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중세 한국어 감동법이란 무엇인가

중세 한국어 감동법이란 무엇인가

가와사키 케이고 (지은이)
신구문화사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0,000원 -0% 0원
0원
30,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중세 한국어 감동법이란 무엇인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중세 한국어 감동법이란 무엇인가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국어사/방언론
· ISBN : 9788976682338
· 쪽수 : 428쪽
· 출판일 : 2017-10-20

목차

머리말 … 4

1. 서론 … 15
1.1. 연구 목적과 대상 … 15
1.2. 주요논의 및 방법론 … 16
1.3. 선행연구와 본서의 방향 … 20
1.3.1. 감동법 … 20
1.3.2. evidentiality, mirativity … 23
1.3.3. 감동법 ‘?것다’와 비존칭의 ‘?거시니’ … 25
1.4. 인용 자료 … 26

2. 복수표지 ‘?ㅅ/옷²?’ … 31
2.1. ‘?ㅅ?’의 복수성 … 31
2.1.1. 의문형 ‘??다’ … 32
2.1.2. 명령형 ‘?아/어?라’, ‘?거?라’ … 36
2.1.3. 1인칭 ‘?소?’[?ㅅ?오?] … 38
2.1.4. ?순천김씨언간?의 용례들 … 45
2.1.5. 일부 청유형들과의 관계 … 48
2.1.5.1. ‘?쟈?라’ … 48
2.1.5.2. ‘?사?다’ … 50
2.2. 1인칭 ‘?오소?’[?옷?오?]의 복수성 … 51
2.2.1. ‘?다소?’ … 53
2.2.1.1. 한글 자료 … 53
2.2.1.2. 음독구결 자료 … 57
2.2.1.3. 直指寺 소장 법화경의 특수성 … 63
2.2.2. ‘?과소?’, ‘?아소?’ … 67
2.2.3. ‘?노소?’[???옷?오?] … 70
2.2.3.1. 음독구결 자료 … 71
2.2.3.2. 한글 자료 … 80
2.3. “도소”의 이질성 … 85
2.4. 소결: “감동법” 체계 다시 정리 … 93

3. 감동법 ‘?돗/옷¹?’의 용법 … 97
3.1. mirativity marker로서의 감동법 … 98
3.1.1. 종래의 문제점 … 98
3.1.2. 핵심적 의미·기능 … 99
3.1.3. 증거성과의 관계 … 104
3.1.4. 현대어의 mirativity 표현들 … 106
3.2. ? 내적 감각 … 109
3.2.1. 기본적인 용법 … 109
3.2.2. ‘알리로소녀’, ‘엇더?도소뇨’ … 111
3.2.3. ‘? ?리로다’ … 116
3.3. ?′ 일치·식별·同定·평가 … 120
3.3.1. ?′?1 원했던 대상을 찾아냄 … 120
3.3.2. ?′?2 식별, 同定 … 126
3.3.3. ?′?3 평가 … 131
3.3.3.1. 품평·인물평 … 132
3.3.3.2. 사건·상황에 대한 평가 … 136
3.3.3.3. ‘(어루) ~라 니?리로다’ … 138
3.4. ? 지각 경험에 수반된 깨달음 … 140
3.4.1. 기본적인 용법 … 140
3.4.2. 뛰어난 지각 능력 … 143
3.5. ?′ 추리/추론과 인식 양태 … 145
3.5.1. 기본적인 용법 … 145
3.5.2. 뛰어난 추리 능력 … 148
3.5.3. ?′?1 확실성 ‘(?다?/반?기) ?돗/옷¹?’ … 151
3.5.4. ?′?2 가능성 ‘(시혹) ?리롯?’ … 155
3.5.5. ?′?3 과거의 가능성 ― 反實假想 ‘V/A?리랏다’ … 159
3.6. ? 주관적·개인적 감각 … 165
3.6.1. ??1 자신의 견해를 도출/확인/표명 … 167
3.6.2. ??2 인정과 양보 … 169
3.6.3. ??3 확인과 의문 … 171
3.6.4. ??4 잘 몰랐던 척 ― “정보 관할권”과의 상호작용 … 174
3.6.4.1. 책임 회피 … 176
3.6.4.2. 정보 강자에 대한 공손성 … 180
3.6.4.3. 떨어지는 신빙성 … 182
3.7. ?′ 객관적·논리적 도출 … 184
3.7.1. 수량의 계산 … 185
3.7.2. “?ㄴ 셈이다” … 187
3.7.3. “?ㄹ 터이다” … 191
3.7.4. ?′?1 “(이맘때면/그때쯤엔) ?ㄹ 터이다” … 194
3.7.5. ‘~?(?오?) 알리로다’ … 195
3.8. ? 이해·해석·납득과 내재화 … 199
3.8.1. 기본적인 용법 … 201
3.8.1.1. 항구적인 본질·원리·원칙의 이해 … 201
3.8.1.2. 인과관계를 해석함 … 202
3.8.1.3. 진의를 해석함 … 205
3.8.1.4. 하나의 줄거리로 해석함 … 207
3.8.2. 과거에 대한 깨달음 ‘V/A?닷다’ … 209
3.8.2.1. ‘?닷다’, ‘?다??다’ … 209
3.8.2.2. ‘?다?니’ … 213
3.9. ‘V?돗더라’와 ‘V?돗던고’ … 214
3.9.1. 과거의 지각 경험 ‘V?돗더라’ … 215
3.9.1.1. 기본적인 용법 … 216
3.9.1.2. 1인칭의 대상화 … 219
3.9.1.3. 제삼자의 깨달음 … 220
3.9.1.4. ?두시언해?와 ?순천김씨언간?의 용례들 … 222
3.9.2. 의아스러워 함 ‘V?돗던고’ … 230
3.9.2.1. ‘V?던고’ … 230
3.9.2.2. ‘V?돗던고’ … 233
3.10. 1인칭 주어의 감동법 … 238
3.10.1. [?돗?오?]의 可否 … 239
3.10.2. 의미적 특수성 … 240
3.10.3. 자료의 검증 … 242
3.10.4. ‘?돗/옷¹?’과 ‘?오?’의 계열관계 … 251

4. ‘?것다’, ‘?거시니’, ‘?거시?다’ … 255
4.1. ‘?거?’의 의미·기능 … 259
4.2. ‘?것다’[?거?옷¹?다] … 266
4.2.1. ‘?거다’와의 대비 … 266
4.2.2. 자신의 무의식적 행동 및 시간의 경과에 대한 깨달음 … 274
4.2.3. 상황의 자연발생적 변화에 대한 깨달음 … 278
4.2.4. ??3c 모순의 확인과 문제제기(비난) … 283
4.2.5. ??1 자신의 견해를 도출/확인/표명 … 284
4.3. ‘?거시니’[?거?옷¹?니] … 287
4.3.1. ‘?것다’ 및 ‘?돗/옷¹?’과의 동질성 … 288
4.3.1.1. 자신의 무의식적 행동 및 시간의 경과에 대한 깨달음 … 288
4.3.1.2. ? 내적 감각 … 289
4.3.1.3. ?′(?) 식별 … 290
4.3.1.4. ?′ 객관적·논리적 도출 … 291
4.3.1.5. ?′?1 “(이맘때면/그때쯤엔) ?게 됐을 터이다” … 295
4.3.2. ‘?거니’와의 대비 … 297
4.3.2.1. ‘?거니, [수사의문문]’ … 299
4.3.2.2. ??3c 모순의 확인과 문제제기 … 305
4.3.2.3. ??3c 모순의 확인과 문제제기(비난, 감사) … 317
4.3.2.4. ??3a 사실의 확인과 그것에 대한 의문 … 319
4.3.2.5. ??3d 따짐과 힐문 … 321
4.4. ‘?거시?다’[?거?옷¹???다] … 329
4.5. 소곡본 ?능엄경?의 ‘?????(것이니)’ 표기 … 332
4.6. ‘?거시며’[?거?옷¹?며]의 존재 … 336
4.7. ‘?거샷?’[?거?시?옷¹?]과 그 誤記 … 342
4.8. ‘?앗?’[?아?옷¹?], ‘?아샷?’[?아?시?옷¹?] … 350
4.8.1. ‘?앗다’, ‘?아샷다’ … 351
4.8.2. ‘*?아?니’, ‘?아샤?니’ … 354
4.8.3. ‘?아??다’ … 356
4.9. “?거?(H!) + ?옷¹?(H) → ?것?(H)”의 성조 변화 … 358
4.10. ‘?거시니’와 ‘?가시니’의 교체 … 362
4.11. ?번역노걸대?의 ‘?거니’와 ‘?거시니’ … 365
4.11.1. ‘?거니’ … 365
4.11.2. ‘?거시니’ … 371

5. 특수화와 변화 … 375
5.1. ‘?샤소?’의 특수성 … 375
5.2. ‘?놋도다’, ‘???다’, ‘???다’, ‘??도다’ … 380

6. 결론 … 385

참고문헌 … 398
<부록 1> 형태별 정리 및 본서에서의 참조 위치 … 409
<부록 2> 본서의 개요와 전체 흐름 소개 … 412
찾아보기 … 415

저자소개

가와사키 케이고 (지은이)    정보 더보기
박사과정 수료(서울대학교 대학원) 현재 숭실대학교 일어일문학과 조교수 <서평: 小倉進平(1938): 朝鮮語に於ける謙?法?尊敬法の助動詞?東洋文庫論叢 26, 東洋文庫?>(≪국어학논집≫ 7, 2011), <均如鄕歌 解讀을 위한 漢文 資料의 體系的 對照와 巨視的 接近>(≪口訣硏究≫ 29, 2012) 외 논저 다수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