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연변 지역어의 접미파생법 연구

연변 지역어의 접미파생법 연구

이춘영 (지은이)
신구문화사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000원 -0% 0원
600원
19,400원 >
20,000원 -0% 0원
카드할인 10%
2,000원
18,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4개 2,5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연변 지역어의 접미파생법 연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연변 지역어의 접미파생법 연구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언어학
· ISBN : 9788976682710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22-12-30

책 소개

함북 방언에 기반을 둔 연변 지역어의 접미파생의 양상을 밝히는 것을 주제로 잡고 방언조사를 진행하였다.

목차

머리말 4

1. 서론 13
1.1. 연구 목적과 의의 13
1.2. 연구사 개관 14
1.3. 연구 대상 및 방법 20
1.4. 음운론적 특징과 표기 방법 26

2. 파생어 형성의 논의를 위한 기본 전제 31
2.1. 파생어 형성의 유형 31
2.2. 파생어 형성의 규칙과 유추 35
2.3. 공시성과 통시성 41
2.4. 파생어 형성과 생산성 44
2.5. 파생어 형성과 어휘화 47
2.6. 용어 50

3. 명사 파생 53
3.1. 행위명사 파생 54
3.1.1. ‘-이1’ 55
3.1.2. ‘-음’ 63
3.1.3. ‘-기’ 67
3.1.4. ‘-질’ 71
3.1.5. ‘-내기1’ 80
3.2. 사물명사 파생 81
3.2.1. ‘-개’, ‘-애’ 81
3.2.2. ‘-대기1’ 92
3.2.3. ‘-붙이’ 94
3.3. 인칭명사 파생 95
3.3.1. ‘-재:~-쟤:’, ‘-꾼’ 95
3.3.2. ‘-보’, ‘-애:/에:’ 104
3.3.3. ‘-배:’, ‘-뚜거리’, ‘-대기2’, ‘-채:’, ‘-바리’, ‘-꾸레
기’, ‘-이2’ 109
3.3.4. ‘-뒤:’, ‘-돌이’, ‘-내미’ 129
3.3.5. ‘-내기2’, ‘-치’ 135
3.4. 그 밖의 접미사에 의한 파생 137
3.4.1. ‘-백이’, ‘-들이’, ‘-잽이’ 137
3.4.2. ‘-시’ 139
3.4.3. ‘-에기’ 140
3.4.4. ‘-아지’ 142
3.4.5. ‘-악지’ 143
3.4.6. ‘-이3’ 144

4. 동사 파생 151
4.1. 사ㆍ피동사 파생 151
4.1.1. 사동사 파생 154
4.1.2. 피동사 파생 175
4.2. 반복접미사에 의한 파생 191
4.2.1. ‘-거리-’ 192
4.2.2. ‘-대-’ 195
4.2.3. ‘-이-’ 197
4.3. 강세접미사에 의한 파생 199
4.3.1. ‘-떼리-’ 200
4.3.2. ‘-치-’ 202

5. 형용사 파생 207
5.1. ‘-스럽-’, ‘-롭-’, ‘-답-’ 207
5.1.1. ‘-스럽-’ 207
5.1.2. ‘-롭-’ 210
5.1.3. ‘-답-’ 212
5.2. ‘-압/업-’, ‘-ㅂ-’과 ‘-브-’ 214
5.2.1. ‘-압/업-’ 214
5.2.2. ‘-ㅂ-’과 ‘-브-’ 222
5.3. ‘-ㅤㅇㅏㅎ/ㅤㅇㅓㅎ-’ 224
5.4. ‘-다마-’ 228
5.5. ‘-지-’ 231
5.6. ‘-차-’ 233

6. 부사 파생 237
6.1. ‘-이/히’ 238
6.2. ‘-우’ 244
6.3. ‘-껏’ 245
6.4. ‘-나/으나’ 246
6.5. ‘-르’ 247
6.6. ‘-대르’ 248

7. 어근 파생 251
7.1. ‘-으스르-’ 252
7.2. ‘-끄레-’, ‘-으레-’ 254
7.2.1. ‘-끄레-’ 254
7.2.2. ‘-으레-’ 255
7.3. ‘-스그레-’, ‘-즈그레’ 257
7.4. ‘-음-’ 258
7.5. ‘-죽-’, ‘-즉-’, ‘-적-’, ‘-으막-’ 259
7.5.1. ‘-죽-’, ‘-즉-’ 259
7.5.2. ‘-적-’ 261
7.5.3. ‘-으막-’ 263
7.6. ‘-음직-’ 264
7.7. ‘-읏-’ 265
7.8. ‘-각-~-걱-’, ‘-악-~-억-’, ‘-박-’ 266

8. 결론 269

참고문헌 283
찾아보기 300

저자소개

이춘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국 연변 도문 출생, 중국 연변대학교 조선언어문 학학과를 졸업하고 한국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문학석사, 문학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현재 중국 산동과학기술대학교 외국어대학 한국어 학과에서 조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함북 명천 방언의 불규칙 활용 연구」, 「연변 지역어 의 인칭접미사 연구」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본서는 연변 지역에서 쓰이는 원 함북 경원 지역어(함북 육진 방언에 속함)의 접미파생의 양상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이 지역어의 접미사 목록을 작성하고 각 접미사의 형태, 분포와 의미 기능을 살핀다.
접미사에 대한 연구는 단어형성론 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과제 중의 하나이다. 접미사는 접두사에 비해 그 종류가 많고 어기와의 결합을 통하여 새로운 단어의 형성에 빈번하게 참여하여 무수히 많은 새로운 단어를 만들 수 있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지금까지 표준어의 접미사에 대한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져 왔으나 어느 특정 방언의 접미사에 의한 파생을 본격적인 연구 대상으로 삼은 업적은 그렇게 많지 않다. 방언자료에서는 문헌자료에 나타나지 않는 많은 언어자료들을 찾을 수 있으므로 그 어떤 언어의 경우에서든지 언어의 발달사를 과학적으로 해명함에 있어서 문헌자료에 대한 연구와 함께 결정적인 요소가 된다. 그러므로 한국어 방언에 대한 연구는 한국어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고 할 수 있겠다. 따라서 한국어의 단어형성에 대한 전체적인 양상을 밝히기 위해서는 특정 방언의 단어형성에 대한 연구도 폭넓게 진행되어야 한다고 본다. 방언마다 단어형성 과정이나 규칙 등에 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본서에서 연구대상으로 삼은 접미사에 의한 파생어 형성에서도 마찬가지로 방언마다 파생접사의 목록 및 파생어 형성 규칙 등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본서는 한국어 방언 중에서 가장 보수적이면서도 이질적인 요소를 많이 지닌 고립 방언으로 알려져 있는 함북 육진 방언에 속하는 경원 지역어를 중심으로 파생접미사에 의한 단어형성 과정을 살펴보려 한다. 함북 육진 방언은 음운, 어휘, 문법 면에서 고어(古語)의 형태가 많이 남아 있다. 뿐만 아니라 아직 파생어 형성 연구에서는 종합적이고 본격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본 연구는 전(全) 함북 방언 나아가서는 한국어 방언의 형태론적 연구, 한국어의 통시적 연구에 귀중한 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또한 파생접미사를 중심으로 한 기타 방언과의 비교 연구에도 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