293
4. 공공부문의 범위/294
제2절 통합재정의 포괄범위와 작성기준 295
1. 통합재정의 포괄범위 및 작성기준/295
2. 통합재정수지의 개념/296
3. 통합재정의 유용성과 한계/299
제3절 통합재정수지와 관리재정수지 간의 비교 300

제15장 공기업과 예산회계 303
제1절 공기업의 의의와 특성 304
1. 공기업의 의의 및 개념/304 2. 공기업의 특성/305
3. 유사개념과의 구별/306 4. 공기업의 설립동기와 분야/308
제2절 공기업의 예산회계 및 결산검사 310
1. 공기업예산의 성격/310 2. 예산회계의 운영/310
3. 경영평가의 실시/312 4. 결산검사의 적용/314

부록/319
참고문헌/365
찾아보기/371

저자소개

윤광재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행정학과 학사 파리 제2대학교 공법학 석사 파리 제2대학교 공법학 박사(재무행정 전공) 현, 영남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전 한국행정연구원 부연구위원 및 기획부장 전 행정자치부 행정서비스헌장위원회 위원 전 기획예산처 정부산하기관 공동경영평가단 위원 전 사우스플로리다대학교(University of South Florida) 초빙학자 전 한국행정학회 교육취업위원장 전 한국정책과학학회 회장 전 한국정부학회 회장 전 파리 제2대학교(Universite Paris-Pantheon-Assas) 초빙연구자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764493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